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통합건강증진사업
- 담당부서
- 건강증진과 (440-2725)
- 작성일
- 2013-10-11
- 분야
- 건강·식품·체육
- 조회
- 6053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 안내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이란?
- 지역사회 주민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건강생활실천 및 만성질환 예방, 취약계층 건강관리를 목적으로 하는 사업을 통합하여 지역특성 및 주민 수요에 맞게 추진하는 사업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영역 : 13개영역
- 필수사업(6개사업) : 금연, 신체활동, 영양, 절주, 치매관리, 심뇌혈관질환예방관리
- 선택사업(7개사업) : 비만, 구강보건, 방문건강관리, 여성어린이 특화(모자보건), 지역사회중심재활, 아토피․천식 예방관리, 한의약 건강증진
수행기관 : 군․구 보건소
- 사업내용은 군․구의 지역여건에 따라 다를 수 있음
금 연
보건소 금연클리닉 운영
❍ 대 상 : 지역사회 금연을 희망하는 흡연자(청소년 포함)
❍ 내 용
- 금연지원서비스 프로그램 운영
· 6개월 9회 이상 금연상담서비스(내소, 방문상담) 및 CO측정
· 니코틴보조제(니코틴패치, 니코틴껌, 니코틴 사탕) 지급
· 금연치료제(부프로피온, 바레니클린), 행동강화 물품 등 지원
- 금연 6개월 성공자 3만원 상당의 인센티브 제공 및 추구관리
❍ 신청방법 : 보건소 금연클리닉 방문
❍ 내 용
- 금연지원서비스 프로그램 운영
· 6개월 9회 이상 금연상담서비스(내소, 방문상담) 및 CO측정
· 니코틴보조제(니코틴패치, 니코틴껌, 니코틴 사탕) 지급
· 금연치료제(부프로피온, 바레니클린), 행동강화 물품 등 지원
- 금연 6개월 성공자 3만원 상당의 인센티브 제공 및 추구관리
❍ 신청방법 : 보건소 금연클리닉 방문
흡연예방 및 금연 교육
❍ 대 상 : 어린이집, 유치원, 학생, 지역주민 등
❍ 내 용
- 성 인 : 담배의 폐해 및 금연의 필요성, 간접흡연의 폐해
- 미취학 및 청소년
· 담배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 형성
· 담배회사의 판매 전략의 이해 등
❍ 신청방법 : 보건소 문의
❍ 내 용
- 성 인 : 담배의 폐해 및 금연의 필요성, 간접흡연의 폐해
- 미취학 및 청소년
· 담배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 형성
· 담배회사의 판매 전략의 이해 등
❍ 신청방법 : 보건소 문의
문의전화
보건소명 | 전화번호 | 보건소명 | 전화번호 |
중 구 | 760-6035 | 부평구 | 509-8711 |
동 구 | 770-5738 | 계양구 | 430-7884 |
남 구 | 880-5422 | 서 구 | 560-5075 |
연수구 | 749-8161 | 강화군 | 930-4073 |
남동구 | 453-5148 | 옹진군 | 899-3159 |
인천금연지원센터(인하대병원)
□ 찾아가는 금연서비스(금연클리닉)
❍ 대 상 : 학교 밖 청소년, 대학생, 여성 등
❍ 내 용
- 금연상담 및 금연서비스 제공(6개월간/9회)
- 행동강화물품 및 니코틴 보조제, 기념품 제공
❍ 신청방법 : 인천지역 금연지원센터문의 (451-9022~3)
□ 금연캠프 운영
❍ 대 상 : 보건소 금연클리닉을 등록하고 2회 이상 금연성공실패자
❍ 내 용
- 전문치료형
· 대상 : 중증고도흡연자(4박5일 의료기관 입원)
· 내용 : 전문의 진료(약품, 니코틴 보조제 처방), 전문심리상담 등
- 일반지원형
· 대상 : 일반흡연자(1박2일)
· 내용 : 심리검사, 금연실천 동기강화 프로그램 운영 등
❍ 신청방법 : 인천지역 금연지원센터문의 (451-9022~3)
❍ 대 상 : 학교 밖 청소년, 대학생, 여성 등
❍ 내 용
- 금연상담 및 금연서비스 제공(6개월간/9회)
- 행동강화물품 및 니코틴 보조제, 기념품 제공
❍ 신청방법 : 인천지역 금연지원센터문의 (451-9022~3)
□ 금연캠프 운영
❍ 대 상 : 보건소 금연클리닉을 등록하고 2회 이상 금연성공실패자
