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지난호 보기

7월 30일, 버스노선 전면 개편

2016-06-30 2016년 7월호




7월 30일, 버스노선 전면 개편

경인전철 역사 중심으로 운행되던 인천지역 시내버스 노선이 대폭 조정된다. 오는 7월 30일 지하철 2호선 개통에 맞춰 인천시내 버스노선 체계가 대폭 바뀌는 것이다. 현재 212개의 노선이 198개로 조정되며, 존치 97개, 변경 86개, 신설 15개, 폐선 29개로 조정비율이 54.2%나 된다. 경인전철 노선에 맞춰 틀이 짜였던 인천 시내버스 노선이 전면 개편되는 것은 42년 만이다.
글 김윤경 본지 편집위원 사진 최준근 자유사진가



입체적 교통망 구축과 주민 편의 위해 개편
지금까지 인천의 버스노선은 42년 전에 개통한 경인전철이 중심축이었다. 하지만, 광역철도망이 확장되고 인천도시철도 2호선이 개통되면서 시내버스에만 의존했던 대중교통체계가 입체적으로 바뀌었다. 더구나 도시가 확장되면서 원도심과 신도시의 연계를 강화하기 위한 버스노선
이 필요한 상황이었다.
이번에 개편한 인천 시내버스 노선은 다변화된 교통환경에 발맞추기 위한 것으로, 서울지하철 7호선, 수인선 연장 개통, 기존 인천 도시철도 1, 2호선과 버스의 환승체계에 초점을 맞췄다. 또 송도, 청라, 영종 경제자유구역과 검단, 서창 등의 택지개발지역 등 신도시와 원도심을 연결하는 버스노선의 배치로 주민 모두의 편의를 위한 윈윈 시스템을 갖췄다. 특히, 영종도와 강화도 등 교통소외 지역은 노선을 신설, 불편을 해소했다.



취약지역 위주의 노선과 대체노선 마련

대중교통 취약지역을 중심으로 개편된 이번 노선으로, 대중교통 미운행 지역이었던 서구 시천동과 북항 배후 물류 단지에 각각 597번과 28-1번 버스가 새롭게 배치된다. 또 개발사업이 활발한 송도, 청라, 영종 경제자유구역과 남동구 구월동, 서창동의 대단위 아파트단지 등 신도시에도 많은 노선이 들어선다.
이번 노선 개편에서 27개의 노선이 폐지되지만, 모두 대체 노선이 운행된다. 인구가 많은 부평구 원도심과 지하철을 연결하는 572번은 폐선되는 553번(부평구 태일연립∼경인전철 백운역)과 596번(서구 청라동문굿모닝힐∼국제성모병원)을 통합한 것이다. 신영 자동차∼CGV부평∼인천지
하철 1호선 갈산역∼삼산월드체육관 구간을 11분 간격으로 운행한다.
강화군 선행리 삼거리∼초지대교∼서구 검암사거리∼경인전철 동암역∼남동구 길병원을 운행하던 700번 버스가 폐선되지만, 70, 700-1, 800번 등 3개 노선이 구간 연장을 통해 이를 대체하게 된다.

(폐선 및 대체노선에 대한 안
내는 본지 P57 참고)


지하철 연계, 직선화 등 시민 편의 위주의 노선
이번 버스노선 개편은 빅데이터 분석결과를 토대로 교통카드 사용 횟수, 승하차 등의 교통 수요를 치밀하게 분석해 실제 이용자들의 수요에 맞췄다.
시는 이번 버스노선 개편으로 불합리한 중복노선 21%를 개선했고, 지나치게 돌고 도는 굴곡도 10.7%까지 완화시켰다. 이에 따라 전체 시내버스 212개 노선 중 지하철과 중복되거나 지나치게 여러 곳을 운행하는 27개 노선은 폐지되고 15개 노선은 신설, 총 200개 노선으로 줄었다. 존치한 노선은 97개, 변경한 노선은 88개다. 변경된 노선 중에서 지하철과 연계되는 노선이 44개에 이른다.
조정된 노선을 분석해보면, 폐선에 대한 대체노선이 확보되어 기존노선 모두 유지되며, 평균 배차간격은 3분으로 단축되는 효과를 나타냈다. 노선당 운행대수도 0.7대로 증가하는 실질적 개선도 있었다. 또 버스 이용객의 평균 통행시간도 8분이나 줄어든다. 시내버스의 감차 없이 전체 노선이 줄어들기 때문에 이런 효과를 거두게 되는 것이다.

※조정·신설 노선은 인천시 홈페이지(www.incheon.go.kr)와 본지 P52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7월 30일부터는 인천버스정보관리시스템과 네이버, 다음 등 포털사이트의 길찾기 서비스로
행선지를 검색하면 편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



 

첨부파일
OPEN 공공누리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의 자유이용허락 표시제도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자료관리담당자
  • 담당부서 콘텐츠기획관
  • 문의처 032-440-8302
  • 최종업데이트 2025-03-12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인천광역시 아이디나 소셜 계정을 이용하여 로그인하고 댓글을 남겨주세요.
계정선택
인천시 로그인
0/250

전체 댓글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