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
-
시민 행복 메세지
인천이 국제 평화도시이어야 하는 이유글 임성훈 본지 편집장파도 소리를 배경으로 플루트의 애절한 선율이 심금을 울립니다. 그것도 잠시, 곧바로 긴장감 넘치는 퍼커션 사운드를 배경으로 모든 악기가 헬기의 굉음과 포격 소리를 토해냅니다.2009년 10월 24일 열린 평화음악회에서 처음 선보인 교향시의 제목은 ‘인천Incheon’입니다. 플루트의 선율처럼 고요한 인천 앞바다에서 인천상륙작전이 벌어지는 상황을 묘사한 곡입니다. ‘아이레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지휘 배종훈)의 연주는 인천의 바다와 땅, 바로 전쟁의 한복판으로 관객을 몰아넣습니다.작곡자는 로버트 스미스Robert W Smith라는 미국인입니다. 그의 아버지는 인천상륙작전 참전 용사입니다. 아버지의 경험담을 토대로 이 곡을 만들었다고 합니다.영상을 통해 이 곡을 처음 접했을 때의 기억이 새롭습니다. 교향시 ‘인천’은 인천상륙작전의 역사적 순간을 음악으로 표현한 명곡으로 꼽힙니다. 하지만 외국인에게서 김치 레시피를 소개받는 느낌이랄까요. 예술성을 떠나, 벽안碧眼의 작곡가가 우리의 전쟁 상황을 예술로 표현했다는 사실 자체가 생경했습니다. 한 가지 더 아쉬운 부분은 인천상륙작전을 주제로 탄생한 음악의 초연 무대가 인천이 아니라는 점이었습니다.중구 월미도의 ‘그린비치’, 동구 만석동의 ‘레드비치’, 미추홀구 용현5동의 ‘블루비치’ 등 인천상륙작전 당시의 상륙 지점이 그대로 있고, 인천상륙작전기념관을 비롯해 자유공원의 맥아더 동상 등 인천상륙작전을 상징하는 시설물을 일상에서 마주할 수 있는 곳이 인천입니다. 그런데도 교향시 ‘인천’은 서울 용산 전쟁박물관 평화의 광장에서 처음으로 관객
2024-09-05 2024년 9월호 -
국제평화도시 인천 - 인천상륙작전 참전 용사
그들이 있었기에 오늘의 대한민국, 지금의 평화가 있다글 임성훈 본지 편집장 ㅣ 사진 임학현 포토디렉터이제 전우들도 거의 떠나고 없다.연락이 끊어진 이유를 찾을 필요도 없다.그 이유를 너무나 잘 알고 있으니.상륙함 해치가 열리기 무섭게 뛰쳐나간 해변,가슴까지 올라온 바닷물을 헤치고육지에 오르니 시가지는 불바다다.총탄이 빗발치고 포탄이 쏟아졌다.공포가 엄습했지만, 진격을 멈출 수 없었다.소중한 것을 지켜야 했기 때문이다.그들이 있었기에 오늘의 대한민국, 지금의 평화가 있다.그 젊은이들이 어느덧 구순九旬을 넘긴 노인이 됐다.그들의 입을 통해 그날의 이야기를들을 수 있는 시간은 언제까지일까.老兵노병, 그날을 말하다해병대원으로 인천상륙작전에 투입된참전 용사 허영철 씨허영철예비역 상사·94“상륙작전을 한다는 얘기는 들었는데 어디로 상륙하는지는 알지 못했어요. 육지에 가까워질 때 갑판에서 보니 등대를 비롯해 눈에 익은 풍경이 보이더군요. 그래서 인천으로 상륙한다는 사실을 알았지요.”인천상륙작전 참전 용사인 허영철(94, 해병대 2기) 씨에게 인천은 아주 각별한 도시다. 입대 전 인천에서 살았는데 전쟁 중에 인천 땅을 다시 밟아 6·25 전쟁의 전세를 뒤집는 데 이바지했기 때문이다.강원도 고성군 외금강면이 고향인 허 씨는 만주목단강에서 성장기를 보냈다. 목단강은 일제강점기 때 한국인들이 많이 이주했던 곳이다. 그의 아버지는 목단강의 철도국 직원으로 근무했다.위로는 네 살 많은 형이 있었다. 그러나 부모님이 일찍 돌아가시는 바람에 두 형제는 타국에서 의 힘겨운 삶을 견뎌야 했다.그러던 중 해방 소식이 들려왔고 형제는 먹고살기 위해 서울로
2024-09-05 2024년 9월호 -
국제평화도시 인천 - 인천의 소년들
풍전등화의 시절을 지나 평화의 시절을 맞이하다시간이 흘렀다고 인간의 숭고한 자취가 사라지는 일은 없어야 한다. 가족과 민족, 조국을 지키기 위해 총을 든 학도의용대는 이제 우리 기억에서 점점 잊혀져 간다. 혁혁한 공을 세운 이들의 이야기는 전설이 되고 신화가 되었지만, 학도의용대의 이야기는 그저 전쟁사의 한 귀퉁이에서 간신히 몇 글자로 자리를 지키고 있다.역사 속에서 제대로 조명되지 못했던 이들을 노래로 기억하는 인천의 소년들이 있다. 제74주년 인천상륙작전 기념 주간을 맞아 눈꽃처럼 순수하고 강철처럼 단단했던 그때 인천 소년들의 애국심을, 현세대 인천 소년들의 목소리로 만나본다.글 이혜정 본지 편집위원 ㅣ 사진 최준근 포토디렉터내 고향, 내 나라를 위해 참전한인천의 소년들우리나라 역사상 가장 비극적인 사건으로 기억되는 6·25 전쟁. 