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광역시 공공디자인
인천광역시 공공디자인 분류체계
- 2009 공공디자인 기본계획의 범주를 기본방향으로 삼되 인천의 이슈 및 현황분석을 통해 도출된 무장애, 유니버설, 범죄예방, 안전디자인의 범위를 추가 반영
구분 | 분류/항목 |
---|---|
공공건축 | 6분류 31항목 행정공간 문화복지공간 진입공간 교육연구공간 주거지 비주거지 |
공공공간 | 4분류 25항목 공원 광장 수변 가로 |
공공시설물 | 6분류 44항목 대중교통시설물 보행안전시설물 편의시설물 공급시설물 녹지시설물 범죄예방시설물 |
공공시각매체 | 6분류 59항목 대중교통시각매체 보행안전시각매체 편의시설시각매체 범죄예방시각매체 영상정보시각매체 환경연출시각매체
|
인천형 도시디자인 기법의 적용
- 인천형 도시디자인 기법을 통한 가이드라인 방향성 도출 및 가이드라인 도출
- 모두를 위한 디자인
Design For All
생활안전, 보행친화 - 다양한 연령, 문화, 환경을 고려한
모두를 위한 디자인
- 인천가치디자인
Value Design
조화균형, 가치창조, 지속가능 - 인천의 자연-도시, 원도심-신도시의
가치창조를 통한
도시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디자인
- 시민참여디자인
Open Design
시민참여 - 자발적인 참여를 통해
인천의 다양성을 수렴하는 디자인
표준디자인 개발 및 보급
- 도시미관을 훼손하는 공공시설물을 포함한 표준디자인의 지속적 개발을 통해 아름다운 국제도시 이미지 제고 및 광역 차원의 표준디자인 보급·정착
- 사회적 약자(어린이, 여성, 장애인, 노인, 외국인 등)를 배려하는 유니버설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통한 시민 편의 증진
인천색(10) 개발 및 색채디자인 확대
- 슬럼화되는 원도심과 인천의 대표 장소 등에 인천색(10색)을 적용하여 인천만의 차별화된 정체성 확립 및 경쟁력 있는 도시 이미지 구현
- 국내외 방문객들에게 인천색(10색) 홍보 및 산뜻하고 긍정적인 도시 이미지 제공
야간경관 명소 조성
- 『색, 빛, 디자인』을 원도심에 적극 도입하고 지역별 주·야간 명소를 조성하여 안전하고 살고 싶은 인천 만들기 선도
원도심 디자인 활성화
- 원도심 지역 마을 지역주민의 공동체 활성화를 통한 공공디자인 개선으로 낙후된 생활 환경을 개선재난 및 범죄예방 시설물을 통하여 마을 골목의 환경을 개선하고 안전한 마을 조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