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
-
더 인천 : 사람 ③ 인천의 얼굴들
보다, 우리의 얼굴홍성선, 최윤서, 최에릭, 최마리안나, 다비드, 오지은보다, 우리의 얼굴‘더(The) 인천’을 더(More) 알아가다. 지금 발 딛고 선 도시, 살아가는 동네, 그 안의 진정한 행복은 무엇인가. 인천 곳곳에 깃든 인천 사람 저마다의 삶과 기억, 숨은 이야기를 찾아 기록한다. 이번 호에는 인천의 얼굴들을 만난다. 바로 나와 너, 우리의 얼굴이다.오늘, 나는 어떤 얼굴로 살아가고 있는가. 어느 누구를 어떤 표정으로 마주하는가. 때로 슬픈 날에도, 나를 힘들게 하는 사람 앞에서도 ‘웃음’이란 가면을 써야 하지는 않는가. 그렇다면 민낯 그대로의 ‘진정한 나’는 어떤 모습일까. 우리는 자신의 얼굴을 두 눈으로 ‘직접’ 볼 수가 없다. ‘나의 얼굴’이지만 오롯이 마주할 수 없다.그 얼굴에 우리는 저마다의 이야기를 담고 살아간다. 얼굴은 곧 삶이고 인생이다. 살아온 날과 살아가는 시간이 고스란히 쌓이고 쌓여간다. 순간순간 가속도가 붙는 인생의 흐름 속에 자신을 놓치지 않고 살아간다면, 어느 날 거울 속에 아름다운 얼굴 하나가 떠오를 것이다.아름다운 인생은 얼굴로 남는다. 이 순간, 인천 안에서 ‘진정한 나’로 묵묵히 살아가는 얼굴들과 마주한다. 다른 듯 닮은, 네가 아닌 나, 우리 모두일 수 있는 그 얼굴을.글 정경숙 본지 편집위원│사진 류창현 포토 디렉터훗날 누군가의 모습일 수도 있을 그 얼굴.“쭈글쭈글하니 못생겼지? 그래도 젊어서는 내 인물이 참 고왔는데.”할머니가 수줍게 웃는다. 누구에게나 화양연화는 있다.나이테 같은 주름으로 뒤덮인 얼굴에 봄 처녀 같은 화색이 돈다.홍성선이맘때면, 문득 떠오르는 추억 하나. 새 학기가 시작되기 전날, 반
2023-03-02 2023년 3월호 -
인천무형문화재와 차 한잔
처마 끝에 반짝이는 오방색의 세계글 김진국 본지 편집장│사진 안영우 포토그래퍼전통 건축물에 피어난 꽃. 단청丹靑은 붉고 푸른 빛깔을 가리킨다. 붉은색의 원료인 ‘단사’와 푸른색의 원료인 ‘청화’의 줄인 말이다. 이 색깔을 띤 돌들을 갈아 기둥이나 처마 등 건축물 내외부에 칠하는 것이 단청의 기능이다.“황·청·백·적·흑 오방색으로 불화, 고분, 석조건축, 공예품 같은 여러 조형물에 문양과 그림을 그리고 글씨를 쓰는 것까지를 포함하지요.”정성길(66) 단청장. 영종도가 고향인 그는 열일곱 살에 단청을 시작해 반세기 동안 전국을 누비며 그림을 그려왔다. 인천의 사찰들 가운데 그의 손이 닿지 않은 곳은 거의 없다.“제가 어렸을 때 영종도에 국민학교가 3개 있었는데 소풍을 늘 용궁사로 갔어요. 그때부터 대웅보전에 그려진 단청을 자연스럽게 접했지요. 조금 더 자란 어느 날, 절에 다니시던 어머니를 따라 영종도 용궁사를 갔는데 그날 따라 법당의 빛깔이 그렇게 고울 수가 없는 겁니다.”갑자기 무엇에 홀린 듯 단청을 하겠다는 아들에게 그의 부모는 처음엔 걱정의 시선을 거두지 못한다. 자식 이기는 부모는 없다고 했던가. “결국 ‘부처님의 뜻인가 보다’ 하시며 허락을 해주셨지요.”1974년, 단청을 배우기 위해 그는 경남 양산 통도사로 들어간다. 화승들이 모여 살던 사찰이었다. 정 단청장은 이곳에서 혜각(1905~1998, 국가중요무형문화재 제48호 단청장) 스님과 김준웅(1941~2010) 단청장을 스승으로 모신다. 손끝이 갈라지고 손가락 마디 부기가 가라앉지 않을 정도로 붓을 잡았다. 깊은 산중에서의 단청 작업은 힘겹고 고독했다. 한번 작업을 시작하면 오랜 기간 사찰에 머물러야 했
2023-03-02 2023년 3월호 -
인천 미소- 독자 후기
보고 싶다 듣고 싶다 ‘시민 목소리’매달 깊이 있는 배움이 있는 을 매달 잊지 않고 찾아보는 건 여느 매체와 달리 문화와 역사에 대한 깊이 있는 시선이 돋보이기 때문입니다. 인천의 명소, 숨겨진 이야기에 연신 감탄하곤 합니다. 국립세계문자박물관이 생긴다니 정말 반가웠고, 을 보관하던 정족사고와 왕실 서적을 품었던 외규장각까지 또 한번 배웠습니다. 이선민 동구 서해대로 오늘 저녁은 맛있는 파스타 올해 을 보면서 반가웠던 기사 중 하나는 바로 ‘인천 오감 레시피’입니다. 맛있는 음식은 먹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보는 것만으로도 군침이 돌게 하는 것 같습니다. 2월호에 실린 새우젓 봄동 파스타를 집에서 한번 도전해보았습니다. 어린이 입맛에 맞게 토마토소스를 추가해 익숙한 듯 새로운 맛을 냈답니다. 박경화 남동구 함박뫼로 노인을 위한 정보가 풍성해지길 매년 출산율이 낮아지고 있다는 기사를 접하며, 노인 인구 증가에 따른 문제점에 대해 고민해 봅니다. 이제는 노인 인구가 적극적으로 사회 활동을 하면서 젊은이 못지않은 실력을 발휘해야 할 시점이라 생각합니다. 에서 노인들이 더 활발히 활동하고 사회에 참여할 수 있도록 귀한 정보를 실어 주길 바랍니다. 김명준 연수구 청능대로 새 학년을 기다리며 새해는 마음의 준비를 할 겨를도 없이 갑작스레 시작되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3월이 되어 아이들이 새 학년으로 접어들면, 그제야 새로운 한 해가 시작되었음을 실감하곤 합니다. 2월호 에 실린 ‘슬기로운 방학 생활’ 기사를 읽고 아이들과 인천어린이과학관을 다녀왔습니다. 덕분에 겨울방학을 알차게 보냈습니다. 인천시 미디어인천시 인터넷방송 tv.incheon.go.kr인
2023-03-02 2023년 3월호
- 자료관리담당자
-
- 담당부서 콘텐츠기획관
- 문의처 032-440-8302
- 최종업데이트 2025-03-12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