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지난호 보기

인천대공원에서 아라뱃길까지 2호선이면 OK!

2016-07-01 2016년 7월호


인천대공원에서 아라뱃길까지 2호선이면 OK!

남동구에서 서구까지 이어진 인천도시철도 2호선. 새로 생긴 전철의 모습이 궁금해서라도 한번 타보곤 싶은데, 어디에서 내리면 좋을까? 그냥 전철역 끝에서 끝까지 가볼까? 일단 교통카드 한 장 달랑 들고 지하철을 타자. 인천도시철도 2호선을 이용해 둘러보며 하루 또는 반나절을 훌륭하게 보낼 수 있는 여행지를 안내한다.
글 김윤경 본지 편집위원 사진 김성환 포토저널리스트



인천대공원역
인천도시철도 2호선이 전면 개통되는 7월 30일 이후로 인천대공원은 더 이상 자가용족의 전유물이 아니다. 수도권을 대표하는 대규모의 휴양 녹지 인천대공원은 어정쩡한 교통편이 늘 아킬레스건으로 작용해왔다. 하지만 인천도시철도 2호선이 개통되면 당일치기로 충분히 즐길 수 있는 여행지가 된다.
인천대공원역에서 도로 하나만 건너면 바로 인천대공원 남문과 연결된다. 수목원, 어린이동물원, 호수공원, 습지원, 관모산 등산로, 사계절 썰매장 등 볼거리와 즐길 거리가 가득하다. 나무 그늘아래 돗자리 하나 깔아놓고 종일 주변 풍경을 즐겨도 지루하지 않다. 문의 : 동부공원사업소 ☎466-7282

시민공원(문화창작지대)역
시민공원은 1974년 4월 13일에 개관해 2000년 9월에 철거된 인천시민회관 자리에 조성된 공원이다. 현재 공원에는 광장과 분수가 조성되어 있고, 주변 녹지와 함께 벤치, 조명 시설이 갖추어져 있어 시민들의 휴식 공간이 되고 있다.
시민공원 외에도 다양한 대중문화 창작자들을 양성하고, 이들의 창작 활동을 지원하는 시설인 ‘틈_문화창작지대’가 있다. 이곳에서는 다양한 강좌와 전문가들의 멘토링을 받으며 자신만의 고유한 작업을 할 수 있다. 정기적으로 공연이 열리기도 한다. 스튜디오, 다목적홀, 교육실, 편집실, 스튜디오 등 모든 시설은 예약제로 무료 이용할 수 있다. 문의 : 틈_문화창작지대 ☎876-6422

가재울역
가재울역 근처엔 약 8만300㎡ 면적의 가좌완충녹지공원이 있다. 2005년 가좌동 공업단지와 주거 지역 사이에 조성된 가좌완충녹지공원엔 벤치, 팔각정, 운동 기구, 여러 종의 꽃과 나무가 서식하는 숲이 조성되어 있어 산책과 운동을 즐기기에 좋다. 또 가재울역에서 592번과 593번 버스를 이용해 6분 정도 이동하면 인천아시아경기대회에서 테니스 경기가 열렸던 열우물경기장에 도착한다. 열우물경기장은 현재 수영, 테니스, 스쿼시 등의 생활체육 프로그램 장소로 활용되고 있다. 문의 : 열우물경기장 ☎715-6240~1




아시아드경기장(공촌사거리)역
2014 인천아시아경기대회의 개막식이 화려하게 펼쳐졌던 아시아드경기장도 이젠 전철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CF 촬영지로도 종종 등장하는 아시아드경기장은 현재 시민들의 건강을 위한 각종 생활체육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아시아드 투어프로그램’을 운영해 시민은 물론이고 외국 관광객들의 호응을 얻고 있다. 투어프로그램은 VVIP실 탐방, 스포츠 볼 전시관, 포토존, 천연잔디구장 축구 게임, 육상트랙 달리기 체험 등의 코스로 구성돼 있다. 이 중 인기 스포츠 종목부터 평소 쉽게 접하기 어려운 세계 각국 다양한 스포츠 종목의 볼과 라켓이 전시돼 있는 ‘스포츠 볼 전시관’이 특히 인기 있다. 문의 : 인천시설관리공단 ☎454-2025, 7

검암역
검암역에서는 시원한 물길의 시천가람터를 만날 수 있다. 아라뱃길의 ‘수향 3경’에 해당하는 시천가람터는 유람선을 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매화를 테마로 한 매화동산과 바람개비공원, 수상분수, 뱃길수상무대 등을 갖춘 도심의 워터프론트 공간이다. 뱃길 전망이 가능한 웅장한 시천교 아래를 내려다보면 오솔길을 따라 졸졸 흐르는 인공 시냇물과 분수 등이 있어 펼쳐진다. 다양한 체육시설을 갖춘 검암공원도 인근에 있어 하루 나들이 코스로 즐기기에 충분하다.
문의 : 아라종합안내센터 ☎1899-3650

완정역
이곳에서 버스로 4정거장을 더 가 원당사거리에서 하차하면 선사박물관에 도착한다. 선사시대를 테마로 한 선사박물관은 지상 2층 지하 1층 연면적 1894㎡(약 574평) 규모로 상설전시실, 기획전시실, 체험학습실 등이 있다. 전시실 내부에는 검단, 원당, 동양, 불로 지구 등 인천 서북부 지역의 도시개발 진행 과정에서 발굴된 도토류, 골각류, 금속류, 옥석유리류 등의 선사시대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특히 선사문화와 관련된 각종 모형 유물들을 직접 만져볼 수 있는 체험학습실은 어린이 및 청소년들의 선사문화 교육의 장으로 인기가 높다.
문의 : 선사박물관 ☎440-6790

첨부파일
OPEN 공공누리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의 자유이용허락 표시제도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자료관리담당자
  • 담당부서 콘텐츠기획관
  • 문의처 032-440-8302
  • 최종업데이트 2025-03-12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인천광역시 아이디나 소셜 계정을 이용하여 로그인하고 댓글을 남겨주세요.
계정선택
인천시 로그인
0/250

전체 댓글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