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주요 유물 소개

인천에 뜬 '별' 사이다

담당부서
유물관리부 (032-440-6768)
작성일
2025-10-17
조회수
30
인천에 뜬 '별' 사이다


명칭

경인사이다 상표

국적

대한민국

시대

광복이후

재질

종이

크기

가로 9.1, 세로 7.9cm

소장위치

인천시립박물관  수장고



 우리나라의 사이다 브랜드는 여러 종류가 있지만, 이들을 대표하는 사이다는 칠성사이다일 것입니다. 이름에 7개의 별을 담은 이 음료는 남녀노소에게 청량감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사이다에 왜 별이 들어가 있을까요? 사실 외국의 사이다 브랜드를 보면 별이 들어간 사이다는 찾아보기 힘듭니다. 오히려 탄산의 시원함을 표현하는 물방울 모양을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 사이다에는 어떤 연유로 별이 들어가게 되었을까요?


<사이다의 탄생>

 사이다는 사과로 만든 독주(毒酒)를 의미하는 라틴어 ‘시케라(sicera)’에서 유래하였습니다. 사과로 만든 이 술은 프랑스로 전래되어 ‘시드로(cidre)’라고 불렸고, 영국으로 건너가면서 ‘사이다(cider)’라고 불리게 되었습니다. 특히 영국에서는 포도 대신 사과가 더 흔했기 때문에 사과주인 사이다를 즐겨 마셨다고 합니다.

 사과주가 아닌 탄산음료로서의 사이다는 일본에서 탄생하였습니다. 1868년 영국인이었던 존 노스와 레이가 요코하마의 외국인 거류지에 ‘노스 앤 레이’ 상회를 설립하였고, 사과와 파인애플의 향이 나는 복합향료가 첨가된 탄산음료 ‘샴페인사이다’를 판매하였습니다. 이에 사람들은 탄산음료를 ‘사이다’라고 부르기도 하였습니다.


img1
img2

여러 사이다의 상표, 음료회사 상표 스크랩북(인천시립박물관 소장)



<스타사이다>

 우리나라에서 사이다를 생산하기 시작한 시기는 1905년입니다. 이전에는 일본에서 수입한 사이다가 소비되었지만, 그 수요가 점점 늘어나면서 우리나라에서도 사이다를 생산하기 시작한 것입니다. 처음 사이다를 생산한 곳은 인천입니다. 1905년 히라야마 마츠타로(平山松太郞))는 지금의 신흥동에 ‘인천탄산수제조소’를 설립하여 처음으로 사이다를 생산하였습니다. 이 때 인천탄산수제조소에서는 성인표(星印標) 사이다를 생산하였는데, 별 모양의 상표로 인해 사람들은 ‘별표사이다’라고 불렀습니다.


 1937년 인천탄산수제조소를 비롯한 서울 6곳, 인천 2곳의 사이다 공장을 합쳐 경인합동음료주식회사가 탄생하였습니다. 경인합동음료주식회사에서는 ‘별표사이다’의 상표를 그대로 가져와 ‘스타사이다’를 생산하기 시작하였으며, 1950년대까지 큰 사랑을 받았다고 합니다.


 1950년 동방청량음료의 ‘칠성사이다’가 등장하면서 스타사이다는 위기를 맞이하였습니다. 이에 1960년대 초 경인합동음료주식회사는 ‘뉴스타사이다’라는 새로운 사이다를 출시하였으나, 이미 각종 사이다와 미국에서 들어오는 콜라와의 경쟁에서 밀리면서 결국 1975년 진로에 인수되고 말았습니다. 그렇게 우리나라 최초의 사이다였던 스타사이다는 사라지게 되었습니다.


스타사이다병 (인천시립박물관 소장)



<사이다와 별>

 앞서 언급하였던 ‘별표사이다’ 및 ‘스타사이다’가 큰 인기를 끌면서 이들의 상표였던 별은 사이다의 상징이 되었습니다. 광복 이후 만들어진 사이다 중 서울의 칠성사이다, 전주의 오성사이다, 부산의 월성사이다, 대구의 삼성사이다 등 이름에 별이 들어간 사이다가 다수 등장하게 되었습니다. 이는 아마도 당시 인기를 끌었던 스타사이다의 영향이 없지 않았던 것으로 보입니다.


 서울에서 생산하였던 칠성사이다는 지금은 우리들이 즐겨 마시는 대표적인 탄산음료가 되었으며, 사이다의 대명사로 여겨지기도 합니다. 비록 스타사이다의 별은 지고 말았지만 사이다는 여전히 우리의 가슴을 뻥 뚫어주고 있습니다.



글_최병훈(인천시립박물관 유물관리부)


공공누리
OPEN 공공누리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의 자유이용허락 표시제도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한자제목
京仁사이다
이전글
조선시대의 주민등록증 '호패'
다음글
등록된 게시물이 없습니다.
자료관리담당자
  • 담당부서 유물관리부
  • 문의처 032-440-6768
  • 최종업데이트 2025-08-28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