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호 보기
우리 집, 미니 발전소
우리 집, 미니 발전소
지금, 태양광 발전기를 설치해 집안 곳곳 따스한 햇살이 스며들게 하자. 시의 지원으로 부담 없이 전기 요금을 아낄 수 있고, 지구를 살리는 친환경적인 삶에 동참할 수도 있다. ‘작지만 큰’ 햇빛이 주는 혜택이 더없이 반갑다.
글 / 정경숙 본지 편집위원 사진 / 류창현 포토디렉터
태양광, 전기료 폭탄의 해결사
‘쓸 것이냐, 아낄 것이냐’ 한 푼이라도 더 가정 살림을 알뜰살뜰 꾸릴 방법을 찾는다면, 소형 태양광에 주목하자. 태양광 발전기는 햇빛을 우리에게 필요한 에너지로 바꿔주는 기특한 존재. 태양광 모듈에서 생산된 전기를 플러그로 콘센트에 연결해 간편하게 사용하는 친환경 전기 생산 방식이다. 전력 생산량과 누적량도 모니터링 장치를 통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시는 신재생에너지를 보급하기 위해 올해 예산 2억 2천만 원을 투입, 300여 가구를 대상으로 250부터 520W까지 소형 태양광 발전 설비의 설치비를 지원한다. 시의 지원을 받아 우리 집에도 부담 없이 태양에너지를 끌어들여 보자.
전재범 시 에너지정책과 신재생에너지팀장은 “신재생에너지 보급은 지구온난화에 대비하는 가장 효율적인 수단”이라며, “아파트 및 주택은 물론 도시 곳곳에 소형 태양광 발전 설비를 확대 보급해 친환경 도시 인천을 만드는 데 힘을 보태고 싶다.”라고 말했다.
전력 생산량을 확인하는 모니터링 장치
10만 원이면, 내 집에 발전기를
우리 시와 구는 소형 태양광 발전기 설치비를 최대 90%까지 지원한다. 200~520W짜리 소형 태양광 발전기를 설치하려면 60만 원에서 220만 원까지 비용이 든다. 하지만 시의 지원을 받으면 설치비의 60%를 절약할 수 있다. 또한 같은 단지, 동일한 용량으로 10가구 이상 단체로 신청하면 추가로 10%가 지원되고, 여기에 해당 구의 지원이 더해지면 최대 90%까지 설치비를 지원받을 수 있다.
김영복(45, 연수구) 씨는 시의 지원으로 햇빛이 주는 혜택을 누리고 있다. 그는 지난해 260W 태양광 발전 설비를 설치하는 데, 시로부터 보조금 51만 원을 지원받았다. 이후 전기료가 크게 절약됐다. 설비를 설치하기 전엔 월평균 전기 요금이 5만 원 정도 나왔는데, 현재는 4만 원으로 떨어졌다. 그는 “신재생에너지를 사용해 전기료를 절약하고 무엇보다 친환경적인 삶을 실천할 수 있어 기쁘다”라며 만족스러운 미소를 지었다.
계약부터 설치까지 원스톱 서비스
그렇다면 소형 태양광 발전 설비를 설치하는 일이 복잡하지는 않을까? 그렇지 않다. 신청자가 시공 업체를 선택하면, 이후 계약부터 설치까지 원스톱으로 이뤄진다. 인천에 있는 공동·단독주택 소유자라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고, 아파트 베란다나 단독주택 옥상 중 선택해 설치할 수 있다. 또 설비가 태양광 모듈, 거치대, 소형 인버터, 모니터링 장치 등으로 간단하게 구성돼 있어, 집을 옮겨도 쉽게 해체하고 재설치할 수 있다. 설치 후 5년간 무상 수리도 가능하다. 300W짜리 소형 태양광 발전 설비는 일조량을 비롯한 주변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보통 한 달 평균 전기 33㎾를 만들어낸다. 이는 보통 대형 김치냉장고 한 대를 사용할 수 있는 전력으로, 한 달 전기료를 7천 원에서 최대 1만 원까지 절약할 수 있다. ‘작지만 큰’ 햇빛이 주는 혜택이 더없이 반갑다.
태양광 발전기 설치를 지원 받은 시민 김영복(좌)씨와 대행업체 ㈜제이에이치에너지 직원(우) )
소형 태양광 발전 설비 지원 체크 리스트
우리 집 방향은?
집이 남향을 끼고 있어야 한다. 정남향이 가장 좋으며 동남향과 남서향도 괜찮다. 햇빛이 하루 4시간 이상 들어와야 효과가 있다.
전기료, 얼마나 절약되나?
소형 태양광 모듈 300W 한 장을 설치하면, 한 달에 33㎾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가구당 월 평균 7천 원에서 최대 1만 원까지 전기료를 절약할 수 있다.
지원 자격은?
햇빛이 잘 드는 인천 내 공동·단독주택 소유자면 누구나 신청해 지원받을 수 있다.
지원 절차는?
우리 시가 선정한 업체와 계약하면, 신청서 접수부터 보조금 지원 등 행정 절차를 업체에서 모두 대행해 준다. ‘2017년도 소형 태양광 지원 사업’ 시공 업체는 ㈜제이에이치에너지(070-4713-0679), ㈜미림에너텍(577-5292), 중앙에너지㈜(010-3326-5870) 등 이다.
자세한 사항은 인천시 웹사이트(www.incheon.go.kr) 행정 → 고시·공고란을 참고하거나, 시 에너지정책과(440-4352)로 문의한다.
- 첨부파일
-
- 이전글
- 인천, 내일 더 맑음
인천광역시 아이디나 소셜 계정을 이용하여 로그인하고 댓글을 남겨주세요.
전체 댓글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