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은 '미추홀'로 처음 알려졌습니다

이 지역이 하나의 행정구역으로 등장하는 것은 고구려 장수왕 때(475)로 매소홀현(買召忽縣)이었다.


이후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후 경덕왕 때 한자식으로 바뀌어 소성현(召城縣)이 되었다. 고려 숙종(1095~1105) 때 숙종 어머니의 내향(內鄕)이었던 관계로 경원군(慶源郡)으로 개칭·승격되었다. 

그 뒤 인종(1122~1146)때에 순덕왕후 이씨의 내향이라 하여 인주(仁州)로 승격되었는데 이자겸(李資謙)의 난으로 인주 이씨가 몰락하다시피 하였으나 공양왕 2년(1390)에 이르러 다시 경원부로 환원되었다.

그것은 ‘칠대어향(七代御鄕)’이라 하여 문종에서 인종에 이르는 7대 동안 고려왕실과 관련이 있는 지역이었기 때문이었다. 조선왕조가 개창되면서 경원부는 다시 인주로 환원되었다. 그러나 태종 13년 주(州)자를 가진 도호부 이하의 군·현 명을 산(山), 천(川) 두 글자 중 하나로 개정토록 하여 현재의 인천으로 탄생하게 되었고, 그날 (1413년 10월 15일)을 기려 ‘인천시민의 날’ 이 제정되었다.

인천역사

  • 1400년대

    1413. 10. 15.

    조선 태종 13년 「인주」에서 「인천군」으로 개칭.

  • 1800년

    1883

    '부내', '머누금', '주안', '남촌', '조동', '신현', '황등천', '전반', '이포', '다소' 등 10개 '면(하급 행정구역)' 구역은 조선이 외국인에게 개방하면서 인천으로 통합되었습니다.

    1895. 05. 26.

    '부제' 제도가 시행되면서 설립된 인천부.

  • 1910년

    1914. 04. 01.

    인천부와 부평군의 일부가 통합되어 부천군이 됨

    1914. 09. 01.

    인천부에 편입된 월미도

  • 1930년대

    1936. 10. 01.

    부천군 다주면과 문학면의 일부가 인천부에 편입되었습니다.

  • 1940년대

    1940. 04. 01.

    부천군 문학·남동·부내·서곶 등 4개 면이 인천부로 통합됐습니다.

    1949. 08. 15.

    지방자치법 제정 이후 인천부에서 인천시로 개칭.

  • 1960년대

    1963. 01. 01.

    인천시에 편입된 부천군 작약도.

    1968. 01. 01.

    '구제' 제도 시행으로 4개 '구(하급행정구역)'구(중구·남구·동구·북구)가 신설되었습니다.

    • 북부지방청 관할 송월동은 동부지방청으로 통합하여 중구를 설치하였습니다.
    • 북부지방청과 동부지방청을 통합하여 동구를 설립하였습니다.
    • 남부, 주안, 문학, 남동의 4개 지방사무소가 통합되어 남구가 설치되었습니다.
    • 부평지방청과 서곶지방청을 통합하여 북구를 설립하였습니다.
    • 남동지방청, 서곶지방청 등 7개 행정동(근린급 행정구역) 신설 《 4개 구, 2개 지방청, 66개 동
  • 1970년대

    1973. 07. 01.

    중구에 편입된 동구 월미도.

  • 1980년대

    1981. 07. 01.

    경기도에서 분리되어 중앙정부에 의해 '직할시'로 승격.

    1988. 01. 01.

    2개 구에 《 6개 구, 94개 동 》가 설치되었습니다.

    • 남구(1개 지방청, 40개 동)는 →남구(27개 동), 남동구(13개 동)로 세분화되었습니다.
    • 북구(1개 지방청, 29개 동)는 →북구(19개 동), 서구(10개 동)로 세분화되었습니다.
    1989. 01. 01.

    경기도 3개 면이 인천직할시로 통합.

    • 경기도 옹진군 영종면과 용유면 → 인천직할시 중구.
    • 경기 김포군 계양면 → 인천 북구 직할시.
    • 3개 행정동(영종동, 용유동, 계양동)은 《6구, 97개 동 》을 설치하였습니다.
  • 1990년대

    1995. 01. 01.

    인천직할시에서 인천광역시로 명칭 변경.

    1995. 03. 01.

    2개의 자치구가 설립되었습니다.

    • 북구(32동) 하위권→부평구(21동), 계양구(11동)가 대상이다.
    • 남구(31개동) →남구(23개동) 연수구(8개동)로 세분화.

    시·도 경계의 재편성.

    • 북구 서운동 일부가 경기도 →부천시로 통합되었습니다.
    • 경기도에서 강화군(1읍 12면), 옹진군(7면), 김포군 검단면이 인천광역시로 통합됨. 《 2개 군, 8개 구, 1개 읍, 19개 면, 124개 동》
    1998. 10. 10. ~ 11. 10.

    소동지구의 통폐합(1읍 19면 116동으로 축소).

  • 2000년대

    2001. 12. 28.

