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호 보기
첨단·신산업으로 ‘인천 다시 시작한다’
첨단·신산업으로 ‘인천 다시 시작한다’
민선6기 1년은 인천 도시기반의 틀을 다지는 시간이었다.
지난 어려움을 딛고 이제는 달려 나가야 한다. 시는 인천의 빛나는
내일을 위해 도시계획을 새로 짜고,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고, 인천섬과 더불어 보고 느끼고 즐기는 공간으로 인천을 바꾸고 있다. 인천의 내일을 책임질 시의 주요 미래비전과 계획을 소개한다.

1. 인천미래의 밑그림
▷ 도시계획
- 2030 도시기본계획, IFEZ 개발계획 수립, 지역발전 5개년 계획
▷ 복지
- 제3기 인천지역사회 복지계획, 중장기 보육계획, 제6기 지역보건 의료계획
▷ 환경 : 2차 녹색성장 5개년 추진계획, 2030 공원녹지 기본계획, 2018 환경보존계획
▷ 교통 : 도시교통정비 중기계획, 대중교통 기본계획
▷ 교육 : 제2차 평생교육진흥계획, 사회적기업 종합대책
▷ 관광 : 인천문화도시 종합발전계획, 제6차 관광개발계획, 과학기술진흥 종합대책
▷ 인천비전 2050 미래발전종합계획
2. 미래먹거리 전략 산업 집중 육성
▷ 주력산업 고도화
- 항공산업 산학 융합지구 조성위한 항공부품 산업 혁신 거점
- 첨단 자동차산업 클러스터
·서구 첨단자동차 부품산업 클러스터 구축, 첨단자동차 부품 상품화 기술 개발
- 글로벌 물류 허브도시
·고부가가치 비즈모델 개발, 물류산업 육성
▷ 미래시장 선점
- 시장중심의 R&D 추진 위한 바이오사업화 네크워크 구축 등
- 로봇생태계 기반조성
·인천로봇랜드 조성, 로봇기업 성장지원, 로봇문화 확산 등
- 녹색금융지식 인프라 확충
·인천 GCF포럼 및 컨퍼런스 활성화, 인천기후센터 운영
▷ 입지특화
- 융복합 관광메카 구현
·MICE, 의료관광 융복합 이미지 선정, 유커유치 관광 경제화, 마리나 해양관광 활성화
- 뷰티메카도시 인천
·화장품 제조 인프라 구축, 뷰티산업 구조고도화
2-1. 항공산업의 리더로 더 넒은 세계를 향해 출발
▷ 항공산업 인프라 구축+국내외 항공정비 기업투자유치 + 항공산업 기술혁신
- 영종도 인천국제공항
·항공정비산업 특화단지 조성
- 송도국제도시
·항공 융복합 산학융합지구(R&D,인력양성, 비즈니스 거점)조성
- 남동, 주안, 부평공단
·부품기술 혁신을 통한 고부가 가치, 항공부품 생산 기지 조성
2-2. 새로운 한류, 인천형 의료관광으로
▷ 의료관광 18,000명 유치 경제적 효과 593억(진료수익 439억, 관광 154억원)
- 인천형 특화상품 개발
·인천국제공항 환승시장 집중공략(연간 650만명 환승)
·타킷별 특화상품 개발(크루즈 관광객, 주한미군, 유커 등)
- 의료관광 서비스 지원
·POM(Peace of Mind) 보험상품 개발, 외국인 환자정보 관리시스템 구축
·인천의료관광 서포터즈 양성, 의료관광상담센터 운영 등
2-3. 창조경제 실현
- 대중국 진출특화 플랫폼 구축
·사업아이템 발굴에서 현지 인큐베이팅 공간까지 원스톱 지원
·온라인 보부상 ‘仁商’육성(e-커머스 창업지원) 등
- 물류기술기반 신산업 창출
·물류와 IT기술 융합을 통한 스마트 물류 벤처 육성
·항공엔진 정비기술 등을 활용한 고부가가치 신성장동력 창출
- 중소·벤처 뮬류 경쟁력 제고
·민관합동 종합물류컨설팅 운영을 통해 수출물류 경쟁력 제고
·유망 신선 농수산식품의 해외수출 지원
2-4. 글로벌 녹색기후산업의 중심
