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원연수 프로그램-한인 해외 디아스포라의 역사와 특징- 안내
○ 한국이민사박물관은 국내 유일의 이민사박물관으로서 미주, 중국, 일본, 노령 등의 지역으로 뻗어나간 한인 디아스포라의 역사와 특징을 연수함으로 해외 동포 700만의 시대에 교과과정에 들어있는 해외 이민과 이주 역사에 대해 효과적으로 설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교원연수 프로그램을 실시한다.
○ 세계화 시대에 하와이 이민, 파독 광부와 간호사의 이야기, 중국 조선족의 이야기, 중앙아시아의 고려인 등 한국인의 해외진출의 역사를 살펴보고 또한 귀환 입양인들의 역사를 살펴봄으로서 다문화 교육에 효율적인 도움을 주고자한다.
○ 교원의 교과과정 전문성을 높이고 교육현장에서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이론강의, 현장답사, 체험실습 등 교육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으로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 교 육 명: 한인 디아스포라의 역사와 특징
- 교육대상: 인천시 중등교원(직무연수 2학점 부여)
- 교육인원: 30명(예비선발 10명)
- 교육신청 및 교육기간
교육신청기간: 2014.6.16(월)~7.11(금), 인터넷 선착순 접수
교 육 기 간: 2014. 8.4(월)~8. 8(금), 10:00~17:00
- 교육장소: 한국이민사박물관 강당
- 교 육 비: 무료(점심 미제공), 교재제공
- 세부교과 진행표
일시 |
시간 |
강의주제 |
강사 |
8.4(월) |
09:30~10:00 |
등록 및 개강식 |
- |
10:00~11:50 |
한민족 디아스포라 개관 및 한국이민사박물관 |
김상열
(한국이민사박물관장) |
12:00~12:50 |
점심 |
- |
13:00~14:50 |
한인들의 러시아 디아스포라 개관
-150년의 러시아 한인들의 이야기 |
윤상원
(동국대 대외교류연구원 교수) |
15:00~16:50 |
한인들의 일본 디아스포라 개관
-강제와 차별 속의 불안한 정주레닌기치를 |
서민교
(동국대 대외교류연구원 교수) |
8.5(화) |
10:00~11:50 |
한인들의 중국 디아스포라 개관
-만주벌판에 정착한 한인들의 이야기 |
김태국
(중국 연변대 교수) |
12:00~12:50 |
점심 |
- |
13:00~14:50 |
민족성을 지켜온 중국의 한인들
-중국 조선족의 무형 문화유산 |
정연학
(국립민속박물관 학예연구관) |
15:00~16:50 |
통해 본 고려인의 이야기
-돌아가는 사람들과 남겨진 사람들 |
홍웅호
(동국대 대외교류연구원 교수) |
8.6(수) |
10:00~11:50 |
오사카 이쿠노구의 한인들
-일본 시장통 자이니치들의 이야기 |
김인덕
(청암대 교수) |
12:00~12:50 |
점심 |
- |
13:00~14:50 |
하와이 이민과 미국 디아스포라 개관
-사탕수수 농장에서 시작된 아메리칸 드림 |
박철호
(기념탑교회 목사) |
15:00~16:50 |
멕시코와 쿠바의 한인들
-한국의 혼을 간직하고자 한 중미 이주민 |
박철호
(기념탑교회 목사) |
8.7(목) |
10:00~11:50 |
파독 광부와 간호사들의 이야기
-경제발전의 원천 이주노동자들의 삶 |
권이종
(파독광부, 전 교원대 교수) |
12:00~12:50 |
점심 |
- |
13:00~16:50 |
인천 개항장 답사
-포와(하와이) 가는 길 |
박철호
(기념탑교회 목사) |
8.8(금) |
10:00~11:50 |
선택하지 않은 또 하나의 디아스포라
-귀환입양인을 통해 본 입양의 역사 |
안드레아 카비키
(UCLA 교수) |
12:00~12:50 |
점심 |
- |
13:00~14:50 |
재외동포 지원 정책과 고려인
-환영받지 못한 동포, 고려인 이야기 |
김승력
(고려인한글야학 '너머'대표) |
15:00~16:50 |
한국이민사박물관 전시실 체험교육 및 폐회식 |
연창호
(한국이민사박물관 학예연구사) |
※ 내부사정으로 인하여
8/4(월)의
홍웅호(레닌기치를 통해 본 고려인의 이야기)교수와
8/5(화)의
서민교(한인들의 일본 디아스포라 개관)교수의
시간표가 변경되었습니다. 변경된 시간표로 공지합니다.
※
기타 문의사항은 032)440-4708으로 문의 바랍니다.
-
공공누리
-
-
OPEN 공공누리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의 자유이용허락 표시제도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