    서구 검단동은 검단1동과 검단2동으로 세분화되었습니다.

    2003. 03. 01.

    연수구 옹련동은 옹련1동과 옹련2동으로 세분화되었습니다.
    계양구 계산3동은 계산3동과 계산4동으로 세분화되었습니다.

    2005. 08. 12.

    서구 검단1동과 검단2동은 검단1동, 검단2동, 검단3동으로 세분화되었습니다.

    2005. 12. 30.

    부평구 삼산동은 삼산1동과 삼산2동으로 세분화되었습니다.

    2006. 09. 01.

    서구 검단1동은 검단1동과 검단4동으로 세분화되었습니다.

    2006. 11. 26.

    중구와 동구의 관할구역 조정.

    • 중구 전동·인현동 일부는 동구 → 화평동으로 통합.
    • 중구 인현동 일부가 동구 →송현동으로 통합되었습니다.
    2007. 01. 01.

    연수구 동춘2동은 동춘2동과 송도동으로 세분화되었습니다.

    2009. 02. 01.

    남구 소동지구 통합.

    • 숭의1동, 숭의3동 → 숭의1·3동
    • 용현1동, 용현4동 → 용현1·4동
    • 도화2동, 도화3동 → 도화2·3동
    2009. 07. 20.

    남동구 논현고잔동은 논현동과 논현고잔동으로 세분화되었습니다.

  • 2010년대

    2010. 06. 10.

    서구에 설립된 청라동.

    • 경서동, 연희동, 원창동 → 청라동 일부
    2011. 05. 20.

    남동구 논현동을 논현1동으로 명칭 변경.
    논현고잔동은 논현2동과 논현고잔동으로 세분화되었습니다.

    2012. 01. 01.

    연수구 송도동은 송도1동과 송도2동으로 세분화되었습니다.
    중구 영종동은 영종동과 운서동으로 세분화되었습니다.
    (2개 군, 8개 구, 1개 읍, 19개 면, 125개 동)

    2012. 07. 09.

    청라동(서구)은 청라1동과 청라2동으로 분동되었습니다.
    (2개 군, 8개 구, 1개 읍, 19개 면, 126개 동 행정구역)

    2013. 07. 05.

    검단1동(서구)은 검단1동과 검단5동으로 구획되었습니다.
    (2개 군, 8개 구, 1개 읍, 19개 면, 127개 동 행정구역)

    2014. 09. 24.

    송도1동(연수구)은 송도1동과 송도3동으로 분동되었습니다.
    (2개 군, 8개 구, 1개 읍, 19개 면, 128개 동 행정구역)

    2015. 04. 01.

    계양1동(계양구)은 계양1동과 계양3동으로 분동되었습니다.
    (2개 군, 8개 구, 1개 읍, 19개 면, 129개 동 행정구역)

    2015. 07. 31.

    남동구의 행정구역 변경(동구)

    • 구월1동 일부 → 구월3동 편입
    • 만수2동 일부 → 만수4동 편입
    2016. 03. 02.

    서구 법정동 지구의 구역 조정
    연희동, 가정동, 신현동, 원창동의 일부를 관할구역으로 변경

    2016. 03. 02.

    법정동 신규매립지 지정(경인아라뱃길 준설토 이용 : 북인천단지)
    법정동 : 경서동, 행정동 : 검암경서동

    2016. 07. 01.

    청라2동(서구)은 청라2동과 청라3동으로 분동되었습니다. (2개 군, 8개 구, 1개 읍, 19개 면, 130개 동 행정구역)

    2017. 03. 31.

    남구·동구·남동구의 재개발

    • 남구 주안동 일부 → 남동구 간석동 편입
    • 남구 숭의동·도화동 일부 → 동구 창영동·송림동 편입
    2018. 01. 01.

    영종동(중구)은 영종동과 영종1동으로 분동했습니다.
    (2군 8구 1읍 19면 131동 행정구역)

    2018. 07. 01.

    남구 미추홀구로 개칭

    • 미추홀구 숭의1·2·3동 일부 → 용현2동 편입
    • 미추홀구 학1동 일부 → 용현1,4동 편입

    서구 동 명칭 변경

    • 검단1동 → 검단동
    • 검단2동 → 불로대곡동
    • 검단3동 → 원당동
    • 검단4동 → 당하동
    • 검단5동 → 오류왕길동
    2018. 11. 05.

    장수서창동(남동구)은 장수서창동과 서창2동으로 구획되었습니다.
    (2군 8구 1읍 19면 132동 행정구역)

    2019. 01. 01.

    송도2동(연수구)은 송도2동과 송도4동으로 분동되었습니다.
    (2군 8구 1읍 19면 133동 행정구역)

    2019. 11. 04.

    당하동(서구)은 당하동과 마전동으로 구획되었습니다.
    (2개 군, 8개 구, 1개 읍, 19개 면, 134개 동 행정구역)

  • 2020년대

    2020. 10. 26.

    송도4동(연수구)은 송도4동과 송도5동으로 분동되었습니다.
    (2군 8구 1읍 19면 135동 행정구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