❍ 내 용
- 전문치료형
· 대상 : 중증고도흡연자(4박5일 의료기관 입원)
· 내용 : 전문의 진료(약품, 니코틴 보조제 처방), 전문심리상담 등
- 일반지원형
· 대상 : 일반흡연자(1박2일)
· 내용 : 심리검사, 금연실천 동기강화 프로그램 운영 등
❍ 신청방법 : 인천지역 금연지원센터문의 (451-9022~3)
신체활동 및 비만
체력측정실 운영
❍ 대 상 : 지역 주민
❍ 시 기 : 연중 09:00~18:00 (토요일, 공휴일 제외)
❍ 준비물 : 간편복(운동복, 운동화, 수건), ※ 측정 전날 음주 및 무리한 운동 삼가
❍ 검사항목
❍ 시 기 : 연중 09:00~18:00 (토요일, 공휴일 제외)
❍ 준비물 : 간편복(운동복, 운동화, 수건), ※ 측정 전날 음주 및 무리한 운동 삼가
❍ 비 용 : 보건소 문의
❍ 신청방법 : 사전예약
❍ 신청방법 : 사전예약
❍ 검사항목
항목 | 측정내용 |
기초체력검사
|
신장, 체중, 비만도, 심폐지구력, 폐기능, 악력, 근지구력, 유연성, 평형성, 민첩성, 순발력
|
운동부하검사 |
안정시와 운동시의 심전도검사, 폐기능검사
|
체성분분석(인바디)
|
근육량, 비만도, 체지방량, 수분량, 영양분석 등
|
영양상담실 운영
❍ 대 상 : 지역주민
❍ 내 용
- 운동처방 등 기타 보건사업과 연계 상담 실시
․ 대상자별 영양상담(영유아, 청소년, 성인, 노인 등)
․ 질환별 영양상담 및 식이지도(당뇨, 고혈압, 비만, 골다공증 등)
❍ 신청방법 : 보건소 문의
❍ 내 용
- 운동처방 등 기타 보건사업과 연계 상담 실시
․ 대상자별 영양상담(영유아, 청소년, 성인, 노인 등)
․ 질환별 영양상담 및 식이지도(당뇨, 고혈압, 비만, 골다공증 등)
❍ 신청방법 : 보건소 문의
운동 및 비만교실 운영
❍ 대 상 : 지역주민 또는 BMI 25 이상자 등
❍ 내 용
- 교육 전․후 체성분 및 체력측정
- 운동 및 영양 프로그램 운영
❍ 신청방법 : 보건소 문의
❍ 내 용
- 교육 전․후 체성분 및 체력측정
- 운동 및 영양 프로그램 운영
❍ 신청방법 : 보건소 문의
문의전화
보건소명 | 전화번호 | 보건소명 | 전화번호 |
중 구 | 760-6031 | 부평구 | 509-8242 |
동 구 | 770-6512 | 계양구 | 430-7891 |
남 구 | 880-5425 | 서 구 | 560-5043 |
연수구 | 749-8124 | 강화군 | 930-4044 |
남동구 | 453-5099 | 옹진군 | 899-3135 |
절 주
절주예방 및 알코올 중독자 관리
❍ 대 상 : 알코올중독자 및 그 가족, 지역주민 등
❍ 내 용
- 알코올중독자 발견·등록 및 사례관리
- 알코올중독 상담 및 재활프로그램 운영
- 음주폐해예방 교육
- 건전음주 캠페인 및 홍보
❍ 신청방법 :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문의
❍ 내 용
- 알코올중독자 발견·등록 및 사례관리
- 알코올중독 상담 및 재활프로그램 운영
- 음주폐해예방 교육
- 건전음주 캠페인 및 홍보
❍ 신청방법 :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문의
문의전화(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보건소명 | 전화번호 | 보건소명 | 전화번호 |
동 구 | 764-1183 | 부평구 | 507-3404~5 |
연수구 | 236-9477~8 | 계양구 | 555-8765 |
남동구 | 468-6412 |
영 양
영양교육
❍ 대 상 : 영유아, 청소년, 성인, 노인 등
❍ 내 용
- 생애주기에 따른 맞춤형 영양 교육
- 나트륨 줄이기 방법
- 내 입맛 알기 테스트
❍ 신청방법 : 보건소 문의
❍ 내 용
- 생애주기에 따른 맞춤형 영양 교육
- 나트륨 줄이기 방법
- 내 입맛 알기 테스트
❍ 신청방법 : 보건소 문의
영양플러스
❍ 대상자 선정기준
- 영유아(만6세, 생후 72개월), 임신부, 출산수유부
- 가구 규모별 기준 중위소득의 80%미만(2015년 기준)
- 영유아(만6세, 생후 72개월), 임신부, 출산수유부
- 가구 규모별 기준 중위소득의 80%미만(2015년 기준)
가구원수 | 기준중위 소득 80% |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원) | ||