유엔군의 참전과 인천상륙작전으로 겨우 전세를 역전시켰으나 10월 19일부터 시작된 중공군의 참전으로 한반도는 또다시 혼란한 상황에 빠진다.이 혼란 속에 내 나라, 내 고향을 지키고자 학생의 신분으로 자원입대한 인천의 소년들이 있다. 전국 최초로 결성된 인천학도의용대이다.인천학도의용대는 열세 살에서 열일곱 살 나이에 책과 펜 대신 총을 들고 전선으로 모였다. 인천학도의용대가 조직된 것은 6·25 전쟁 발발 다음 날인 1950년 6월 26일. 그해 겨울 축현초등학교 운동장에서 출정식을 마치고 본격적으로 전투에 참여했다. 가슴 아픈 역사 속에 나라를 위해 희생한 수많은 인천의 애국 소년들. 그 학도병들이 손자 또는 증손자뻘 되는 소년들에 의해 세상 밖으로 나왔다. 70년 넘는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 그들을 불러낸 인천학생
2024-09-05 2024년 9월호 -
시민의 詩선 (평화)
저마다의 바다에 담긴아름다운 한 구절오늘, 시민의 시선은 어디에 머물렀을까요. 새 희망 잔뜩 머금은 반짝이는 눈망울로 바라본 시민의 시선을 따라갑니다.그 끝자락에는 어제보다 나은 오늘, 오늘보다 빛날 내일에 대한 기대가 있습니다. 시민의 눈에 비친 삶 속 이야기를 한 장의 사진과 짧은 시로 표현하는 시민의 詩선.이번 주제는 ‘평화’입니다.※‘폰카시’란? 휴대폰 카메라와 시詩를 합친 말로, 일상 속 풍경을 휴대폰 카메라로 촬영하고 이를 짧은 시로 표현하는 것입니다.첫 번 째 詩선황면기(강화군 내가면)구름이흘러가는 곳동서남북 사방팔방어디에 있어도평화로워 좋구나!두 번 째 詩선이형조(남동구 남동대로)하늘만 보다가끝없어 보이던한철의 온기가하이얀 장막에어느새 가려가그조차 안잡고눈에만 다담자이내야 머릿속조그만 평화라세 번 째 詩선신영옥(미추홀구 인하로)백일홍꽃이 송이송이 핀다환한 햇살에 기뻐하며방글거리는 꽃송이들예쁘고 아름답고 착하고그지없이 고요한평화가 깃든 나그곳 꽃 속으로 들어가가만히 안기고 싶다두 살배기 아가들처럼오요요 강아지들처럼네 번 째 詩선권영진(서구 백범로)마루에 앉아폭포 소리 들으며읽는 책 한 줄배롱나무에 쉬고 있던바람 한 줄기가책장을 넘겨 주네고마워라내 마음의 평화행복하여라다 섯 번 째 詩선정미숙(서울시 마포구)비탈진 협곡 사이뭉게뭉게 구름 피어나며파란 하늘 모습 드러내듯평화는 항상 언제나마음에서 싹틉니다‘폰카시詩’에 도전해 보세요![ 주제 : 한글의 멋 ]참여 방법 1.주제에 맞는 순간을 포착해사진으로 찍는다.2. 짧은 시詩와 함께 이메일로 보낸다.보내실 곳 gmi2024@naver.com※응모 시 성명과 휴
2024-09-04 2024년 9월호 -
나는 굿모닝인천 마니아
과 함께인천에 살으리랏다글 오범세 독자 (남동구 서창남로)바다의 도시 인천은 나의 꿈을 이루게 해준 제2의 고향이다. 어릴 적부터 물결 춤추는 드넓은 바다를 그리워하며 자랐다.인천교육대학에 입학해 교직의 꿈을 펼친 이후로는 인천에 살고 싶은 마음이 더 깊어졌다. 교사가 되어 시골 학교에서 근무하던 중 1978년도에 인천으로 전근을 왔다. 새로운 둥지를 틀고 정착해 반세기를 살게 되자 인천은 나의 삶을 살찌우는 정든 고장이 되어 있었다. 가난한 시골내기 소년이 휘황찬란한 인천에서 살아간다니, 지금도 기쁘고 감지덕지한 마음이다.앞으로 남은 생도 인천에서 감사하는 마음으로 살고자 다짐했다. 공항과 항만 그리고 국제도시를 잇는 하늘길, 바닷길, 땅길이 맞닿은 인천이 르네상스를 맞이해 세계 초일류 도시로 발전하리라 믿는다. 인천을 오가던 수인선 협궤열차, 자취하던 수도국산 달동네, 싱그러운 바다 향기는 잊을 수 없는 나의 옛이야기와 향수다. 그런 나와 우리 모두의 인천을 담아내는 영원한 친구, 과 함께 인천에 살으리랏다. 마니아를 기다립니다!매월 ‘나는 마니아’ 코너에 소개될 시민과 독자 여러분의 이야기를 기다립니다. 과의 인연, 추억, 고마움 등 어떠한 내용이어도 좋습니다. 을 들고 찍은 사진과 사연을 보내주시면 채택되신 분께는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보내실 곳 gmi2024@naver.comGood morning Incheon mania
2024-09-04 2024년 9월호
- 자료관리담당자
-
- 담당부서 콘텐츠기획관
- 문의처 032-440-8302
- 최종업데이트 2025-03-12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