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지난호 보기

인천무형문화재와 차 한잔 - 김국진 휘모리잡가 보유자

2023-04-03 2023년 4월호

“우리 ‘소리’는 좋은 것이여~ K-팝의 원조거든”


글 김진국 본지 편집장│사진 안영우 포토 저널리스트



“육칠월 흐린 날 삿갓 쓰고 도롱이 입고 곰뱅이 물고 잠뱅이 입고, 낫 갈아 차고 큰 가래 메고 호미 들고~”
봄날, 겨우내 얼었던 시냇물이 녹아 흐르듯 그의 입에서 줄줄줄 창이 흘러나온다. 노래 흥은 어깨를 타고 내려와 손끝으로 이어지며 ‘촤-악’ 부채가 펴진다.
“어디야 낄낄 소 몰아가는 노랑 대가리 더벅머리 아희놈 게 좀 섰거라~” “얼쑤~”
‘휘모리잡가’(인천광역시 무형문화재 제20호) 보유자 김국진(72). ‘소리’를 시작한 지 55년이 지났건만 지금도 관객들을 마주하면 가슴이 뛴다. 여기저기 쑤시다가도 무대에만 서면 몸이 날아갈 듯 가벼워지는 이유다.
“제가 열일곱 살 때 송현동 양키시장에서 기름걸레 배달일을 했어요. 그 시장에 국악원이 있었는데 갈 때마다 거기서 흘러나오는 소리(창)가 그렇게 듣기 좋은 겁니다. 어느 날 저도 모르게 국악원으로 들어갔지요.”
손에는 기름걸레를 든 채 불쑥 들어온 더벅머리 소년에게 당시 국악원 원장이던 이영열 선생은 “노래를 불러보라”고 한다. 김국진의 목청에 귀 기울이던 원장은 “앞으로 자주 오라”고 얘기한다. 그렇게 김국진은 ‘주경야창’을 하며 틈틈이 ‘경서도소리’를 배우기 시작, 10년 만에 제자들을 둘 정도로 일취월장한다. 30대에 접어들며 김국진은 더 큰 세상으로 나아가려는 결심을 실행에 옮긴다.
“서울에 중요무형문화재 19호 ‘선소리산타령’을 하는 이창배, 정득만 선생을 찾아갔습니다.”
목청이 카랑카랑하고 고음이 잘 나오는 김국진은 서울에서도 스승들의 사랑을 받았고, 국악제 같은 대형 공연이 열리면 중요한 역할을 척척 소화해내며 빠르게 성장한다. 그런 그가 1980년대 중반 인천에 국악의 씨를 퍼뜨려야겠다고 결심한 건 조상 대대로 살아온 땅이기 때문이었다.
“제가 경주 김씨 17대손입니다. 현 미추홀구청 자리가 조상님들이 터 잡고 살아온 땅입니다. 어느 순간 내가 나고 자란 곳에서 우리 전통음악을 확산시켜야 한다는 소명감 같은 게 올라왔어요.”
그렇게 전 재산을 쏟아 주안 시민회관에 ‘김국진 국악원’을 차린 그는 소리에 깊이 정진하는 한편 제자 양성에도 매진한다. 전주대사습놀이, 경기국악제 등 전국 대회에서 두각을 보였지만 그에겐 여전히 채워지지 않는 갈증이 있었다. 요원해만 보이는 ‘국악의 대중화’였다. 그러던 중 생각이 같은 동지를 만났으니, 한국예술경영협회 오영일 대표이사다.
“인천을 지키며 정말 좋은 공연을 많이 기획하고 무대에 올리는 젊은 분이었지요. 함께 얘기를 나누는 과정에서 국악을 시민들에게 친근한 예술 분야로 만들어나가자고 의기투합을 했습니다.”
김 보유자는 이후 오 대표와 함께 ‘춘향전’, ‘배 띄워라’, ‘최진사댁 잔칫날’ 같은 국악창작극을 정기적으로 무대에 올려왔다.
“우리 소리에는 역사와 생활, 문화가 다 담겨 있습니다. 세계적인 K-팝, 요즘 유행하는 트로트도 다 우리 전통 소리에서 태동한 것입니다.”
(사)재인천광역시무형문화재총연합회 이사장이기도 한 김국진은 “전통예술을 하려는 젊은이가 많아지는 사회적 여건과 풍토가 마련됐으면 좋겠다”며 “우리 전통예술의 선산을 지킨다는 마음으로 끝까지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국진 휘모리잡가 보유자가 장구를 치며 창을 부르고 있다.


첨부파일
OPEN 공공누리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의 자유이용허락 표시제도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자료관리담당자
  • 담당부서 콘텐츠기획관
  • 문의처 032-440-8302
  • 최종업데이트 2025-03-12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인천광역시 아이디나 소셜 계정을 이용하여 로그인하고 댓글을 남겨주세요.
계정선택
인천시 로그인
0/250

전체 댓글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