직장가입자 | 지역가입자 | 혼합(직장+지역) | ||
3인 | 2,753,000 | 89,365 | 88,873 | 90,409 |
- 빈혈, 저체중, 성장부진, 영양섭취불량 중 한가지 이상 보유(임신부 제외)
※ 상기 기준에 모두 부합된 경우 대상자로 선정
❍ 자부담 대상
- 가구소득이 기준 중위소득의 50%미만 : 무료
※ 상기 기준에 모두 부합된 경우 대상자로 선정
❍ 자부담 대상
- 가구소득이 기준 중위소득의 50%미만 : 무료
가구원수
|
기준중위
소득 50% |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원)
|
||
직장가입자
|
지역가입자
|
혼합(직장+지역)
|
||
3인
|
1,721,000
|
55,761
|
34,952
|
56,426
|
- 가구소득이 기준 중위소득의 50%~80%인 경우 보충식품비의 10% 부담
❍ 신청구비서류
- 가구원수 확인 : 가족관계증명서 등 가구원수 확인가능 증명서
- 소득 확인 : 건강보험증, 건강·장기요양보험 납입영수증, 기초생활수급자 또는 차상위계층 증명서, 자동차보험증권
- 임신여부 확인 : 산모수첩(사본) 또는 의사진단서소견서
❍ 신청방법 : 주소지 관할 보건소 신청
❍ 제공식품
- 대상자별 6종 식품패키지 공급(65,000원~70,000원 내외/1인당 지원액)
※ 기본식품 : 조제분유, 현미보리쌀, 감자, 우유, 달걀, 검정콩, 미역 등 11종
- 대상 및 특성에 따라 보충식품 제공
❍ 지원기간 : 등록 6개월(최대 12개월)
❍ 전달방법 : 가정배달방식
❍ 신청구비서류
- 가구원수 확인 : 가족관계증명서 등 가구원수 확인가능 증명서
- 소득 확인 : 건강보험증, 건강·장기요양보험 납입영수증, 기초생활수급자 또는 차상위계층 증명서, 자동차보험증권
- 임신여부 확인 : 산모수첩(사본) 또는 의사진단서소견서
❍ 신청방법 : 주소지 관할 보건소 신청
❍ 제공식품
- 대상자별 6종 식품패키지 공급(65,000원~70,000원 내외/1인당 지원액)
※ 기본식품 : 조제분유, 현미보리쌀, 감자, 우유, 달걀, 검정콩, 미역 등 11종
- 대상 및 특성에 따라 보충식품 제공
❍ 지원기간 : 등록 6개월(최대 12개월)
❍ 전달방법 : 가정배달방식
문의전화
보건소명 | 전화번호 | 보건소명 | 전화번호 |
중 구 | 760-6039 | 부평구 | 509-8244 |
동 구 | 770-6511 | 계양구 | 430-7875 |
남 구 | 880-5428 | 서 구 | 560-5042 |
연수구 | 749-8132 | 강화군 | 930-4045 |
남동구 | 453-5087 | 옹진군 | 해당 없음 |
치매예방관리
24시간 365일 치매관련 모든 상담 『치매상담콜(☎1899-9988)』
인천광역시광역치매센터 운영
지역사회 내 치매관리 서비스 기획 및 자원조사, 전문인력 육성, 인식 개선을 위한 홍보, 연구
❍ 연계홍보 : 치매 전문인력, 치매환자 가족지원 교육, 교육 컨텐츠 개발
❍ 지역행사 : 치매극복 전국 걷기대회, 치매극복의 날 행사, 치매사업 발전대회
❍ 특화사업 : 정신보건사업 연계, 치매노인 실종예방사업, 치매환자가정 컨설팅사업
❍ 연구개발사업 : 치매환자 보건의료이용 행태조사, 가족지원프로그램 연구, 인지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
❍ 문 의 : E-Mail : incheon@nid.or.kr, 전화 : 472-2027~9
❍ 연계홍보 : 치매 전문인력, 치매환자 가족지원 교육, 교육 컨텐츠 개발
❍ 지역행사 : 치매극복 전국 걷기대회, 치매극복의 날 행사, 치매사업 발전대회
❍ 특화사업 : 정신보건사업 연계, 치매노인 실종예방사업, 치매환자가정 컨설팅사업
❍ 연구개발사업 : 치매환자 보건의료이용 행태조사, 가족지원프로그램 연구, 인지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
❍ 문 의 : E-Mail : incheon@nid.or.kr, 전화 : 472-2027~9
치매상담센터 운영
치매노인 등록에 따른 관리 및 이에 필요한 상담‧지원 등의 서비스 제공
❍ 대 상
- 군‧구 관할구역에 거주하는 만 60세 이상 치매노인과 그 가족
