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도시재생사업 현황

인천 개항창조도시 도시재생활성화사업
기본정보
인천 개항창조도시 도시재생활성화사업

사업구분
도시재생사업(일반)
지역
중구
위치 중구 월미도, 내항, 개항장 및 동구 동인천역 일원
※ 중구(신포동, 동인천동, 북성동, 송월동), 동구(화수1․화평동, 송현1․2동, 송림1동, 금창동)
총면적 3.90㎢(중구 3.30㎢, 동구 0.60㎢)
총사업비 5,667억 원(국비 302, 지방비 1,795, 민간 등 3,570)
※ 유형별: 마중물 360억, 부처협업 388, 지자체 1349, 민간 3,570
사업기간 2016년∼2021년
위치도
위치도.jpg
구상도
재생방향
  • 단계적 추진
    - 단기(2019년까지): 상상플랫폼, 근대문화길 등 마중물사업
    - 중기(2021년까지): 우회고가 정비 등 관광기반 구축
    - 장기(2023년이후): 1․8부두, 인천역 등 민간투자
  • 해양문화관광 벨트화: 월미도, 내항, 차이나타운, 자유공원, 동인천 배다리 연계
  • 단절된 지역 연결: 내항과 인천역, 차이나타운 간 보행(입체)연결
사업내용
  • 총 25건
    - 마중물사업: 상상플랫폼 조성사업 등 3건
    - 부처협업사업: 해양박물관 조성사업 등 5건
    - 지자체사업: 인천개항장 문화지구 활성화사업 등 14건
    - 민간투자사업: 인천 내항 1․8부두 재개발사업 등 3건
주요추진결과
  • 2014. 1.13.: 도시재생 선도지역 지정 공모(국토부)
  • 2014. 3.14.: 도시재생 선도지역 지정 공모 신청(市→국토부)
  • 2014. 4.28.: 도시재생 선도지역 지정(국토부, 미선정)
  • 2014. 6.: 2016년 도시재생일반지역 지정 추진계획 발표(국토부)
  • 2014.10.: 중․동구 일원 도시재생활성화계획 수립용역 착수
  • 2015. 4.: 도시재생 일반지역 지정 공모 신청(시→국토부)
  • 2016. 4.: 2016 도시재생사업 지원 대상지역 확정(도시재생특별위원회)
  • 2016. 7.: 중․동구 일원 도시재생활성화계획 수립용역 완료
  • 2016. 7.: 인천 개항창조도시 재생사업 교통 등 영향평가 용역 착수
  • 2017.12.: 인천 개항창조도시 재생사업 교통 등 영향평가 용역 완료
  • 2017.11.20.: 인천 개항창조도시 도시재생활성화계획 고시
  • 2018. 9. 6.: 성과관리 및 모니터링 용역 추진계획 수립(진행 중)
자료관리담당자
  • 담당부서 도시균형정책과
  • 문의처 032-440-4446
  • 최종업데이트 2025-03-12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