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에 있던 수족관 이야기, 인천수족관 포스터
| 명칭 | 인천수족관 포스터
|
국적 | 한국 |
시대 | 일제강점기 |
재질 | 지류 |
크기 | 가로 39cm, 세로 26cm |
소장위치 | 인천시립박물관 역사2실 |
<시정5주년 조선물산공진회>
조선총독부는 1915년 9월 11일부터 10월 31일까지 50일간 “시정5주년 조선물산공진회(이하 공진회)”를 개최했습니다. 공진회는 1910년 한일병합 이후 5년간의 식민통치 성과를 홍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1913년부터 구상되기 시작해 경복궁에서 열린 행사였습니다.
공진회는 농업·광업·수산 등과 관련된 물품을 전시했던 제1호관을 비롯한 여러 전시관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이때 “관람객의 눈앞에 생생하게 전달되도록 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모형, 사진, 도표, 실제 생산품을 이용한 전시방법이 사용되었습니다.
<인천협찬회>
공진회 개최에 따라 조선 여러 지역에서는 공진회를 후원하는 ‘협찬회’라는 조직이 만들어졌습니다. 협찬회의 주된 업무는 공진회를 홍보하고 단체 관람객을 모으는 것이었습니다. 일본에 사는 일본인들에게 협찬회가 만들어진 지역을 소개하며 홍보하는 활동도 했기 때문에 안내서를 배포했고, 지역 투자를 유치하려 했습니다.
당시 인천에서도 협찬회가 조직되었는데, 1916년 조선총독부가 펴낸 공진회에 대한 보고서를 살펴보면 인천협찬회는 인천에 거주 중인 조선인과 일본인 등 581명으로 만들어졌다고 합니다. 공진회가 개최되자 인천을 찾는 관광객을 맞이하기 위해 인천협찬회는 수족관을 설치하였습니다.
<인천수족관>
인천수족관은 공진회 기간과 동일하게 1915년 9월 11일 개관하여 10월 31일까지 운영되었습니다. 수족관은 현재의 인천 중구 항동 6가에 있었던 인천중동우체국 자리에 총 두 곳으로 나누어 200여 평 규모로 만들어졌습니다.
최찬식이 쓴 ‘수족관관람기(水族館觀覽記)’에 의하면 수족관 건물 1층에는 살아있는 물고기가 있는 연못과 수조를 배치하였고, 2층에는 표본실을 두어 물고기표본을 전시했다고 합니다. 수족관 입구로부터 동측을 따라 입장하면 제1호부터 제19호까지의 각종 수조가 있었는데, 인천을 포함한 여러 지역에서 잡힌 물고기가 전시되었습니다. 또한 인천수족관에는 기러기, 오리 등의 물새와 강치, 고래도 있었다고 합니다.
인천수족관의 흥행 정도를 알기 위해 당시 신문기사를 살펴보면, 유료 입장객을 포함하여 9만 8천여 명이 관람을 했다고 합니다. 기사에서는 “예상 이상의 성공”이라고 적고 있어 많은 사람들이 수족관을 방문했음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인천수족관 포스터에 담긴 내용>
인천수족관 포스터는 인천 중정(仲町, 현 인천 관동)에 있었던 인천활판소(仁川活版所)에서 인쇄한 한 장짜리 포스터로 물고기, 조개 등이 그려져 있습니다. 종이 가운데에 수족관 홍보 내용이 세로쓰기로 적혀 있는데 한자와 한글, 일본어를 모두 사용하고 있습니다.
내용을 살펴보면 인천수족관은 9월 11일부터 10월 31일까지 운영되며 수백 종의 어류가 있고 해려(海驢), 즉 강치가 가장 인기있으며 해녀들이 물 속에서 작업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고 적혀 있습니다. 전등이 있어 야간 개장을 하며 군함 수 척이 정박해 있으니 관람할 수 있으며, 기차·증기선·인력거·숙박료 등의 특별 할인 내용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예기(藝妓)의 무용 공연을 소개하고, 단체 관람객에게는 인천 안내와 함께 숙소 알선 등의 특전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포스터에는 축항(築港), 월미도, 제염장, 팔경원, 관측소, 서공원(현 자유공원), 정미소, 저수지, 인천의 각 사원, 히가시야마 과수원, 동공원(현 인천여자상업고등학교 자리) 등이 인천의 명소로 쓰여 있습니다.
인천수족관 포스터는 100년 전 인천에 만들어진 수족관을 알 수 있는 유물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습니다. 이 유물은 인천시립박물관 상설전시실 역사2실에서 만날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이동훈, 「시정오년기념조선물산공진회와 1910년대 식민지 조선 : 공진회 개최 과정과 일본인사회의 협찬활동」,
『한일민족문제연구』 40, 한일민족문제학회, 2021
한규무, 「근대 인천의 ‘군함관람’과 그 성격」, 『인천학연구』 15,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11
손장원, 『건축가의 엽서』, 글누림, 2021
글_박민주(인천시립박물관 유물관리부)
첨부. 인천수족관 포스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