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호 보기
2030년 인구 350만명, 문화와 관광이 꽃 피는 ‘사람 중심 도시’
2030년 인구 350만명,
문화와 관광이 꽃 피는 ‘사람 중심 도시’
우리시는 지난달 25일 도시계획위원회를 열고 ‘2030년 인천 도시기본계획안’을 확정했다.
시는 2030년 미래상을 ‘사람 중심의 국제·문화·관광도시’로 설정하고 맞춤형 원도심 사업 추진, 친환경 녹색도시 조성, 지역의 특성을 살린 경제활성화, 인천 고유의 문화·관광 인프라 구축 등 7대 중점 전략을 세웠다.
7대 중점 전략은 △친환경 녹색도시 조성 △공항, 해양 등 지역별 특성을 살린 산업진흥과 경제활성화 △인천 고유의 문화 및 관광 인프라 구축 △지속가능한 교통·물류체계를 갖춘 세계적인 해양도시 △생애주기별 맞춤형 사회복지 정책 추진 △다양한 교육의 질적 향상 등이다.
2030년 인천시 계획인구는 현재보다 50만명 늘어난 350만명으로 예측됐다. 가구당 인구는 현재 2.60명에서 2.35명으로 줄고 고용률은 현재 63%에서 70%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생태하천 복원율은 10%에서 40%로, 평생교육 기관 수는 180개에서 250개로 늘어날 전망이다.
토지이용계획으로는 도시기본계획구역은 기정 143만9천349㎢에서 용유·무의 개발계획 2단계 제척 및 왕산마리나 해면부, 무의 쏠레어리조트 해면부, 삼목항, 예단포항 등 어항구역이 추가로 반영되어 138만1천348㎢로 변경됐다.
시가화용지는 기정 28만7천997㎢에서 2만4천637㎢ 감소한 26만3천360㎢로, 시가화예정용지는 장래 인구 및 경기전망을 고려해 개발사업을 축소함에 따라 기정 12만5천405㎢에서 9만2천512㎢로 3만2천893㎢ 감소했다.
보전용지는 기정 102만5천947㎢에서 102만5천476㎢로 0.471㎢ 감소했다. 생태하천복원율은 10%에서 40%로, 평생교육 기관 수는 180개에서 250개로 늘어날 전망이다.
철도망은 경인선 지하화, 인천발 KTX 연결, 서울지하철 9호선 인천공항 연장, 서울 7호선 석남·청라 연장, 수도권매립지·검단산업단지 연장 등 대중교통 중심의 철도망을 구축하는 계획을 세웠다. 광역도로망은 남북 3축, 동서4축 계획을 유지하기로 했다.
아울러 도시공간구조를 4도심, 3부도심, 9지역중심, 4발전축의 다핵형 중심지체계로 설정했다. 도시공간구조는 △동인천·구월, 청라·가정, 부평·계양, 송도·연수를 4도심으로 △영종, 소래·논현, 검단을 3부도심으로 △강화, 길상, 오류, 검암, 가좌, 용현, 만수, 서창, 옹진을 9지역 중심으로 정했다. 시는 작년 3월 기초조사에 착수한 후 시민공청회, 시의회 의견청취, 관계 행정기관 협의를 거쳐 이날 최종안을 확정했다.
- 첨부파일
-
- 다음글
- 장군님과 함께 외
인천광역시 아이디나 소셜 계정을 이용하여 로그인하고 댓글을 남겨주세요.
전체 댓글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