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통합게시판

자료실

말라리아 예방법

담당부서
보건정책과 (440-2737)
작성일
2008-08-22
조회수
2647

말라리아 예방 요령 Q&A


 Q 말라리아 예방을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말라리아 모기에 물리지 말아야 합니다. 말라리아는 모든 모기에 의하여 감염되는 것이 아니라 말라리아 모기에 의해서만 감염됩니다.


 Q 말라리아 증상에는 무엇이 있나요?

  A 발열, 오한, 발한, 두통, 근육통, 위장관 증상 등이 있습니다. 반드시 고열을 동반하는 것은 아닙니다. 처음에는 감기몸살로 진단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한국의 삼일열 말라리아는 아프리카의 열대열 말라리아와 종류가 다르며 증상도 달라서 사망하는 사례는 거의 없습니다.


 Q 모기에 물리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A 문과 창문에 방충망을 꼭 설치하여야 합니다.

        방충망이 있더라도 손상되어 모기가 들어오는 경우가 많으므로 방충망의 손상을 주기적으로 확인하여야 합니다.

    방충망이 있더라도 모기가 들어오는 경우가 있으므로 모기장 사용이 안전합니다.

    모기약(에프킬라)의 사용을 실내에서 많이 하시길 권장합니다. 간혹, 냄새 때문에 꺼려하시는 분은 전자모기향 등의 냄새가 나지 않는 제품을 사용하여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하시기 바랍니다.

    말라리아에 감염된 환자들 대부분이 집에는 모기가 없다고 응답하였지만 감염되었습니다. 실내에 모기가 없다고 생각되더라고 한번 더 확인하는 습관을 가집시다.

    집주변에 물고인 물건은 다 치워서 말라리아 유충이 살지 못하게 하여야 합니다.


 Q 말라리아 모기는 언제 활동하나요?

A 말라리아 모기가 활발히 활동하는 시간대(밤9-12시 및 새벽5-7시)에는 야간 활동을 반드시 피하여야 합니다. 한번의 야간활동 만으로도 감염될 수 있습니다.

    야간활동을 꼭 해야 하는 경우에는 긴소매, 긴바지를 반드시 착용하시고 옷에 기피제를 뿌리시길 바랍니다.

     * 주의할 점

       야간활동시 술을 드시면 모기를 더욱 유인합니다.

       예) 술 마시고 12시경 귀가, 찜질방에서 자고 다음날 새벽6시경 귀가

       활발한 유산소 운동은 모기를 유인할 수 있습니다.


 Q 농사를 지으면 말라리아에 더 잘 걸리나요?

A 논에는 말라리아 모기가 많이 서식하므로 집주변에 논이 있으면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합니다.

    새벽과 저녁 시간에 논 농사 작업을 하시는 분은 모기에 물릴 가능성이 높습니다. 작업복에 기피제를 꼭 뿌리시기 바랍니다.

    운수업, 조리업, 건설업에 종사하시는 분들도 야간활동이 많아 감염되는 사례가 많습니다.


 Q 피하여야 하는 장소는 어디인가요?

A 논, 수로, 수풀, 개,소 축사 등은 피하시는 것이 좋으며, 불가피할 경우 긴팔, 긴바지를 착용하시고 기피제를 사용하십시오. 

 Q 장마 이후에 말라리아 모기가 증가하나요?

A 장마 이후에는 모기서식지가 증가하여 말라리아 모기수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 예방활동

       집주변에 장마로 인해 생긴 웅덩이에 모기가 서식하지 않도록 웅덩이 물은 바로 치워주십시오.

       집주변의 폐타이어, 빈깡통 등에 물이 고이면 즉시 치워서 모기가 서식하지 않도록 하여 주십시오.


 Q 열이 내려도 치료약을 모두 복용해야 하나요?

A 말라리아 치료약을 드시면 증상이 약3일 이후 완화되지만, 그 이후에도 치료약을 규칙적으로 모두 복용(17일)하여야 재발하지 않습니다.

 

클로로퀸

프리마퀸

 효능 : 혈액내 원충 제거

 복용 : 진단 후 처음 3일간 복용

 효능 : 간내 원충 제거

 복용 : 클로로퀸 3일 복용 종료 후 2주간 매일 1알씩 복용

 증상이 소실되는 시점에 복용하기 때문에 투약을 소홀히 하는 경우 발생

 회사마다 형상은 다를 수 있으나 주황색 임

     * 주의할 점

       말라리아 치료약을 모두 규칙적으로 복용하여 치료가 완료된 후에도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합니다.

       말라리아 위험지역에 다시 여행하거나, 거주, 직장근무를 하여 모기에 물리게 되면 재감염 될 수 있습니다.


 Q 말라리아 예방접종은 있나요?

 A 말라리아 예방접종은 없습니다. 그러므로 6-9월 사이에는 말라리아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최선입니다. 또한, 말라리아 치료를 한 이후에도 면역력이 생기는 것은 아니니 재감염에 주의하여야 합니다.


 Q 말라리아가 타인에게 전염이 되나요?

A 말라리아에 감염되어 치료를 받기전이나, 치료약 복용 중에는 주변의 다른 사람에게 모기에 의하여 전파시킬 수 있습니다.


 Q 주변에 말라리아 환자가 있으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말라리아 치료중에는 모기장을 사용하여 모기에 의하여 전염되는 일이 없도록 주의하여야 합니다. 주변인들은 모두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합니다.


 Q 모기에 더 잘 물리는 사람이 있나요?

A 평소에 땀을 많이 흘리시거나, 다른 사람에 비해 모기에 잘 물리는 편이라고 생각하시는 분은 개인위생을 철저히 하여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더욱 주의하셔야 합니다.

    집밖에서 개나 고양이를 기르는 경우 동물들을 관리할 때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하셔야 합니다.


 Q 위험지역으로 새로 이사온 이웃에게는 주의를 주시기 바랍니다.

 A 말라리아 위험지역에 이사와 말라리아 감염 위험을 모르는 이웃에게는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함을 당부하여 주십시오.

 

 보건소에서 하는 방역활동 만으로는 말라리아 모기를 모두 없앨 수 없으므로, 개인의 예방행동이 가장 중요합니다.

첨부파일
공공누리
OPEN 공공누리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의 자유이용허락 표시제도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자료관리담당자
  • 담당부서 보건의료정책과
  • 문의처 032-440-2715
  • 최종업데이트 2025-03-12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