- 기타 보건소장이 치매 예방 및 관리를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자
❍ 내 용
- 치매노인 등록 및 관리(치매치료관리 등)
- 치매노인 및 그 보호자에 대한 상담 및 지원
- 치매예방 및 치매노인 간병 요령 등에 관한 교육
- 재가 치매 노인에 대한 방문․관리
- 배회(실종)가능 어르신 인식표 보급
❍ 신청방법 : 주소지 관할 보건소 및 치매통합관리센터 문의
❍ 대 상
- 군‧구 관할구역에 거주하는 만 60세 이상 치매노인과 그 가족
- 기타 보건소장이 치매 예방 및 관리를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자
❍ 내 용
- 치매노인 등록 및 관리(치매치료관리 등)
- 치매노인 및 그 보호자에 대한 상담 및 지원
- 치매예방 및 치매노인 간병 요령 등에 관한 교육
- 재가 치매 노인에 대한 방문․관리
- 배회(실종)가능 어르신 인식표 보급
❍ 신청방법 : 주소지 관할 보건소 및 치매통합관리센터 문의
치매주간보호센터 운영
치매 어르신을 주간 동안 보호하며, 편의를 제공하고 이들의 생활안정과 심신기능의 유지‧ 향상 및 가족의 부담 경감 도모
❍ 이용대상 : 경증치매환자
❍ 이용시간 : 월요일~금요일(09:00~18:00)
❍ 운영내용 : 건강관리프로그램 등 인지치료
❍ 이 용 료 : 기초생활수급자(무료)/일반인(월100,000원)
❍ 신청방법 : 주소지 관할 보건소 및 치매주간보호센터 문의
❍ 이용대상 : 경증치매환자
❍ 이용시간 : 월요일~금요일(09:00~18:00)
❍ 운영내용 : 건강관리프로그램 등 인지치료
❍ 이 용 료 : 기초생활수급자(무료)/일반인(월100,000원)
❍ 신청방법 : 주소지 관할 보건소 및 치매주간보호센터 문의
치매검진사업
치매 위험이 높은 만60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치매 조기검진을 실시하여 치매환자를 조기에 발견‧관리
❍ 대 상
- 선별검사 : 만60세 이상 모든 노인
- 진단검사 및 감별검사비 지원 : 만 60세 이상으로 가구소득이 전국가구 월평균소득 100% 이하인 자(2015년 기준)
❍ 대 상
- 선별검사 : 만60세 이상 모든 노인
- 진단검사 및 감별검사비 지원 : 만 60세 이상으로 가구소득이 전국가구 월평균소득 100% 이하인 자(2015년 기준)
가구원수
|
전국가구 월평균소득 (100%)
|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원)
|
|
직장가입자
|
지역가입자
|
||
3인
|
4,423,000
|
135,442
|
149,772
|
❍ 검사내용
- 선별검사 : 치매선별용 간이정신상태검사
- 진단검사 : 전문의진찰, 신경인지검사, 일상생활척도검사 등
- 감별검사 : 진단검사 결과, 감별검사가 필요한 자(혈액검사, 간기능검사, 뇌영상 CT 등)
❍ 신청방법 : 주소지 관할 보건소 및 치매통합관리센터 문의
- 선별검사 : 치매선별용 간이정신상태검사
- 진단검사 : 전문의진찰, 신경인지검사, 일상생활척도검사 등
- 감별검사 : 진단검사 결과, 감별검사가 필요한 자(혈액검사, 간기능검사, 뇌영상 CT 등)
❍ 신청방법 : 주소지 관할 보건소 및 치매통합관리센터 문의
치매 치료관리비 지원사업
치매를 조기에 지속적으로 치료‧관리할 수 있도록 치매환자에게 치료비 지원
❍ 대 상
- 연령기준 : 만60세 이상인 자(초로기 치매환자 선정가능)
- 진단기준 : 의료기관에서 치매진단을 받은 치매 환자
- 치료기준 : 치매약을 복용하는 자
- 소득기준 : 가구소득이 전국가구 월평균 소득의 100% 이하인 경우
❍ 지원내역
- 월3만원(연36만원) 상한 내 실비 지원
❍ 신청방법 : 주소지 관할 보건소 및 치매통합관리센터 문의
❍ 대 상
- 연령기준 : 만60세 이상인 자(초로기 치매환자 선정가능)
- 진단기준 : 의료기관에서 치매진단을 받은 치매 환자
- 치료기준 : 치매약을 복용하는 자
- 소득기준 : 가구소득이 전국가구 월평균 소득의 100% 이하인 경우
❍ 지원내역
- 월3만원(연36만원) 상한 내 실비 지원
❍ 신청방법 : 주소지 관할 보건소 및 치매통합관리센터 문의
배회 가능 어르신 인식표 보급 사업
치매 등으로 인하여 실종이 염려되는 어르신들에게 인식표를 보급 부착하게 함으로 실종 시, 조속히 가정으로 복귀하도록 함.
