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이미지뉴스

소소한 인천 - 인천 지명, 인천소사

2022-03-02 2022년 3월호


인천 지명

붉은 땅, 동암


많은 사람이 부평구 십정동에 위치한 동암역銅岩驛의 ‘동’을 ‘동녁 동東’으로 생각하곤 한다. 그런데 실제로는 ‘구리 동銅’을 쓴다. 그 이유는 명확하지 않지만 향토사학자들의 의견에 따르면 이 주변 땅이 구리 같은 광물질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전체적으로 불그스름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 견해가 설득력을 얻고 있는 근거 중 하나는 동암역 주변의 남동구 간석동 신명여고 주변에 ‘쇠를 파낸다’는 뜻을 가진 ‘쇠판이’라는 곳이 있었다는 것이다. 광물질이 많이 묻혀 있었다는 근거를 뒷받침하는 지명으로 볼 수 있다.
또 다른 근거로는 동암역에서 멀지 않은 인천시청 옆에도 예전에 불그스름한 땅 때문에 ‘붉은고개’라는 이름을 가진 동네가 있었다고 한다. 그뿐 아니라 동암역 인근 만월산, 과거 주안산朱雁山으로 불리던 곳 역시 ‘붉은 산’을 한자식으로 표기한 것이니 충분히 근거가 되고도 남는다. 주안산은 구리를 비롯한 광물이 많아 일제강점기부터 탄광이 운영되기도 했다. 더불어 이 산줄기와 연결된 광학산 일대에서도 구리를 비롯해 금, 은, 아연, 철 등 여러 광물을 캐내곤 했다고 알려져 있다. 이런 근거로 볼 때 동암역 일대의 상황도 비슷했을 것이라는 추론이 가능하다.
한편, 동암역에 ‘바위 암岩’을 쓰는 이유는 아마도 주안산 아래 주변이 암반으로 이뤄졌기 때문일 것이다. 실제로 이 근처에는 한동안 채석장이 운영되기도 했다.



인천 소사

2001. 03. 29
인천국제공항 개항(21개국 48개 항공사 취항)

중구 운서동에 위치한 인천국제공항은 영종도와 용유도 사이 바다를 메워 만든 해상 공항으로 국내 최대 규모를 자랑한다. 2001년 3월 29일 개항과 동시에 서울 강서구에 위치한 김포국제공항의 당시 국제선 노선을 일괄 이관받았으며, 인구 밀집 주거 지역과 떨어져 있어 내륙 공항인 김포국제공항과 달리 24시간 운항이 가능하다. 현재 국내에서 운항되는 국제선의 77%를 인천국제공항에서 담당한다.
인천국제공항은 1999년 2월 1일 설립된 인천국제공항공사(IIAC)가 운영을 담당하고 있으며, 세계공항서비스평가(ASQ)에서 2005년 이후 12년 연속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제주항공, 진에어, 이스타항공, 티웨이항공, 에어서울, 델타항공, 폴라에어 카고, 타이항공 등이 허브 공항으로 이용하고 있다.


그때, 3월의 인천은…
1378. 03. 01 왜적, 부평 침공
1884. 03. 01 인천영국영사관 개설
1898. 03. 20 백범 김구, 인천감옥 탈옥
1903. 03. 01 인천항 대시라양행大是螺洋行 한인 이민자 82명, 하와이로 출발
1905. 03. 06 멕시코 이민자 1,033명, 인천항 출발
1919. 03. 08 인천 전역 독립선언서 배포
1919. 03. 14 인천공립보통학교 학부형 80여 명, 인천경찰서에서 만세 시위 학생 25명 석방 요구
1973. 03. 12 월미도, 중구에 편입
1979. 03. 05 한일방직 본사, 인천 이전
1979. 03. 10 길병원 개원
1993. 03. 01 인천 시내버스, 토큰 사용
1993. 03. 10 인천시의회, 미국 앵커리지 시의회와 자매도시 협정 체결
2010. 03. 03 연세대 송도국제캠퍼스 개교, 미추홀외국어고등학교 개교


첨부파일
OPEN 공공누리 출처표시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의 자유이용허락 표시제도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자료관리담당자
  • 담당부서 콘텐츠기획관
  • 문의처 032-440-8302
  • 최종업데이트 2025-03-12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