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호 보기
민족의 새해맞이 정월 대보름
민족의 새해맞이 정월 대보름
글 / 배성수 시립박물관 컴팩스마트시티부장 사진 / 인천시립박물관
정월 초하루 조상님께 차례 지내고 집안과 동네 어른께 세배 다니느라 분주한 탓일까? 우리 민족에게 새해맞이 세시풍속은 정작 대보름날 주로 이뤄진다.
정월 보름날 아침, 잠에서 깨면 머리맡에 둔 호두와 잣 등 견과류를 이로 깨무는 ‘부럼깨기’를 한다. 이렇게 해서 몸에 돋는 부스럼을 예방한다는 의미가 있으나, 이를 튼튼하게 하려는 실용적 목적도 있었다. 대보름 아침 식전에는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귀밝이술을 마시는데 집안 어른들은 가족에게 “귀 밝아라, 눈 밝아라”는 덕담을 한다. ‘부럼깨기’와 ‘귀밝이술’은 모두 새해 가족의 건강을 기원하는 대보름날의 풍습이다.
이날 한 해의 운세를 점치기도 한다. 정월 초하루부터 보름날까지 마을에서는 윷을 던져 그해의 운을 알아보는 ‘윷점’을 보았다. 윷을 세 번 던져 나온 각각의 패로 괘를 만들어 64괘로 풀이한 괘사(卦辭)에 맞춰 점을 보는 것이다. 조선 후기부터는 마을에서 한학을 공부한 어르신이 동네 사람들에게 ‘토정비결’을 펼치고 운세를 알려주었다. 지금도 새해에 가족이 모이면 ‘화투’를 펼쳐 운세를 점치는 화투점을 보곤 하듯이 새해의 운세를 미리 알아보는 풍습은 예나 지금이나 다를 바 없다.
보름달은 풍년을 상징한다. 한가위 보름달을 보며 한 해 농사가 잘되었음을 감사드렸다면, 새해 첫 보름달이 떠오르면 그해의 풍년을 기원하는 행사가 열린다. 대표적인 것으로 ‘쥐불놀이’가 있다. 달이 뜰 무렵 아이들은 쑥을 뭉쳐 공 모양을 만들고 여기에 불을 붙인 뒤, 긴 줄을 이용해 빙빙 돌리다 “망월이야!” 하고 외치며 논두렁, 밭두렁에다 불을 붙이는 놀이다. 근대 이후 깡통이 들어오면서 쑥 뭉치를 대신하고 있다. 이렇게 논밭에 놓은 불이 들쥐, 메뚜기, 벌레 등 농사에 해를 입히는 동물이나 해충의 알을 태워 한 해 농사를 이롭게 한다.
대보름에는 새해를 맞아 가정과 마을에 들어오는 나쁜 기운을 쫓는 액막이도 행한다. 가정에서 펼쳐지는 액막이로 달맞이가 있다. 강화도 북부 지역에서 전해 오는 달맞이는 보름달이 떠오르면 시작된다. 집안의 여성들이 짚으로 만든 방망이에 불을 붙인 뒤, 아이와 함께 쥐고 보름달을 향해 두세 차례 위아래로 흔들면서 “물 무섭고 불 무섭고 그런 거 다 제쳐 주시겨….”라 말한다. 그러고는 불이 붙은 짚 방망이를 땅에 내려놓고, 아이가 이를 뛰어넘게 한다. 즉 물귀신, 불귀신을 다 쫓아달라는 의미인 것이다.
인천의 경우 바닷가에서 달맞이를 했다. 짚 방망이에 불을 붙이는 형식은 비슷하나 그 옆에 수수, 팥 등 귀신이 싫어한다는 곡식을 놓고 액막이를 하는데 의식이 끝나면 수수와 팥을 바다에 던진다. 물고기 밥을 주는 풍어의 의미도 담겨 있는 것이다. 지금도 대보름날 저녁 월미도 등 바닷가에 가면 액막이를 하는 시민들 모습을 간혹 볼 수 있다. 또 제웅 인형을 만들기도 한다. 짚으로 인형을 만들어 그 안에 돈과 쌀, 그리고 가족의 이름과 생년월일을 적어 길바닥이나 바닷가에 던지며 한 해의 액운을 떨치는 것이다.
마을 단위의 액막이 행사 중 대표적인 것이 달집태우기다. 대나무와 짚으로 원뿔 모양의 달집을 만들고 그 안에 짚으로 엮은 달을 걸어놓는다. 보름달이 떠오르면 마을 주민들이 한데 모여 큰 소리로 “달이 뜬다”라고 외치며 달집에 불을 놓는데, 짚과 대나무가 ‘탁-탁-’ 큰 소리를 내며 타들어간다. 이 소리에 나쁜 귀신이 놀라 도망간다는 것이다.
2017년 정유년의 대보름은 2월 11일 토요일이다. 이 날 인천시립박물관과 검단선사박물관에서는 정월 대보름 행사가 펼쳐진다. 가족과 함께 다양한 놀이와 체험을 즐기면서 새해 가정의 평안과 건강을 기원해보는 것은 어떨까?
2017년 인천시립박물관 정월대보름맞이 민속놀이 한마당
2003년부터 매년 정월대보름에 연수구 옥련동 박물관 우현마당에서 열어 온 대보름행사로 인천에서 가장 오래된 대보름맞이 행사다. 세시풍속인 부럼깨기, 윷점보기, 토정비결, 귀밝이술 마시기, 걱정인형 만들기 등 다양한 행사가 펼쳐지며, 달이 떠오를 무렵 시작되는 달집태우기 행사가 장관을 이룬다.
시립박물관 정월대보름 행사 중 달집태우기
금년 1월 26일부터 박물관 주변에 걸리는 새끼줄에 한 해의 소원을 적으면, 이를 모아 달집 주변에 걸고 대보름날 저녁 달집과 함께 태운다.
일시 : 2017년 2월 11일(토) 오후 1시~7시
장소 : 시립박물관 우현마당
문의처 : 032-440-6736
- 첨부파일
-
인천광역시 아이디나 소셜 계정을 이용하여 로그인하고 댓글을 남겨주세요.
전체 댓글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