❍ 대 상 : 치매 등으로 실종이 염려되는 어르신 또는 치매환자
❍ 신청방법 : 주소지 관할 보건소 및 치매통합관리센터 문의
❍ 대 상 : 치매 등으로 실종이 염려되는 어르신 또는 치매환자
❍ 신청방법 : 주소지 관할 보건소 및 치매통합관리센터 문의
문의전화
기관명 군․구명 |
보건소 | 치매주간보호센터 | 치매통합관리센터 | |
중 구 | 760-6072 | 금빛사랑채 | 765-3545 | - |
동 구 | 770-5731 | 희망의 집 | 765-8291 | - |
남 구 | 880-5452 | 남구돌봄의 집 학익돌봄의 집 |
883-0310 876-0310 |
876-4310 |
연수구 | 749-8131 | 은빛사랑방 | 819-9701 | 820-4850 |
남동구 | 453-6162 | 사랑의집 | 433-7443 | - |
부평구 | 509-8273 | 부평행복의집 갈산행복의집 |
523-2224 523-4466 |
505-5940 |
계양구 | 430-7866 | 작전늘봄사랑터 장기늘봄사랑터 |
555-1601 553-7921 |
- |
서 구 | 560-5062 | 도움의집 | 579-9112 | 579-9112 |
강화군 | 930-4032 | 치매주간보호센터 | 933-8979 | - |
옹진군 | 899-3132 | - | - |
심뇌혈관질환예방관리
심뇌혈관질환 조기발견 및 등록관리 사업
❍ 대 상 : 지역주민
❍ 장 소 : 보건소, 지역 내 유관기관 및 유동인구 많은 장소
❍ 내 용
- 혈압, 혈당, 콜레스테롤 측정 및 상담
- 고위험군 및 신규환자 상담 및 등록관리
- 심뇌혈관질환예방관리 홍보책자 배부
❍ 신청방법 : 보건소 문의
❍ 장 소 : 보건소, 지역 내 유관기관 및 유동인구 많은 장소
❍ 내 용
- 혈압, 혈당, 콜레스테롤 측정 및 상담
- 고위험군 및 신규환자 상담 및 등록관리
- 심뇌혈관질환예방관리 홍보책자 배부
❍ 신청방법 : 보건소 문의
심뇌혈관질환 예방교실 운영
❍ 대 상 :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환자(고위험군 포함) 및 가족
❍ 장 소 : 보건소 교육실
❍ 내 용 :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에 대한 개요, 식이요법, 운동요법, 약물요법, 합병증 예방 및 관리요령 등
❍ 신청방법 : 보건소 문의
❍ 장 소 : 보건소 교육실
❍ 내 용 :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에 대한 개요, 식이요법, 운동요법, 약물요법, 합병증 예방 및 관리요령 등
❍ 신청방법 : 보건소 문의
“자기혈관 숫자 알기” 인식개선사업
❍ 기 간 : 연중(* 9월 첫째 주 집중 홍보 기간)
❍ 대 상 : 지역주민
❍ 장 소 : 보건소 및 유동인구 많은 장소
❍ 내 용 :
- 양팔 혈압, 혈당, 콜레스테롤, 일산화탄소 측정 및 결과상담
- 심뇌혈관질환 예방 9대 수칙 홍보 및 홍보물 배부
- 올바른 식생활 습관 및 저염식이 등 영양교육
❍ 신청방법 : 보건소 문의
❍ 대 상 : 지역주민
❍ 장 소 : 보건소 및 유동인구 많은 장소
❍ 내 용 :
- 양팔 혈압, 혈당, 콜레스테롤, 일산화탄소 측정 및 결과상담
- 심뇌혈관질환 예방 9대 수칙 홍보 및 홍보물 배부
- 올바른 식생활 습관 및 저염식이 등 영양교육
❍ 신청방법 : 보건소 문의
- 혈압, 혈당, 고지혈증 정의 및 정상범위 - ❍ 혈압 : 혈액이 혈관속을 흐르고 있을 때 혈관벽에 미치는 압력
❍ 혈당 : 혈액 속에 함유되어 있는 포도당을 의미(당뇨병 진단검사)
(단위 : mg/dl)
❍ 고지혈증 : 비정상적인 혈액 내 지질상태
(단위 : mg/dl)
|
문의전화
보건소명 | 전화번호 | 보건소명 | 전화번호 |
중 구 | 760-6023 | 부평구 | 509-8245 |
