굿인이 만난 사람 : 이병수 前 인천상륙기념사업회 이사장
세월 위에 세운 기억, 인천의 역사이병수 前 인천상륙기념사업회 이사장전쟁의 기억은 점점 희미해지지만, 그 시대를 살아낸 한 사람의 증언은 여전히 현재를 비춘다.이병수 전 인천상륙기념사업회 이사장의 이야기는 개인의 역사를 넘어, 인천이라는 도시가 쌓아온 시간과 맞닿아 있다. 은 역사적 의미를 둘러싼 논쟁이 아니라, 한 시민이 걸어온 삶과 기억, 그리고 그가 지켜온 ‘자유’의 가치를 기록하고자 이 글을 준비했다.글. 콘텐츠기획팀 오승환 사진. 박성수 포토디렉터바닷가 소년, 길고 특별했던 학창 시절1937년 경기도 시흥군(현 시흥시)의 작은 마을. 간석지와 개간지에 논이 펼쳐지고, 정미소가 돌아가던 그곳에서 이병수 전 이사장은 태어났다. 못살던 시절, 그는 늘 갯벌에서 불어오는 짠 내와 정미소에 쌓인 보릿겨 냄새 속에서 자랐다. 광복의 날, 온 동네 사람들이 거리로 뛰쳐나가 “대한독립만세”를 외쳤던 순간은 아직도 생생하다. 13살 소년의 가슴속에 ‘자유’라는 단어가 깊게 새겨진 날이었다. 소래국민학교(현 소래초등학교) 분교를 7년이나 다녔다. 출석일 수를 채우지 못해 유급했기 때문이다. 그 시절에는 만학도 실향민과 전쟁고아들이 함께 책상에 앉았다. “나이도, 배경도 제각각이었지만 우리는 함께 배우고, 함께 자랐습니다.” 시대의 무게가 어린 소년의 삶을 더욱 단단하게 만들었다.성적이 우수해 인천중학교에 진학했다. 기차를 타고 처음 본 개항의 도시 인천은 그의 눈에 거대한 세상처럼 다가왔다. 붐비는 거리, 달리는 철길, 낯선 건물들…. “세상은 이렇게 넓구나”라는 감탄이 가슴에 차올랐다. 그러나 곧 전쟁이 터졌다. 인천중학교교정은 UN군에 접수되어 수
2025-11-04
2025년 11월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