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의 생태계, 세계를 지키다 ⑧ 인천시 깃대종
우리가 살아가는 지구엔 무수한 동식물이 유기적으로 연결돼 공존한다. 새가 없으면 해충이, 최상위 포식자가 없으면 초식동물이 크게 늘어난다. 먹이사슬이 붕괴돼 생태 교란이 일어나는 것이다. 우리 인천시는 지속 가능한 지구환경을 만들어가자는 ‘탄소중립’을 정부 목표보다 5년 앞당겨 선언한 탄소중립 선도도시다. 이 2023년 세계를 지키는 인천 생태계를 탐구한다. 저어새, 금개구리, 점박이물범, 흰발농게, 대청부채. 여덟 번째 생태 탐험으로 ‘인천시 깃대종’ 5형제를 만난다.글 김진국 본지 편집장│사진 홍승훈 포토그래퍼인천시, ‘제51회 지구의 날’ 맞아인천 상징 ‘깃대종’ 5종 선정저어새, 금개구리, 점박이물범, 흰발농게, 대청부채. 우리 인천시는 ‘제51회 지구의 날’(2021년 4월 22일)을 맞아 인천을 상징하는 깃대종 5종을 선정했다. 깃대종은 1993년 국제연합환경계획(UNEP)이 제안, 지역 생태계를 대표해 보호할 가치가 있다고 판단되는 생물종으로 생태적·지리적·사회적·문화적 특성을 반영해야 한다. 우리 시는 시민 공론화 과정을 거쳐 5종의 깃대종을 선정하면서 ‘생태 가치 자원 발굴’과 ‘지속 가능한 환경도시’로서의 위상을 알렸다.이후 인천 깃대종을 보호하고 환경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해왔다.지난해 우리 시는 ‘인천 깃대종 교육 및 홍보 프로그램 개발 운영 지원사업’을 시작했다.시민 가운데서 선발해 깃대종 교육과 홍보, 모니터링을 진행하는 ‘깃대종 서포터즈’를 운영했고,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찾아가는 깃대종 생태 교실’을 열어 아이들에게 환경의 중요성을 심어 주었다. ‘깃대종 생태 관광 투어’를 통해 남동유수지(저어
2023-09-09
2023년 9월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