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시민의견접수(2020.12.31.)

영종, 용유 지역 시내버스 노선 문제 해결 방안

작성자
남**
작성일
2020-07-09
노선번호
영종, 용유도를 운행하는 버스
해당지역
중구
의견구분
노선
영종도, 용유도 지역에서 발생되는 시내버스 문제들에 대한 저의 혹은 다른 분들의 의견을 일부 요약하였으며 해당 문제들의 해결 방안에 대해 생각해 보았습니다.

문제점
▶영종도 지역
▷하늘도시, 공항신도시 지역 주민들의 노선 부족, 긴 배차간격 등으로 인한 시민의견 다수 발생 – 영종도 내, 외 지역을 운행하는 시내버스의 배차간격 단축과 공항신도시, 하늘도시
⤷현재 하늘도시에서는 영종/인천대교를 넘어 영종도 이외 지역으로 운행되는 버스는 117/202/304/307/320번, 공항신도시에서는 304/307/320번이 전부 – 운행되는 지역이 개화역, 청라, 송도, 연수/터미널/시청, 동인천/중구청 방면으로 제한적임.)
▷영종도 지역 시내버스의 적은 노선, 긴 배차간격, 지나치게 많은 굴곡
▷하늘도시 지역에서 영종역을 잇는 시내버스의 부족
▷영종선착장에서의 배편 연계 문제 - 월미도에서 온 배가 매시 15~20분 정도에 영종도 구읍뱃터에 도착하는 배편의 연계 부족
⤷중구3번 노선이 매시 15~20분에 출발하여 배편 도착시간과 맞지 않음으로 인한 연계 불편
▷공항 방면 시내버스의 수하물 문제 – E버스, 리무진버스 등의 코로나-19 여파로 인한 운행 중단
▷공항 방면 좌석버스의 지나치게 이른 막차 시간
⤷대부분 십정동 강인여객차고지에서 출발 후 영종도 회차지점까지 운행한 뒤 다시 십정동으로 되돌아가야 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임.
⤷영종도 방면 승객의 불편 이외에도 시내구간 운행 승객의 노선 공백에 따른 문제 발생

▶용유도 지역
▷전반적으로 111/306번에만 의존, 111/306번의 비싼 운임으로 인한 교통비 부담 문제, 111/306번이 지나지 않는 지역의 시내버스 공백 문제, 이 두 노선이 운행되는 구간의 잦은 우회운행, 두 노선의 장거리 운행에 따른 운전기사의 피로 등의 문제에 따른 관광객 등의 이용 불편이 나타나고 있음.
↳인천공항-용유역-무의도 지역 - 이전에 서술
↳마시란 지역-222B번이 인천공항 6:00, 20:20, 21:20 1일 3회만 운행되므로 14시간 동안 해당 구간을 운행하는 시내버스가 없음.
↳덕교삼거리-서해수산연구소 구간 – 해당 구간의 불법 주, 정차 문제로 306, 204번 시내버스의 우회운행으로 선녀바위 등을 이용하려는 관광객의 불편 문제
↳왕산-운서역 구간 : 중구2, 중구6-1번 노선에 비해 204번 노선은 지나치게 굴곡이 많아 소요시간이 20분 이상 차이가 나므로 이는 경쟁력 저하, 이용객의 불편을 초래하고 있다.

해결 방안
1. 영종, 용유도 내 시내버스 공영차고지 조성
⤷영종도 지역 주박 차량의 신설로 인천-영종도를 운행하는 공항좌석버스의 이른 막차시간 문제 개선
⤷영종도 내 차량의 확충으로 관내 시내버스 운행 여건 개선
⤷영종도 지역 시내버스의 도로변 주차 문제 개선 가능 등의 장점 확보

2. 장거리 시내버스의 노선 분리, 신설
▷204번 노선 분리
① (인천공항1터미널-용유도 지역-)을왕리-왕산-인천공항2터미널
② 인천공항2터미널-공항물류단지-운서역-넙디-전소-하늘도시-중산중학교(598-1번 대체)
③ 삼목선착장-운서역-넙디-전소-영종역(598-1번의 한정면허 폐지에 따른 전소-영종역 간 대체노선 신설, 삼목선착장의 배편 시간의 현실적 연계)
④ 용유도 지역-직통-운서역 노선 신설(중구2, 중구6-1번 노선 보조, 아래에 추가적으로 서술)

▷111/306번 노선 분리
기존 ‘강인여객-왕산’을 ‘강인여객-인천공항1터미널’로 단축, 이후 구간 일반시내버스 노선 신설로 장거리 운행에 따른 기사의 피로도, 용유도 지역의 배차간격, 교통비 부담 완화

▷307번 노선 분리
①강인여객-인천역-중구청-동인천-청라-영종대교-하늘도시
②강인여객-동인천-청라-영종대교(직통)-인천공항T2

※노선 신설(영종, 용유도 지역 노선 다원화)
▷영종도(공항신도시, 하늘도시) - 인천, 서울 지역 노선 신설
⤷하늘도시-영종대교-계산역, 부평역 등 노선 신설

▷인천공항T2 방면 노선 다원화
⤷인천공항T1 방면 노선에서 인천공항T2 방면 노선 분리
⤷서울, 경기 지역 공항버스와 같이 ‘인천→인천공항T2→T1→인천’, ‘인천→인천공항T1→T2→인천’과 같은 운행 패턴을 고려할 수 있음

▷용유도 지역 노선 다원화(일반시내/마을버스 노선 신설)
① 인천공항T1-용유역-무의도(222, 중구2-1, 무의1 노선 통합) : 이전 의견에서 서술
② 용유도 지역 내 일반시내버스/마을버스 노선 다원화
⤷신설 - 해안노선 : 인천공항T1-용유역-마시란해변-용유출장소-선녀바위-을왕리-왕산
⤷111번 대체 경로 : 인천공항T1-용유역-남성네고개-서릿목-을왕리-왕산
⤷306번 대체 경로 : 인천공항T1-용유역-인천공항전망대-나룻개-용유출장소-을왕리-왕산
→ 이 세 경로 중 일부 운서역(직통)/인천공항T2 연장으로 중구2, 중구6-1, 204번 노선 보조

4. 고속도로 중간 환승정류장 설치(참고 사례 : 한국도로공사의 EX-HUB)
▶운서역, 영종역 인근 고속도로 상에 환승정류장을 설치하여 고속도로를 지나는 공항좌석버스 등의 버스를 정차시키고 고속도로 밑으로 내려갈 수 있도록 통행로를 설치하면 공항철도, 공항버스, 시내버스 간의 3자 환승이 가능하게 되며, 공항신도시, 하늘도시 등과 같은 인근 지역의 교통 편의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음.

▶영종해안북로 상의 삼목선착장 인근에 정류장을 신설하고 통행로를 설치하면 해당 도로를 운행하는 중구2, 중구6-1번, 203, 205 등의 시내버스의 정차를 통해 버스와 삼목선착장 배편과의 연계를 강화할 수 있음.

5. 중구공영버스
▶222, 중구2-1, 무의1 통합 : 이전 의견에 서술

▶중구3, 203번의 영종선착장 출발시간의 배편 도착시간에 맞추어 현실적 운행 조정
⤷중구3번의 경우 영종선착장 출발 시간을 매시 15/20분 출발에서 25분 출발로 조정

▶중구 공영버스 차량의 LED 전광판 설치 - 야간 노선 식별

6. 공항좌석버스 전 노선 302번처럼 짐칸 설치

이외에도 많은 의견이 있겠습니다. 부디 다른 분들의 의견도 참조하시어 영종, 용유지역의 교통 편의가 개선되었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