동 구 | 770-5712 | 계양구 | 430-7763 |
남 구 | 880-5463 | 서 구 | 560-5044 |
연수구 | 749-8142 | 강화군 | 930-4032 |
남동구 | 453-5117 | 옹진군 | 899-3132 |
구강보건
생애주기별 구강건강관리교실 운영
❍ 대 상 : 영유아, 청소년, 성인, 노인 등
❍ 내 용
- 생애주기별 맞춤 구강보건교육실시
- 구강검진 및 상담
- 충치예방 및 시린이 완화를 위한 불소도포 등
❍ 신청방법 : 보건소 문의
❍ 내 용
- 생애주기별 맞춤 구강보건교육실시
- 구강검진 및 상담
- 충치예방 및 시린이 완화를 위한 불소도포 등
❍ 신청방법 : 보건소 문의
치아홈메우기 사업
❍ 대 상 : 영구치가 맹출한 미취학아동 및 초․중학생
❍ 장 소 : 보건소 치과진료실
❍ 내 용 : 치아우식증이 발생하지 아니한 영구치 교합면의 홈을 치과용 재료(실란트)로 메움
❍ 비 용 : 보건소 문의
❍ 신청방법 : 보건소 방문 및 전화예약
❍ 장 소 : 보건소 치과진료실
❍ 내 용 : 치아우식증이 발생하지 아니한 영구치 교합면의 홈을 치과용 재료(실란트)로 메움
❍ 비 용 : 보건소 문의
❍ 신청방법 : 보건소 방문 및 전화예약
불소용액 양치사업
❍ 대 상 : 불소용액 양치를 원하는 전 시민
❍ 방 법 : 보건소 구강보건실에서 양치용액 수령 후 각 가정에서 하루에 1번 불소용액으로 가글
❍ 효 과 : 시린이 증상 완화 및 충치예방
❍ 신청방법 : 보건소 문의
❍ 방 법 : 보건소 구강보건실에서 양치용액 수령 후 각 가정에서 하루에 1번 불소용액으로 가글
❍ 효 과 : 시린이 증상 완화 및 충치예방
❍ 신청방법 : 보건소 문의
불소도포사업
❍ 대 상 : 불소도포를 희망하는 지역주민
❍ 장 소 : 보건소 구강진료실
❍ 내 용 : 치아에 불소를 도포하여 충치예방 및 시린이 증상 완화
❍ 방 법 : 사전예약
❍ 비 용 : 5,000원/1회
❍ 신청방법 : 보건소 문의
❍ 장 소 : 보건소 구강진료실
❍ 내 용 : 치아에 불소를 도포하여 충치예방 및 시린이 증상 완화
❍ 방 법 : 사전예약
❍ 비 용 : 5,000원/1회
❍ 신청방법 : 보건소 문의
노인 불소도포․ 스켈링사업
❍ 대 상 : 만 65세 이상의 희망 어르신
❍ 내 용 : 치주질환 관리를 위한 스케일링 및 시린이 완화를 위한 불소도포
❍ 방 법 : 사전예약
❍ 신청방법 : 보건소 문의
❍ 내 용 : 치주질환 관리를 위한 스케일링 및 시린이 완화를 위한 불소도포
❍ 방 법 : 사전예약
❍ 신청방법 : 보건소 문의
문의전화
보건소명 | 전화번호 | 보건소명 | 전화번호 |
중 구 | 760-6077 | 부평구 | 509-8258 |
동 구 | 770-5715 | 계양구 | 430-7875 |
남 구 | 880-5441 | 서 구 | 560-5047 |
연수구 | 749-8045 | 강화군 | 930-4028 |
남동구 | 453-5142 | 옹진군 | 899-3134 |
방문건강관리
만성질환 관리 및 합병증 예방
❍ 대 상 : 검진 결과 건강문제가 있는 대상자 및 만성질환자
❍ 내 용
- 건강위험요인 및 건강문제 스크리닝
- 복용약물에 대한 점검
- 암으로 인한 증상 및 통증 조절을 위한 정보 제공
- 만성질환자의 생활습관 상담 및 합병증 예방을 위한 교육 등
❍ 신청방법 : 보건소 문의
❍ 내 용
- 건강위험요인 및 건강문제 스크리닝
- 복용약물에 대한 점검
- 암으로 인한 증상 및 통증 조절을 위한 정보 제공
- 만성질환자의 생활습관 상담 및 합병증 예방을 위한 교육 등
❍ 신청방법 : 보건소 문의
노인 허약 예방
❍ 대 상 : 만65세이상 고위험 허약노인
❍ 내 용
- 저작, 연하, 발음 등의 구강기능 향상을 위한 입체조 실시
- 운동․영양․요실금 및 우울․낙상예방을 위한 중재프로그램 제공
- 폭염‧혹한기 건강관리 교육 및 치매관련 건강관리 등
❍ 신청방법 : 보건소 문의
❍ 내 용
