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호 보기
교통카드제 시행
2001-05-22 1998년 9월호
우리시에서는 9월 1일부터 전시내버스를 대상으로 교통카드제를 시행하고 있다.
우리시는 시민들이 카드 구입과 충전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기존의 버스표판매소 500개소를 판매와 충전을 함께 하는 유인 카드충전소로 정했다. 또 농협, 조흥은행 등 147개소에 무인충전소를 설치해 총 647개소의 카드충전소를 설치했다. 또한 앞으로는 시·구·동 민원실과 다른 은행 등에도 카드충전소 설치를 확대할 계획이다.
처음 카드를 구입하려면 보관금 1천500원을 내야하는데 보관금은 카드반납시 환불받는다. 카드는 10만회 이상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판독장치에 10㎝이내 접근하면 0.2초만에 버스요금이 카드잔액에서 자동적으로 감해진다.
카드 발급 액면금액은 일반인의 경우 1만원, 2만원의 2종류이고, 학생의 경우 5천원, 1만원, 2만원 등 3종류이다.
인천 교통카드는 앞으로 서울과 경기지역의 시내버스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우리시는 시민들이 카드 구입과 충전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기존의 버스표판매소 500개소를 판매와 충전을 함께 하는 유인 카드충전소로 정했다. 또 농협, 조흥은행 등 147개소에 무인충전소를 설치해 총 647개소의 카드충전소를 설치했다. 또한 앞으로는 시·구·동 민원실과 다른 은행 등에도 카드충전소 설치를 확대할 계획이다.
처음 카드를 구입하려면 보관금 1천500원을 내야하는데 보관금은 카드반납시 환불받는다. 카드는 10만회 이상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판독장치에 10㎝이내 접근하면 0.2초만에 버스요금이 카드잔액에서 자동적으로 감해진다.
카드 발급 액면금액은 일반인의 경우 1만원, 2만원의 2종류이고, 학생의 경우 5천원, 1만원, 2만원 등 3종류이다.
인천 교통카드는 앞으로 서울과 경기지역의 시내버스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 첨부파일
-
인천광역시 아이디나 소셜 계정을 이용하여 로그인하고 댓글을 남겨주세요.
전체 댓글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