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지난전시

2016년 특별전시

담당부서
한국이민사박물관 (032-440-4710)
작성일
2016-08-23
조회수
2323
제목: 또 다른 이민, 해외 입양
장소: 한국이민사박물관 기획전시실
기간: 2016. 8. 23. ~ 11. 27.
전시 내용: 해외 입양을 한민족 이민 역사에 포함하여 20여 만 명의 해외 입양 역사와 현황을 조명
전시 자료 협조
 -국내 : 서재송, 국가기록원, 국제한국입양인봉사회, 대한사회복지회, 명성복지회, 한국사회봉사회, 해성보육원, 홀트아동복지회
 -국외 : 김금숙(Jenifer Jacobus), 김명희(Lisa Kim), 김성히(Sunni Lee Boswell) 김수자(Lisa Futrell-Williams), 임예은(Jill Mcduffee Wade), 쟈넷 셧(Janet Shutt), 황계숙(Mele Kramer), Me&Korea
Loaner to the exhibition
-Korea : Suh Jai Song(Pio), Holt Children’s Services Inc, International Korean Adoptee Service Inc, Korea Social Service Inc, Myungsung Welfare Foundation, National Archives of Korea, Social Welfare Society Inc, Star of the Sea Children’s Home
-Overseas : Janet Shutt, Jenifer Jacobus(Kim Keum Sook), Jill Mcduffee Wade(Lim Ye Eun), Lisa Futrell-Williams(Kim Soo Ja), Lisa Kim(Kim Myung Hee), Mele Kramer(Whang Kei Sook), Sunni Lee Boswell(Kim Sung Hi), Me&Korea

 
 

한국이민사박물관에서는 개관 8주년 특별전으로 <또 다른 이민, 해외 입양>전을 마련하였다. 이번 전시는 20여 만 명에 달하는 해외 입양 60여 년을 되돌아보며 한민족 이민사의 범주로 다루어 보고자 한다.
해외 입양은 전쟁으로 생긴 10여 만 명 고아 문제 해결을 위해 시작했지만 이후 반세기 넘게 다양한 요인들로 지금까지 지속되고 있다. 해외 입양이 성행한 배경에는 전쟁, 혼혈, 남아 선호, 미혼모, 혈통 중시 풍토 등 다양한 사회적 요인들이 혼재해 있어 단편적 관점으로만 바라볼 수 없는 복합적 주제이기도 하다. 현재는 국내 입양 촉진으로 정책이 전환되어 해외 입양인의 수가 많이 감소하였지만, 1948년부터 2004년까지 전 세계 입양인 50만여 명 중 1/3이 한국인이었다.
해외 입양은 모국에서 품을 수 없는 아이들에게 가정을 찾아 준다는 현실적 선택이라는 것과 함께 그들의 친생 가족과 한민족 공동체에서 그들을 분리시켰다는 이중적인 관점이 존재한다. 해외 입양이 자발적 선택이 아닌 아동의 복리를 위한 강제적인 것이었다 할지라도, 해외 입양 한인도 재외 한인으로서 한민족 이민의 역사에 포함시켜 그들에 대해 관심을 갖고 다시 한 번 생각해 보는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
The museum of Korea Emigration history presents as 8th anniversary special exhibit.
Korea’s starting point of overseas adoption was the Korean war, at which 100,000 of war orphans were produced. Overseas adoption still continues to occur from various reasons, even up till now, after more than 50 years. The background of such phenomenon cannot be identified with sole explanation, as there are various social factors—such as war, mixed-blood, son preference, single moms, pure blood preference, etc—that altogether caused the prevalence of overseas adoptions in Korea. Currently, due to changes of policies to expedition of domestic adoption, adoptees to foreign countries have decreased in number. However, from 1948 to 2004, 1/3 of the entire 500,000 adoptees of the world were Korean.
Overseas adoption is double faced: it is a realistic choice that provides kids with family, which cannot happen in their mother country. However, it can also be viewed cruel, as it separates the adoptees from birth families and communities of Korean nationality. Even when overseas adoption was not a voluntary emigration but a forced one for the sake of child welfare, Korean adoptees sent to foreign countries shall be included in Korean history of emigration. We hope this be an opportunity to pay attention to them and rethink about the issue.