- 저작, 연하, 발음 등의 구강기능 향상을 위한 입체조 실시
- 운동․영양․요실금 및 우울․낙상예방을 위한 중재프로그램 제공
- 폭염‧혹한기 건강관리 교육 및 치매관련 건강관리 등
❍ 신청방법 : 보건소 문의
보건소 내‧외 자원 연계
❍ 보건소 내 : 고혈압‧당뇨 교실, 치매관리, 노인 안검진 및 개안수술 지원 등
❍ 보건소 외 : 의료기관 진료, 정신보건센터,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주거환경개선, 가사 및 간병서비스, 목욕서비스 등
❍ 보건소 외 : 의료기관 진료, 정신보건센터,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주거환경개선, 가사 및 간병서비스, 목욕서비스 등
문의전화
보건소명 | 전화번호 | 보건소명 | 전화번호 |
중 구 | 760-6023 | 부평구 | 509-8238 |
동 구 | 770-5732 | 계양구 | 430-7782 |
남 구 | 880-5460 | 서 구 | 560-5071 |
연수구 | 749-8142 | 강화군 | 930-4038 |
남동구 | 453-5117 | 옹진군 | 899-3132 |
여성․어린이 특화(모자보건)
임산부 등록 건강관리
❍ 대 상 : 보건소 등록 임산부
❍ 등록방법 : 주민등록 거주지 보건소에 내방하여 등록
❍ 내 용 : 임신기간 중의 적절한 산전관리 권장 및 건강관리 지원
- 엽산제 지원 : 임신 확인 후부터 12주 이하
- 철분제 지원 : 임신 16주부터 분만예정일까지(최대 5개월분 제공)
- 임산부교실 등 프로그램 운영
❍ 신청방법 : 보건소 문의
❍ 등록방법 : 주민등록 거주지 보건소에 내방하여 등록
❍ 내 용 : 임신기간 중의 적절한 산전관리 권장 및 건강관리 지원
- 엽산제 지원 : 임신 확인 후부터 12주 이하
- 철분제 지원 : 임신 16주부터 분만예정일까지(최대 5개월분 제공)
- 임산부교실 등 프로그램 운영
❍ 신청방법 : 보건소 문의
모성건강증진사업
❍ 대 상 : 관내 가임기 여성
❍ 내 용 : 모성 및 영유아 건강증진 프로그램 운영
- 임산부 배려 및 출산장려 캠페인
- 임산부 산 전․후 우울증 관리
- 모유수유 장려 사업
❍ 신청방법 : 보건소 문의
❍ 내 용 : 모성 및 영유아 건강증진 프로그램 운영
- 임산부 배려 및 출산장려 캠페인
- 임산부 산 전․후 우울증 관리
- 모유수유 장려 사업
❍ 신청방법 : 보건소 문의
□ 문의전화
보건소명 | 전화번호 | 보건소명 | 전화번호 |
중 구 | 760-6062 | 부평구 | 509-8203 |
동 구 | 770-5745 | 계양구 | 430-7883 |
남 구 | 880-5455 | 서 구 | 560-5055 |
연수구 | 749-8152 | 강화군 | 930-4068 |
남동구 | 453-5125 | 옹진군 | 899-3134 |
지역사회중심재활
☆ 시행보건소 : 6개 보건소 (남구, 연수구, 남동구, 부평구, 계양구, 강화군)
❍ 목 적 : 지역사회 장애인에 대한 재활서비스 제공 및 건강관리로 일상생활 자립능력 및 사회참여 제고
❍ 내 용
- 재활치료 프로그램
․ 거동불능장애인 방문재활, 이동가능장애인 재활교실, 장애아동 재활교실, 보조기구 지원서비스
- 건강증진 프로그램
․ 장애인 건강검진 수검지원 서비스, 비만교실/구강관리, 중독관리/ 금연관리, 만성질환관리
- 장애인 사회참여 프로그램
․ 장애별 자조모임, 가족지지/동료상담, 외출/나들이/체험 프로그램
․ 재활스포츠/레크레이션, 운전교육 프로그램, 취미활동 프로그램
- 장애인 2차 장애 발생 예방프로그램
․ 뇌졸중재발방지, 교통사고예방, 낙상․화상 예방, 만성질환 예방 등
- 지역주민 장애예방프로그램
․ 장애체험 : 시각장애의 봉사체험, 지체장애의 휠체어 등 체험, 소감문 작성
․ 장애예방 : 낙상예방교육, 뇌졸중예방교육, 교통안전교육, 산업안전교육, 허약노인 장애예방.