▷ 자원순환형 생태산업단지 및 친환경 복합플랜트 조성
▷ GCF 협력사업 발굴, 단계별 추진
- 글로벌네트워크 구축 - 초기 2년(2015~2016)
·산학연 네트워크 체계 구축, 녹색기후 인재양성
·제로에너지 빌딩 시범사업, 기후대응 세계협의체 참여(유치)
- GCF산업기업, 기관 집적화 ? 중기 3년(2017~2019)
·환경산업실증화단지 활용, 창조그린경제 콤플렉스 조성
·핵심 앵커테넌트 유치(글로벌 국내외 핵심기업 기관, 국제기구 유치) 등
- 녹색기후산업의 확산 ? 후기 5년(2020~2025)
·기후금융 투자기관 유치(설립), GCF연관산업 유치 극대화
·핵심기업 벤처기업간 협업 및 네트워크 구축
3. 중국기반 비즈니스 시장 확대
▷ 인- 차이나(IN-CHINA)프로젝트
대 중국 사업의 집중관리와 유망사업을 발굴. 3대분야,
6대 전략 30개 사업의 추진목록 선정
- 대 중국 교류·비즈니스 기반 구축(10개 사업) : 친 인천 중국인양성, 중국 교류 역량 강화
- 중국소비·내수시장 선점(8개사업) : 중국진출 전략기반 구축, 중국 소비·내수, 유망산업 육성
- 상호 교류협력체계 강화(12개 사업) : 환 황해 경제권 인천이니셔티브 확산 등
4. 보고, 느끼고 즐기는 인천
▷ 스토리를 느끼다 I-STORY : 역사가 살아있는 섬 강화, 교동도 근대문화공간 조성
▷ 평화, 섬을 지키다 Peace : 연평도, 백령도
▷ 관광에 한류를 입히다 K-Style : 영종도 카지 노 리조트, 작약도, 사렴도 복합관광휴양지
▷ 자연에서 쉬다 Healing : 세어도 예술조형물 설치, 무의도 무의누리 바다열차, 이작도 바 다생태마을 등
▷ 섬에서 즐기다 Field Trip : 무의도(포내, 큰무리 마을), 세어도, 승봉도 캠핑장
5. 미래 도시가 눈앞에
▷ 스마트 시티의 새로운 모델, 송도
- 스타트업 기업들의 테스트 베드 조성
- 사물인터넷 기업 인규베이션 프로그램 가동 등
▷ 경제성장의 원동력, 비즈니스 플랫폼 구축
- B2B, B2C 형태의 무역상거래 플랫폼 개발
- 기업의 네트워크 구축과 생산혁신도구의 기반으로 활용
6. 원도심의 행복, 인천의 핵심가치
도시재생 코디네이터 마을 활동가 양성, 지역공동체 프로그램 지원, 커뮤니티 비즈니스 기반구축, 도시재생 대학운영
▷ 인천역, 차이나타운
- 사람중심의 교통환경개선, 인천역 복합역사 개발사업, 상상플랫폼 조성
▷ 월미공원
- 해양복합전시체험관, 월미 해양복합문화단지 조성, 전망대 명소화
▷ 인천내항
- 인천내랑 1,8부두 재개발사업
▷ 신포동, 답동
- 답동성당 일원 관광자원화 사업, 아시아누들타운 등
7. 사회적 약자에게 든든한 지원
▷ 영유아
- 원스톱 서비스 지원(임신, 출산, 양육 보건의료), 인천형 어린이집 신규도입 등
▷ 청소년
- 취약계층 청소년 지원, 균형있는 청소년 활동공간 확대(5개소)
▷ 여성
- 인천안전허브마을 조성, 여성 취업지원 강화 및 여성인력발굴, 결혼이민자 역량강화 지원
▷ 어르신
- 평생교육, 여가문학 프로그램 지원, 인천형 노인 일자리 제공(3만개) 등
▷ 장애인
-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F) 인증확대(290건), 장애인 생활안정 및 자립기반 조성
- 첨부파일
-
- 이전글
- 인천 섬 여행 맞춤 가이드
인천광역시 아이디나 소셜 계정을 이용하여 로그인하고 댓글을 남겨주세요.
전체 댓글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