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주요 유물 소개

초등학교 운동장에 포탄이??

담당부서
유물관리부 (032-440-6768)
작성일
2024-08-09
조회수
466

초등학교 운동장에 포탄이 ??

명칭

러일전쟁 포탄

국적

한국

시대

대한제국

재질

철제, 석재

크기

전체높이 146.5,  포탄높이 42.7/104.5/41.4cm

소장위치

시립박물관 야외전시 (우현마당)


 인천시립박물관 우현 마당에 들어서면 수인선 객차, 고인돌, 비석 등 야외 유물이 전시되어있는 걸 볼 수 있는데 그 중 눈에 띄는 유물이 하나 있습니다. 바로 인천 신흥초등학교에서 기증받아 2019년 10월부터 박물관 마당에 전시되고 있는 ‘러일전쟁 포탄’입니다. 이 포탄은 왜 초등학교에 있었던걸까요?


<러일전쟁, 비극의 시작>

 우선 포탄의 배경이 되는 러일전쟁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러일전쟁은 1904년 일본이 제물포와 뤼순에 정박 중이던 러시아 함선을 기습공격하면서 시작된 전쟁입니다. 이 때 제물포에는 러시아의 군함 바리야크호와 코레츠호가 정박 중이었는데, 두 함선은 기습공격을 극복하지 못했고 인천 앞바다에 가라앉았습니다. 결국 일본의 승리로 이끈 러일전쟁은 한반도 비극의 서막을 알리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초등학교에 포탄이 왜?>

 전쟁이 끝나고 일본은 바리야크호를 인양하였고, 코레츠호는 인양이 어려워 수중 해체하였습니다. 신흥초등학교 포탄 네임카드 설명과 『인천부사』의 기록으로 미루어보면, 배에서 나온 고철을 민간인에게 불하(拂下, 국가 또는 공공 단체의 재산을 개인에게 팔아넘기는 일) 할 때 이 포탄이 습득된 것으로 보입니다. 


 그렇다면 포탄이 왜 초등학교에 자리잡고 있었던 걸까요? 신흥초등학교는 과거 일본인 학교였습니다. 개항으로 인천에 거주하는 일본인이 늘어나면서 1884년 일본인 자녀를 교육하기 위한 ‘인천공립 심상고등소학교’가 개교하였고, 광복 후 1946년에 ‘신흥 국민학교’로 교명이 변경되었습니다.


▲ 6023 인천 사진엽서(조선인천부청)
▲ 6900 신흥초등학교 8회 졸업사진(1953년)

 포탄의 행적은 인천시립박물관 소장유물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1910~1932년 인천부청 사진에 청사 입구 양옆에 비대석 없이 포탄이 전시되어 있고, 1953년 신흥초등학교 졸업사진에서는 운문이 음각되어 있는 조선 후기 양식의 받침돌 위에 포탄 3개를 꽂아 시멘트로 고정한 형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언제부터 이런 형태로 만들었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어린 일본인 학생들에게 승전을 각인시키기 위해 전리품을 기념비적인 형태로 만들어 놓은 것으로 보입니다. 전쟁에 대해 일본이 어떤 교육을 해왔는지 알려주는 중요한 유물이라 볼 수 있습니다.


<인천시립박물관에 자리 잡게 된 포탄>

신흥초등학교 위치한 포탄
1차 보존 처리 (2019년)
2차 보존 처리 (2022년)

 2019년 신흥초등학교에 있던 철제 포탄은 전체적으로 흰색 페인트가 칠해져 있었고, 부식이 매우 심해 페인트층이 벗겨지고 있었습니다. 받침돌은 화강암 재질로 오랜 시간 습한 땅에 노출되어 지의류(암석이나 나무 표면 등에서 서식하는 녹조류와 균 생물체)가 자라고 있고 표면도 검게 변한 상태였습니다. 결국 60년이 넘는 긴 시간 동안 학교에 남아 녹슬어가던 일제의 흔적은 2019년 10월 29일 인천시립박물관 유물이 되어 우현 마당에 자리를 잡게 되었습니다. 


 ‘조선’의 받침돌 위에 ‘러시아’ 포탄을 꽂아두고 전쟁 승리를 각인하고자 했던 ‘일본’. 어쩌면 이 포탄의 보존 처리를 통해 단순히 오래된 페인트와 녹 제거가 아닌, 우리 영토에서 일어난 다른 나라들의 전쟁을 지켜볼 수밖에 없었던 대한제국의 서러움을 조금이나마 씻어내고 싶었던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현재 인천시립박물관에는 포탄 이외에도 러일전쟁 관련 유물들을 다수 소장‧전시하고 있으며, 우현 마당과 역사 2실에서 관람하실 수 있습니다.


글_ 이현진(인천시립박물관 유물관리부)


첨부. 러일전쟁 포탄


초등학교 운동장에 포탄이??_1

공공누리
OPEN 공공누리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의 자유이용허락 표시제도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한자제목
砲彈
자료관리담당자
  • 담당부서 유물관리부
  • 문의처 032-440-6768
  • 최종업데이트 2025-03-12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