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정월대보름맞이 민속놀이 한마당
□ 행사개요
-일 시 : 2017년 2월 11일 토요일(음력 1월 15일), 13시~19시
-장 소 : 박물관 우현마당
-행사내용 : 체험마당, 놀이마당, 겨루기마당, 공연마당, 달집태우기 등
※ 체험마당 프로그램 중
걱정인형, 닭 달력, 색종이 칠교, 닭 가면 만들기는 1시부터 접수를 시작하여
30분 단위로 당일 현장 접수 함(예를 들어 1시 접수, 1시 30분 접수, 2시 접수...)
정월대보름맞이 민속놀이 한마당 행사 내용
시간 |
프로그램 |
내용 |
13:00
~17:30 |
체험
마당 |
걱정인형 |
제웅인형에서 착안한 털실로 만드는 걱정인형이다.
보름날 짚으로 인형을 만들어 그 안에 동전 등을 넣고 길가나 개울가에
버리면 그 해의 나쁜 운세를 쫓을 수 있다는 풍속이 전해짐 |
추억의 제기 |
제기는 엽전이나 쇠붙이에 얇고 질긴 종이나 천을 접어서 싼 다음, 끝을
여러 갈래로 찢어 너풀거리게 한 놀이기구이다. 주로 겨울에서 정초에 걸쳐 노는 어린이 놀이이다. |
색종이 칠교 |
기원전부터 중국의 민간사회에서 가정에 손님이 찾아왔을 때, 음식을 준비하
는 동안 손님이 지루하지 않도록 칠교판을 제공하였으므로 유객(留客)판, 또
는 지혜(智慧)판, 칠교(七巧)도라고 불렀다고 한다. |
닭 달력 |
2017년 정유년, ‘붉은 닭의 해’를 맞이하는 닭 달력 만들기 |
닭 가면 |
2017년 정유년, ‘붉은 닭의 해’를 맞이하며 닭 가면 만들기 |
종이 투호 |
두꺼운 종이를 돌돌 말아서 한쪽 끝을 가위로 잘라 화살의 깃털 모양내기 |
소원지 쓰기 |
2017년 한 해를 기원하는 마음을 소원지에 써서 금줄 및 달집에 매달기 |
놀이
마당 |
투호 |
일정한 거리에 병[壺]를 놓고 편을 갈라 병 속에 화살을 던져 넣는 놀이 |
윷놀이 |
정월 초하루에서 보름까지 윷이라는 놀이도구를 사용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어울려 즐기면서 노는 놀이. 사희(柶戱) 또는 척사희(擲柶戱)라고도 한다. |
윷점 |
윷을 가지고 한 해의 운수나 풍흉을 점치는 것. 한자어로 사점(柶占)이라고도
한다. |
토정비결 |
정초에 『토정비결(土亭秘訣)』이라는 책을 통해 한 해의 운수를 알아보는
대표적인 점복풍속 |
사방치기 |
사방치기는 평평한 마당에서 주로 여자아이들이 땅에 일정한 규격의 선을
그어 바둑판 모양의 칸을 만든 다음에 막자[납작한 돌이나 사금파리]를 이용
하여 일정한 순서와 방법에 따라 돌아 나오는 민속놀이이다 |
비석치기 |
둘 또는 여러 명의 아이들이 패를 나누어 노는 놀이로 ‘비사치기’·‘비석차기’
라고도 한다. 비석은 이 놀이의 도구로 어른의 손바닥만한 장방형의 돌을 말
한다. |
떡메치기 |
기계화된 떡집에서 만들어지는 떡이 아닌 전통방식으로 인절미 만드는 과정 체험 |
먹거리 |
행사 참여하는 시민들에게 보름맞이 부럼, 귀밝이술과 따뜻한 차 제공 |
14:00
~18:00 |
겨루기마당 |
개인대항 |
어린이 제기차기 20명, 아빠 팔씨름 8명, 엄마 팔씨름 8명 |
가족대항 |
가족 투호대회 16팀, 인간 윷놀이 16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