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지난호 보기

시정 뉴스

2022-07-06 2022년 7월호



현금 없는 인천 버스, 17개 노선으로 확대 운영
지난 1월부터 우리 시 2개 노선에서 시범 운영 중인 ‘현금 없는 인천 버스’가 17개 노선, 228대 버스로 확대 운영된다. 기존 2개 노선인 62, 535번에 이어 추가된 15개 노선은 2-1, 6, 24-1, 34, 35, 76, 103-1, 111, 307, 330, 순환43, 510, 511, 579, 586번이다. 교통카드 미소지 승객은 정류장에 부착된 홍보물 속 QR코드를 이용해 모바일 교통카드를 발급받거나 버스에 비치된 5,000원권 교통카드를 구매하면 바로 승차할 수 있다.
시 버스정책과 032-440-3983


반려동물 산책 등 어르신 새 일자리 발굴
우리 시가 올해 ‘어르신 새 일자리’ 공모를 통해 6개 사업을 최종 선정했다. 해당 사업은 거동이 불편한 노인의 반려동물 산책을 대행하는 ‘도그워크’(부평구노인복지관), 반려동물 수제 간식을 제조·판매하는 ‘도그람이’(동구노인인력센터), 폐유니폼을 재활용하는 ‘유니폼업사이클링’(서구노인인력개발센터), 취약계층의 냉장고 속 식품 유통기한을 관리하는 ‘식품안전도우미’(서구검단노인복지관) 등이다.
시 노인정책과 032-440-2826


‘보건소 모바일 헬스케어 사업’ 추진
우리 시는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보건소 모바일 헬스케어 사업’을 추진한다. 참여자에게는 코디네이터, 의사, 간호사, 영양사, 운동 전문가로 구성된 전담 팀이 모바일 앱을 통해 24주간 일대일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3회의 보건소 방문 검진도 병행한다. 올해는 중구, 동구, 미추홀구, 부평구, 서구, 옹진군 6개 보건소에서 시민 96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다.
시 건강증진과 032-440-2722


월미공원 둘레길, 시민이 그린 벽화 조성
월미공원 둘레길 옹벽 2개소(총 70m2)에 알록달록한 수국 벽화가 그려졌다. 이 벽화는 직장인, 대학생 등으로 구성된 봉사 단체 ‘네오맨’의 재능 기부로 완성됐다. 2001년 개방돼 많은 시민이 찾는 힐링 공간으로 거듭난 월미공원은 둘레길을 따라 울창한 숲과 쉼터 겸 전시장인 탄약고갤러리, 월미 평화의 나무, 숲속도서관, 월미전망대 등을 만날 수 있다.
월미공원사업소 032-440-5945


인천경제청, 스마트 횡단보도 설치 본격 추진
인천경제자유구역(IFEZ) 내 주요 교차로 17곳에 교통약자의 안전한 보행을 돕는 스마트 횡단보도가 설치된다. 스마트 횡단보도는 기존 보행 신호기 외에 바닥에 설치돼 점등되는 LED 보행 신호기, 숫자와 도형으로 남은 시간을 알려주는 적색 잔여 표시기, 보행자 위치에 맞는 상황별 음성 안내 시스템, 보행 신호 자동 연장 시스템 등을 갖추고 있다.
경제자유구역청 송도기반과 032-453-7503


아이사랑꿈터, 무료 이용 대상 확대
우리 시는 초저출산 극복을 위해 둘째아 임신부와 육아휴직 가정까지 아이사랑꿈터의 무료 이용 대상을 대폭 확대한다. 생활 밀착형 가정육아 지원시설 아이사랑꿈터는 화요일부터 토요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 운영하며 이용료 1,000원(프로그램 신청 2,000원)에 아이와 함께 놀이·체험은 물론 육아 정보 공유 및 육아 코칭 서비스도 받을 수 있어 인기가 높다.
시 영유아정책과 032-440-2957


공공심야약국 16개소로 확대 운영
우리 시는 오는 8월까지 검단·청라·연수 지역을 대상으로 공공심야약국을 모집하고 세 곳을 추가로 지정해 총 16개소를 운영한다. 공공심야약국은 심야나 휴일에 긴급하게 의약품을 구할 수 있는 공공의료 서비스로 밤 10시에서 새벽 1시까지 운영한다. 현재 8개구 13개소가 있으며, 추가 지정을 통해 시민 누구나 15분 이내에 이용할 수 있게 할 방침이다.
시 보건의료정책과 032-440-2732



첨부파일
OPEN 공공누리 출처표시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의 자유이용허락 표시제도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자료관리담당자
  • 담당부서 콘텐츠기획관
  • 문의처 032-440-8302
  • 최종업데이트 2025-03-12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인천광역시 아이디나 소셜 계정을 이용하여 로그인하고 댓글을 남겨주세요.
계정선택
인천시 로그인
0/250

전체 댓글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