❍ 신청방법 : 보건소 문의
❍ 내 용
- 재활치료 프로그램
․ 거동불능장애인 방문재활, 이동가능장애인 재활교실, 장애아동 재활교실, 보조기구 지원서비스
- 건강증진 프로그램
․ 장애인 건강검진 수검지원 서비스, 비만교실/구강관리, 중독관리/ 금연관리, 만성질환관리
- 장애인 사회참여 프로그램
․ 장애별 자조모임, 가족지지/동료상담, 외출/나들이/체험 프로그램
․ 재활스포츠/레크레이션, 운전교육 프로그램, 취미활동 프로그램
- 장애인 2차 장애 발생 예방프로그램
․ 뇌졸중재발방지, 교통사고예방, 낙상․화상 예방, 만성질환 예방 등
- 지역주민 장애예방프로그램
․ 장애체험 : 시각장애의 봉사체험, 지체장애의 휠체어 등 체험, 소감문 작성
․ 장애예방 : 낙상예방교육, 뇌졸중예방교육, 교통안전교육, 산업안전교육, 허약노인 장애예방.
❍ 신청방법 : 보건소 문의
문의전화
보건소명 | 전화번호 | 보건소명 | 전화번호 |
남 구 | 880-5439 | 부평구 | 509-8272 |
연수구 송도보건지소 | 749-6928 | 계양구 | 430-7893 |
남동구 간석건강관리센터 |
453-5966 | 강화군 | 930-4035 |
아토피·천식 예방관리
☆ 시행보건소 : 3개 보건소 (중구, 동구, 남동구)
아토피. 천식 안심학교 운영
❍ 대 상 : 유치원 및 초등학교 79개소(중구 29, 동구 40, 남동구 10)
❍ 내 용
- 알레르기 질환 환아 선별을 위한 설문조사
- 고위험 아동 관리를 위한 환아 관리 카드 제공
- 보건/보육 교사, 일반학생, 알러지 환아, 학부모 교육
❍ 신청방법 : 보건소 문의
❍ 내 용
- 알레르기 질환 환아 선별을 위한 설문조사
- 고위험 아동 관리를 위한 환아 관리 카드 제공
- 보건/보육 교사, 일반학생, 알러지 환아, 학부모 교육
❍ 신청방법 : 보건소 문의
취약계층 알레르기 질환자 치료 및 관리
❍ 대 상 : 국민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한부모가정, 조손가정, 소년소녀가정, 다문화가정 등
❍ 방 법
- 검사비 및 약제비, 치료비, 보습제 지원
- 교육자료제공 : 올바른 예방관리 지도 및 교육자료 지원이 필요한 경우
- 보건소 연계지원 : 영양사업, 방문사업 등 연계지원
❍ 신청방법 : 보건소 문의
❍ 방 법
- 검사비 및 약제비, 치료비, 보습제 지원
- 교육자료제공 : 올바른 예방관리 지도 및 교육자료 지원이 필요한 경우
- 보건소 연계지원 : 영양사업, 방문사업 등 연계지원
❍ 신청방법 : 보건소 문의
아토피·천식 예방관리 교육
❍ 대 상 : 지역주민
❍ 내 용
- 지역사회 순회 주민 건강 강좌 개최 및 자조모임
- 각종 대중매체 및 지역행사 참여를 통한 홍보 실시
❍ 신청방법 : 보건소 문의
❍ 내 용
- 지역사회 순회 주민 건강 강좌 개최 및 자조모임
- 각종 대중매체 및 지역행사 참여를 통한 홍보 실시
❍ 신청방법 : 보건소 문의
문의전화
보건소명 | 전화번호 | 보건소명 | 전화번호 |
중 구 | 760-6061 | 남동구 | 453-5074 |
동 구 | 770-5712 |
한의약 건강증진
☆ 시행보건소 : 5개 보건소 (중구, 동구, 계양구, 강화군, 옹진군)
❍ 대 상 : 지역주민
❍ 내 용
- 한방가정방문 및 상담
- 중풍예방교실, 복부비만교실, 관절염 교실 등 운영
❍ 신청방법 : 보건소 신청
❍ 내 용
- 한방가정방문 및 상담
- 중풍예방교실, 복부비만교실, 관절염 교실 등 운영
❍ 신청방법 : 보건소 신청
문의전화
보건소명 | 전화번호 | 보건소명 | 전화번호 |
중 구 | 760-6038 | 강화군 | 930-4035 |
동 구 | 770-6513 | 옹진군 | 899-3132 |
계양구 | 430-7894 |
- 첨부파일
-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