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철 발열성질환 예방 요령
○ 가을철에 발생하기 쉬운 급성발열성질환(쯔쯔가무시증, 신증후군출혈열, 렙토스피라증) 예방요령
○ 가을철 급성발열성질환은 추수기에 유행하며 발열이 있으면서 감기몸살과 같은 증상 후 전신증상으로 진행하고, 벼세우기․추수․등산․성묘․밭일 등 야외활동이 많은 사람에게서 주로 발생하며 9월부터 급격히 발생하여 12월까지 발생한다.
○ 가을철 급성발열성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야외활동시 장갑 및 장화를 착용하고, 풀밭에 눕거나 옷을 벗어놓지 말고, 야외활동 후 옷을 털고, 귀가시는 샤워 등 몸을 깨끗이 씻고, 야외 활동후 감기증상이 있을 경우 신속하게 의료기관에서 치료를 받도록 합시다.
■ 가을철 발열성질환의 특징
구 분
|
렙토스피라증
|
쯔쯔가무시증
|
신증후군출혈열
|
감 염 원
|
렙토스피라균에 의한 사람, 동물 공통 감염
|
리켓치아의 일종인
쯔쯔가무시에 의해 감염
|
등줄쥐 등에 서식 하는 한탄바이러스에 감염
|
증 상
|
오한,발열,근육통,
두통,복통 등
|
두통,오한,발열
|
두통,근육통,발열 기침
|
감염경로
|
오염된 물,토양, 음식물과 접촉한 경우 상처난 피부를 통해 전파
|
들쥐에 기생하는 털진
드기 유충이 사람을 물어
전파
|
감염된 등줄쥐 등의
소변,대변,타액 등으로
분비된 바이러스 흡입
|
잠 복 기
|
5˜7일
|
6˜18일
|
2˜3주
|
주감염층
|
농부,광부,낚시꾼, 군인이 주로 감염되며, 홍수나 벼베기후 주로 발생
|
농부,임업,낚시꾼,벌초등
풀숲에 노출된 자
|
벼베기, 밭일, 벌초 등
성인남자가 많이 발생
|
예방요령
|
ㅇ 오염 가능성이 있는
물에서 목욕이나 수영금지
ㅇ 홍수 후 벼세우기 나 벼베기 작업시 보호 장구 착용
ㅇ 쥐나 들쥐의 구제 및 환경개선
|
ㅇ 밭, 들, 임야에서 작업 시에는 진드기 구제 하거나 작업 전 기피제 사용
|
ㅇ 주거지나 건물내
쥐를 구제
ㅇ 쥐가 살던 장소를
젖은 걸레로
닦을 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