 
◆ 전시구성
 
1부 한국 해외 입양의 역사
History of Korea’s overseas adoption
한국의 해외 입양은 혼혈아 및 전쟁고아에서 시작되었지만 반세기 넘는 현재까지도 지속되고 있다. 1953년 정전 이후 10만 명이 넘는 전쟁고아가 발생했지만 국가는 안보와 경제 발전을 최우선 과제로 강조하여 이 문제는 외국의 원조와 민간단체의 인도주의적 지원에 의존할 수 밖에 없었다. 이렇게 시작된 해외 입양은 이후 급속한 산업화에 따른 빈곤 가정의 아동과 미혼모의 아이들 입양으로 이어졌고, 점차 그 수가 늘어나 1980년대에는 해외 입양인 수 세계 1위 국가라는 불명예를 얻기도 하였다. 하지만 88올림픽을 전후하여 한국의 해외 입양을 비난하는 목소리와 함께 해외 입양인의 수는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정책적으로 해외 입양을 억제하고 국내 입양으로 점차 전환되어 현재는 정점에 이르렀던 1985년도 수치의 4%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Korea’s overseas adoption, starting from war orphans, remains over 50 years until today, due to various factors such as children being left, poor, and disabled. After 1953 truce, more than 100,000 war orphans immerged. However, as the country prioritized security and economic development, this phenomenon had to be left to the hands of foreign aids and humanitarian gestures of private organizations. With such start, overseas adoptions continued to explode due to poverty and occurrence of single moms as Korea was rapidly industrialized. The number kept increasing until in 1980 Korea was number 1 in number of international adoptees. However, around and after 88 Seoul Olympics, with criticizing voice toward Korea’s overseas adoptions, the number incessantly decreased. Policy-wise, overseas adoptions were constrained and were converted into domestic adoptions. Currently, the overses adoptees are 4% of that of 1985, which marked the peak.

 
 1. 한국 고아 후원 홍보물 Leaflet for sponsoring Korea orphan
 2. 한국 고아 8명을 입양한 홀트 가족 Holt family with 8 adoptees
 3. 한국 해외 입양 비판 기사 Article criticizing Korea's Adoption
 4. 국내 입양 홍보물 Leaflet for domestic adoption


2부 모국의 마지막 보금자리, 인천
Incheon, the last home of motherland
한국을 찾은 해외 입양인들 중에는 입양 전 출생지 또는 거주지를 인천으로 기억하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 인천에는 우리나라 최초의 보육기관으로 알려진 해성보육원을 시작으로 크고 작은 보육시설들이 있었다. 1958년 운영을 시작한 혼혈아 보육 시설인 명성원, 1966년 덕적도를 시작으로 송현동, 부평3동, 산곡3동에서 운영된 성가정의 집, 1980년 설립된 성 원선시오의 집 등이 운영되었다. 인천의 보육시설을 거쳐간 해외 입양인들은 인천을 모국에서의 마지막 보금자리로 기억하면서 입양국에서의 삶을 이어가고 있다. 또한 모국을 찾아 돌아올 때 가장 먼저 밟는 땅도 바로 인천이라는 점에서 입양인들에게 인천이라는 도시는 마지막 보금자리이자 귀환의 시작점이기도 하다.
Among overseas adoptees that visit Korea, many remember Incheon as their birthplace or place of residence. In Incheon, various nursery institutions were implemented, including Haesung(Star of the Sea children’s home) institution, which is known to be the first nursery institution in Korea. Myungsung child care center, nursery institution for mixed blood children which was established in 1958, the Holy Family’s Home, which started from Deokjukdo in 1966 to Songhyundong, Bupyeong3dong, Sangok 3dong, St. Vincent’s Home, which was established in 1980 were operated in Incheon. Even when carrying on with their lives in adopted countries, overseas adoptees that had their temporary stay at Incheon’s nursery institutions, remembers Incheon as their last home in birth country. In addition, since Incheon is the first soil of motherland when arrived to Korea, Incheon, to overseas adoptees, is the last home as well as the start of comeback.

