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지난호 보기

검붉은 달 바다에 숨다 -자월도,승봉도,이작도

2005-07-01 2005년 7월호

 




자월도를 바다에 떠 있는 ‘검붉은 달’이라고 표현했다던가? 달빛이 밝으면 밝았지 검은데다 붉기까지 하다니 과연 이 바다에 비친 달은 어떤 색일까 자못 궁금하기만 하다. 하지만 바다에 비치는 달빛에 반하기에 앞서 자월도에 여장을 푼 사람들은 누구라도 이 바다에 반하기 마련이다.
달바위선착장에서 해안도로를 따라가다 처음 만나는 해변이 장골해변이다. 곱게 그린 반달모양의 눈썹처럼 생긴 장골해변은 1㎞ 남짓한 모래톱이 밀가루처럼 고운 모래사장이다. 거기에 적당히 자갈이 섞여있어 걷는 맛이 그만이다. 해변 뒤편에는 수십 년 된 아카시아나무가 병풍처럼 둘러 처져 있다. 아카시아 향기에 취해 바다를 바라보노라면 신선노름이 따로 없다. 입장료와 야영료가 따로 없고 화장실, 샤워장, 식수대, 주차시설 등이 잘 갖춰져 있다.
해변 가까이에는 장골소공원이 있다. 해당화를 비롯해 계절마다 다양한 꽃들이 무리를 지어 피어있고 야영하기에도 적당하다.
면사무소 앞에는 큰말해변이 자리 잡고 있다. 잔잔한 파도와 곱고 깨끗한 모래사장 등으로 가족단위 피서지로 좋을 뿐만 아니라 썰물 때는 조그만 소라, 고동, 참게 등을 주울 수 있어 어린아이의 자연학습장으로 활용하기에도 그만이다.
자월도의 또 다른 매력은 국사봉 등산이다. 국사봉의 등산로를 따라 걸으면 뒤로는 인천항이, 앞으로는 덕적도, 대·소이작도, 승봉도가 선명하게 눈에 들어온다. 게다가 섬에서 하는 등산이라 색다른 맛이 난다.
사슴개와 별난금은 가족들과 갯놀이 하기에 좋다. 볕난금은 바닥이 둥근 돌로 되어 있어 물이 무척 깨끗하다. 물이 빠지면 광활하게 드러나는 갯벌에서 소라와 고동, 낙지를 잡을 수 있다. 하늬바람이 많이 불어 추운 마을이라는데서 이름 붙여졌다는 하니께 역시 바지락과 소라를 잡을 수 있고 바로 옆에 우럭과 놀래미가 잘 잡히기로 유명한 낚시터 국수당이 있다.



한걸음 더
자월도 옆으로는 승봉도와 대이작도 소이작도가 나란히 자리잡고 있다. 대이작도는 섬의 규모에 비해 큰풀안, 계남리, 풀치, 목장불 등 해변이 많다. 모두 모래가 깨끗하고 피서철에도 크게 붐비지 않아 가족 단위로 여행하기에 적합하다. 그중 풀치해변은 동서 4km 남북 1km에 걸친 약 70만평의 백사장이 장관이다. 소이작도의 벌안해변은 특히 자연미가 뛰어나다. 해안 곳곳의 갯바위 낚시터에서는 우럭 놀래미, 망둥어가 잘 잡히고 뻘에는 굴과 조개류가 풍부하다.
승봉도의 이일레해변은 물이 맑고 간조때 물이 멀리 빠지더라도 뻘이 나타나지 않는 특징이다. 옆에 있는 무인도 사승봉도는 썰물때 섬 서쪽에 삼각형 모양으로 드러나는 사빈이 절경이라 모래섬으로 불리기도 한다. 그래서 ‘패밀리’라는 영화의 배경이 되기도 했다.


숙박 _ 자월도 자월면사무소 (833-6010), 자월번영회 (833-6033) / 승봉도 동양콘도 (832-1818) / 대이작도 강태무(834-0682) / 소이작도 강예식 (834-3767)
배편문의 _ 우리고속(887-291) 진도운수(888-8600) 대부대운(886-7813)
_ 연안부두 여객터미널에서 배를 타면 자월도를 거쳐 이작도, 승봉도에 닿는다. 각각 40분~1시간 남짓 걸린다. 대부도에서는 차를 가지고 배를 탈 수 있다. 각 섬에는 배시간에 맞춰 마을 버스가 다닌다.

첨부파일
OPEN 공공누리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의 자유이용허락 표시제도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자료관리담당자
  • 담당부서 콘텐츠기획관
  • 문의처 032-440-8302
  • 최종업데이트 2025-08-28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인천광역시 아이디나 소셜 계정을 이용하여 로그인하고 댓글을 남겨주세요.
계정선택
인천시 로그인
0/250

전체 댓글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