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주요 유물 소개

강화도조약을 체결하기까지의 과정을 기록한 문서, 역관문정수본

담당부서
유물관리부 (032-440-6764)
작성일
2022-03-28
조회수
1292

강화도조약을 체결하기까지의 과정을 기록한 문서, 역관문정수본(譯官問情手本)



명칭

역관문정수본(譯官問情手本)

국적

한국

시대

조선

제작연도

1876년

재질

지류

크기

26.5cm×800cm

소장위치

상설전시실 역사2실


조선의 첫 불평등 조약, 강화도조약

  조일수호조규(朝日修好條規) 또는 강화도조약(江華島條約)은 1876년 2월 27일 조선과 일본 제국 사이에 체결된 조약입니다. 다른 명칭으로 한일수호조약(韓日修好條約) 또는 병자수호조약(丙子修好條約) 등으로 부르기도 하며, 흔히 강화도조약으로 알려진 이 조약의 정식 명칭은 조일수호조규(朝日修好條規), 일본 측에서는 병자수교조약(丙子修交條約)이라고도 부릅니다.

  일본은 1865년 왕정복고로 천황 친정 체제를 마련하고 메이지유신을 단행하여 근대국가로의 급속한 발전을 이루었고 조선과의 근대적 국교 관계를 맺기 위해 교섭해 왔습니다. 그런데 조선은 국서의 서식이 종래와 다르고 대마도주 무네씨(宗氏)의 직함이 다르다는 이유로 접수를 거부하였습니다. 그러나 흥선대원군의 하야, 민씨 척족 정권의 재등장으로 통교 교섭은 새로운 전기를 맞게 되었습니다. 시세에 편승한 일본은 조선 현지의 사정을 정탐하고 무력 시위에 의한 국교 촉진의 방안을 건의한 모리야마(森山茂)의 권고를 받아들여 군함 3척을 파견, 부산항에서 함포 사격 연습을 한다는 구실로 조선 정부에 간접적인 위협을 가해 왔습니다. 또, 일본은 운요호(雲揚號)를 수도의 관문인 강화도에 출동시켜 연안 포대의 포격을 유발시킨 운요호사건을 기회로 군사력을 동원한 강력한 교섭을 펴, 마침내 1876년 2월 27일 강화 연무당(鍊武堂)에서 전권대시 신헌(申櫶)과 특명전권판리대신(特命全權辦理大臣) 구로다(黑田淸隆) 사이에 12조로 된 조일수호조규를 체결하였습니다.


주요 내용과 의의

조약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조선은 자주의 나라로 일본과 평등한 권리를 가진다(제1조).

둘째, 조선은 부산과 원산과 인천 항구를 20개월 이내에 개항한다(제5조).

셋째, 치외 법권을 인정하여 개항장에서 일본인의 범죄가 발생할 경우, 일본인은 일본인의 법률에 의해 처벌된다(제10조).

넷째, 조선의 연안 측량을 자유롭게 한다(제7조).


  조약의 체결로 조선은 개항 정책을 취하게 되어 점차 세계 무대에 등장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그러나 불평등조약이었기 때문에 일본의 식민주의적 침략의 시발점이 되었을 뿐 아니라 이후 일본을 견제하려는 청나라의 주선으로 미국과 통상 조약을 체결하고(1882년), 영국을 비롯한 유럽 각국과 우호 통상 조약을 맺기 시작하였습니다. 또한 이 조약으로 척사위정세력과 개화세력 사이의 대립이 일어나는 전환점이 되었습니다.

 

인천시립박물관의 역관문정수본(譯官問情手本)

  인천시립박물관 소장 역관문정수본은 1876년 조선과 일본이 강화도에서 맺은 조일수호조규가 맺어지기까지의 정황이 기록된 자료입니다. 1876년 1월 3일로부터 같은 달 17일까지의 조선 내 일본 이양선의 움직임이 날짜별로 상세히 기재된 다음 당시에 체결된 12조의 조문이 적혀있고, 마지막으로 운현궁에서 묘당으로 보낸 편지(雲峴抵廟堂書)와 청인들 사이에 장수를 기원하며 부른 시(淸人內壽昌詩)가 수록되어 있습니다.

  1월 3일과 4일에는 일본 해군 소좌(少佐) 가사마 고오슌(笠間廣盾)과 조선 측 관원이 주고받은 문답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가사마 고오슌이 이끌고 온 배의 이름은 맹춘호로서 특명전권변리대신인 구로다 기요타카(黑田淸隆)와 특명부전권변리대신인 이노우에 가오루(井上馨)일행이 강화도로 도착하기 전 수로를 측정하는 일을 완료하고 다시 내려가 그들의 항해를 인도하는 임무를 띠고 있었습니다. 이후 일본 이양선의 움직임에 대해 경기감사, 강화유수, 인천부사 등이 올린 보고 내용이 연이어 기재되어 있고, 일본인들이 강화에 입도한 이후에는 그들을 접견한 대신들의 보고와 그들의 동향을 전해들은 경기감사, 강화판관 등의 보고가 연이어 기록되어 있습니다.


글_허윤현(인천시립박물관 유물관리부)








공공누리
OPEN 공공누리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의 자유이용허락 표시제도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한자제목
譯官問情手本
자료관리담당자
  • 담당부서 유물관리부
  • 문의처 032-440-6768
  • 최종업데이트 2022-07-21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