 1. 인천 보육원의 효시, 해성보육원 Star of the Sea Children's Home
 2. 1960년대 명성원의 입구 Myungsung Child Care Center
 3. 덕적도 성가정의 집 아이들 Holy Family's Home
 4. 부평 성 원선시오의 집 현판 St.Vincent's Home's signboard


3부 낯선 땅, 낯선 가족과 입양인
Strange place, strange family and adoptees
다양한 이유들이 존재하겠지만 부모가 자신의 아이를 포기하는 것은 아이와 자신에게 더 나은 삶을 보장할 것이라는 막연한 기대가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기대를 뒤로하고 떠난 입양 아동의 대부분은 본인의 선택권이 없는 만 5세 이하의 어린 나이였기 때문에 입양 전 한국에서의 생활은 기억하지 못한 채 낯선 땅 낯선 가족과 하루 하루를 공유해 가면서 그 가족과 국가의 일원이 되어간다. 3부에서는 입양 아동이 한국에서의 여러 절차를 걸쳐 입양되어 낯선 가족과 가족이 되어가는 다양한 일상의 모습을 소개하고, 나아가 입양인라는 공통점으로 제 3의 가족인 입양인 연대를 만들어 활동하는 입양인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Amongst various reasons, one reason for abandoning one’s own child would be a vague expectation that the lives of their child would be better without them. Most of the adoptees are under 5, at which their rights of choice are nonexistent. Therefore, children, left with such expectation, forget most about the lives in Korea, and everyday adapt to the new place and new family, to become one of them. Section 3 introduces the various daily lives of adoptees adapting to new family, after going through adoption process in Korea. Also, above that, we also introduce adoptees that bonds with their identity as “Adoptees” to form a another family, adoptee community.

 1. 입양 아들을 만난 Shutt 부부 Shutt family meeting adoptive son
 2. 1956년 입양된 김금숙의 꽃신 Adoptee Kim Keum Sook's shoes,1956
 3. 한국 옷을 입은 입양인들 Adoptees wearing Korean costume
 4. 1964년 입양된 김성히의 한국 인형 Adoptee Kim Sung Hi's dolls,1964


4부 입양인의 귀환
Adoptees return to Korea
성인이 되어 가면서 본인의 정체성과 그 뿌리에 대한 인식이 높아진 입양인들이 점차 자신이 태어난 모국으로 귀환하고 있다. 이러한 입양인들의 귀환은 해외 입양의 첫 세대가 성인이 된 1980년대부터 한국의 영화, 다큐멘터리, 텔레비전 쇼 등을 통해 가시화 되었으며, 매년 한국을 방문하는 입양인의 수도 증가하고 있다. 입양인의 귀환은 각종 기관에서 진행하는 모국 방문 프로그램과 같은 단기 방문 뿐 아니라 친생 부모 찾기, 위탁모 상봉, 취업, 영구 귀환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돌아온 입양인의 존재는 우리들에게도 재외 동포의 일원으로서 그들에 대한 기억을 일깨우는 계기가 되었다.
Adoptees, who became adults that are interested in knowing their identity and root, tend to come back to their birth country. The returns of such adoptees became known from Korean movies, documentaries, television shows, from 1980s at which first Korean adoptees to foreign countries became adults. The number of adoptees visiting Korea is increasing every year. The return of adoptees includes short visits funded from various institutions’ home visiting programs, and also finding birth parents, reunion with foster mothers, employment, and permanent return. Returned adoptees remind us of their identity as part of our nation.

 1. 입양인 가족 모국 방문 Adoptive family motherland visit
 2. 입양인의 생모 찾기 요청 편지 Letter for looking for birth mother
 3. 입양인의 가족 찾기 게시물 Adoptee's flyer for looking for family
 4. 입양인의 자전적 입양 이야기 영상 Adoptee's autobiographical video
 

 
첨부파일
공공누리
OPEN 공공누리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의 자유이용허락 표시제도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자료관리담당자
  • 담당부서 한국이민사박물관
  • 문의처 032-440-4708
  • 최종업데이트 2020-10-19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