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지난호 보기

공감하고, 함께 행복한 도시

2016-12-07 2016년 12월호



공감하고, 함께 행복한 도시

조금 늦더라도 모두 함께 가는, 따듯한 도시 인천. 시는 단 한 사람도 소외되지 않고 행복할 수 있도록, 시민사회단체 및 전문가들과 머리를 맞대고 깊이 고민했다. 그리고 그렇게 뜻 모아 찾아낸 ‘인천형 공감 복지’로 300만 시민 모두 행복한 내일을 연다. 
글 정경숙 본지 편집위원

300만 인천 시민 한 사람 한 사람이 인천의 주인이다. 시는 단 한 사람도 소외되지 않고 모두가 행복한 ‘인천형 공감 복지’ 시대를 연다. 시는 복지 정책을 추진하면서, 무엇보다 사회적 약자들의 아픔을 어루만지기 위해 깊이 고민했다. 그리고 시민사회단체 및 전문가들과 지속적으로 토론하고 중앙부처 등과 협의를 거친 끝에 인천형 복지의 기틀을 마련했다. 시는 당장 내년부터 ‘인천형 공감 복지’를 실현하기 위해 28개 신규·확대 사업에 637억 원을 배정했다. 이에 따라 복지 수혜자는 12만5천 명에서 25만9천 명으로 배 이상 늘어난다.




틈새 없는 인천 복지

복지는 ‘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 필요한 때에, 필요로 하는 것’을 제공해야 한다. 내년도 인천시 전체 복지예산은 금년 대비 1천547억 원이 늘어난 2조 3천756억 원으로 총예산의 28.6%에 이른다.
시는 먼저 복지 사각지대에서 어려움을 겪는 이가 없도록 ‘틈새 없는 복지정책’을 편다. 이를 위해 위기가정 긴급 지원 기준을 크게 낮추고, 긴급생계비, 의료비 등을 확대 지원하는 ‘SOS 복지 안전벨트’를 탄탄히 구축한다. 또 저소득층 중증 환자를 지원하는 ‘인천 손은 약손’ 프로젝트로 사회적 약자를 보듬는다.


고용·복지 통합 일자리

원하는 사람은 누구나 일할 수 있도록, 특히 저소득층의 사회 참여 기회를 확대한다. 먼저 자활참여자 ‘희망잡(job)아’ 프로젝트로 취업에 성공한 자활참여자에게 성과금을 지급해 희망의 끈을 놓지 않도록 한다. 또한 경력단절 여성이 다시 일할 수 있도록 인천여성일자리지원단을 중심으로 7개 새일센터와 연계해 취업상담과 직업교육훈련 등을 실시한다. 이를 통해 2018년까지 경력단절 여성 4만 명의 취업을 지원한다. 어르신의 일자리도 대폭 확대해 ‘인생 4막’까지 행복한 삶을 약속한다.


생애 주기별 돌봄 서비스

태어나서 노년에 이르기까지 인천시가 함께한다. 시는 ‘생애 주기별 돌봄 서비스’를 통해 시민의 삶을 풍요롭게 한다. 먼저 ‘I-Mom’ 지원 사업으로 사회 전반적인 출산 분위기를 조성한다. 시는 내년부터 출산 가정에 축하 바구니를 제공하고, 산모와 신생아의 건강관리를 지원한다. 또한 걱정 없이 아이를 키울 수 있도록 영유아 보육료와 만 3세∼5세아 누리과정을 지원한다. 그리고 ‘인천형 어린이집’을 올해 316개소에서 2020년 635개소까지 확충해 보육의 공공성을 강화한다. 특히 전국 유일의 ‘장애인 자세 유지 기구 보급’ 사업을 찾아가는 서비스로 확대해 저소득 장애인과 중증 장애인의 자활과 자립을 돕는다.


공유·나눔·공감 공동체

사회적 약자를 배려하여 조금 늦더라도 함께 가는 따듯한 공동체를 만든다. 먼저 ‘인천 보듬 지킴이’ 사업으로, 지역 소외계층의 문제를 150개 복지 공동체가 자체적으로 우선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또 장애인 특수차량을 구입해 장애인과 가족, 이웃이 함께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장애가족 공감 여행’을 확대한다.


건강·안심 복지도시

인천 어디서나 시민이 건강하고 안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 시는 의료 환경이 열악한 서해 5도 연평도, 백령도 주민을 대상으로 ‘마음 건강 사업’을 상설 추진한다. 정신 전문 인력을 배치해 심리적으로 불안정한 환자의 건강을 돌보고, 백령도 주민을 대상으로 고혈압·당뇨 합병증 예방사업을 편다.

‘인천형 공감 복지’ 사업

2017년 복지 예산 637억원, 2016년도 대비 131억 원 ↑ 정책 수혜자도 12만 5천여 명에서 25만 9천여 명으로 ↑
▶틈새 없는 인천복지 ▶고용·복지·통합 일자리 ▶생애 주기별 돌봄 서비스 ▶공유·나눔·공감 공동체 ▶건강·안심 복지도시 ▶인천형 복지사업 5개 중점과제 28개 세부사업으로 추진


 

 

첨부파일
OPEN 공공누리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의 자유이용허락 표시제도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자료관리담당자
  • 담당부서 콘텐츠기획관
  • 문의처 032-440-8302
  • 최종업데이트 2025-03-12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인천광역시 아이디나 소셜 계정을 이용하여 로그인하고 댓글을 남겨주세요.
계정선택
인천시 로그인
0/250

전체 댓글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