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호 보기
작은 어촌, 국제도시가 되기까지
작은 어촌, 국제도시가 되기까지
2016년 10월 19일 인천 인구가 300만 시대에 진입했다는 사실은 놀라움과 동시에 다시 한 번 인천의 지난 역사를 되돌아보는 계기가 되었다. 인구의 증가는 시세(市勢)의 확장이자 발전의 증표다.
글 강옥엽 시 역사자료관 전문위원
동여도 속의 인천
전근대 인천의 인구 변화
인천은 단지 인구나 면적의 수적 우위에서가 아니라 역사적으로도 서울, 부산, 대구에 못지않은 문화유산을 가진 도시다. 이제 웬만한 인천인이라면 인천 역사의 출발이 B.C. 18년 비류의 미추홀 정착으로부터 기산하여 2030여 년이 된다는 사실을 알 것이다. 또, 조선 태종 13년(1413) ‘인천’ 지명 탄생으로 보면 600년이 된다는 점도 인천지역사회에는 널리 알려져 있다. 사실 조선 태종 13년 지방제도를 개편할 당시 전국적으로 59곳의 지명 개편이 있었지만, 오늘날 인천처럼 ‘광역시’로 괄목할만한 발전을 이룬 곳은 없다.
18세기 후반 정조대 호구총수에는 인천도호부가 16면(面) 76리(里) 5도(島)를 포괄하면서 가구 수 4,096호, 인구 14,566명(남 7,505, 여 7,061)으로 적지 않은 규모다. 당시 부평은 15면 76리 3도를 포괄하고 가구 수 3,167호, 인구 11,587명(남 6,107, 여 5,480)으로 인구는 인천보다 약간 적은 편이었다.
전근대시기 인천지역은 문학산 아래 작은 분지를 중심으로 주로 농업과 어업을 생활의 방편으로 했지만, 그런 가운데서도 인구는 꾸준히 증가했다. 인천은 세곡 수송로이자 교통로였고 국방상의 요충지로 연안 방비의 중심지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읍치의 공간이 비록 작은 분지를 중심으로 구성되었지만, 자연스럽게 인구가 모여드는 지정학적 요인이 내재해 있었다.
1930년대 인천시가지
개항, 그리고 대한민국 발전의 견인차
1883년 제물포 개항 후 10년이 지난 1899년 『인천부읍지』를 보면, 인천은 가구 수 4,808호, 인구 20,189명(남 11,181, 여 9,008)으로 나타나 있다. 개항으로 인한 무역 및 상업시설의 확장 등의 요인에 의해 인구 증가와 이동이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더구나 일제강점기 인천지역은 점차 일본의 대륙침략을 위한 발판으로 변질되면서 군수품 생산과 수송을 위한 군수공업단지로 변모해 갔다.
실제적으로 인천지역 인구는 1910년부터 계속 증가하는데, 1931년경 인천 인구를 보면, 조선인 51,005명, 일본인 11,373명, 중국인 1,469명, 기타 외국인 34명 등 총 63,881명으로 나타난다. 1936년 1차 인천부역(仁川府域) 확장 전이라 이 수치는 1914년 생성된 부천군 지역을 제외한 개항장 중·동구에 거주했던 인구였다.
1차 부역 확장 이후인 1937년경 인구 현황을 보면, 조선인 87,737명, 일본인 13,890명, 중국인 805명, 기타 외국인 41명 도합 102,473명으로 나타나고 있다. 즉, 근대 개항에 따른 각국과의 교류, 무역 및 상업적 요인의 확장은 인천항에서의 인구 증가를 불러왔고, 일제강점기에는 각종 산업시설 설립과 전쟁에 따른 군수용품 제작 및 수송을 위한 인구 이동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광복 후 1949년 인구 총조사에서 인천 인구는 265,787명이었다. 광복 후 인천은 새로운 발판을 마련할 틈도 없이 6·25전쟁과 인천상륙작전의 현장이 되었고, 다른 지역에 비해 경제회복을 위한 각고의 노력을 많이 해야만 했다. 그리고 1960·70년대에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은 전국에서 많은 사람들이 모여드는 계기가 되었고 1963년 인천 인구는 445,378명으로 증가한다.
대한민국 산업화의 주역이었던 인천은 이러한 과정 속에 1981년 인구 100만 명을 돌파하면서 직할시로 승격하였고, 1995년에는 도시와 농촌을 통합하는 새로운 국토개발전략에 의해 광역시로 확장되었다. 강화와 김포 검단 그리고 옹진군이 편입되고, 서울 및 주변도시와 연계되는 고속도로, 산업도로, 전철 노선을 따라 인구가 집적되면서 260만 명에 이르렀다.
시민 행복 구현
중요한 것은 지금부터 300만 시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콘텐츠를 강구해야 한다는 사실이다. 그러므로 현재 인천이 지향하는 ‘가치 재창조’와 ‘주권시대’의 본질적 의미를 탓할 사람은 없다. 다만, 이를 실현해 가는 과정에서 ‘진정성’을 잃지 말아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지역에 대한 자부심과 주권은 인천적인 것의 정신적 확장에서 구해야 하며, 명실상부한 대한민국 제3대 도시로서의 경쟁력은 인천의 역사 문화에서 찾아야 한다. 그것이 곧 시민이 행복한 사회의 바탕이 될 것이다.
- 첨부파일
-
인천광역시 아이디나 소셜 계정을 이용하여 로그인하고 댓글을 남겨주세요.
전체 댓글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