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의 축제
삼랑성역사문화축제
내용
전등사를 둘러싼 삼랑성은 외적의 침입을 막기위해 단군의 세아들이 쌓았다는 전설이 있다. 고려때 몽골의 침략을 피해 강화도로 천도한 뒤 삼랑성 가궐에서 항몽의지를 불태우며 120일 동안 대불정오설도량을 펼친 곳이기도 하다. 또한, 조선왕조실록을 250년 동안 보관했던 곳이기도 하며, 프랑스 군을 격퇴한 병인양요의 승전지다. 뿐 만 아니라 구한말 일제에 항거하며 1주일 동안 의병전투에서 승리한 곳이기도 하다. 5,000년 간 우리역사와 끊임없이 교류하고, 우리 역사를 품은 민족자존의 현장이다. 우리의 자랑스런 역사의 자긍심을 느끼고, 널리 알리기 위해 삼랑성역사문화축제를 매년 10월 첫 주 토요일부터 개최하여 올해 24회를 맞는다.
우편번호 | 23050 |
---|---|
전화번호명 | 삼랑성역사문화축제 조직위원회 |
전화번호 | 032-937-0125 |
홈페이지 | http://samrangseong.org |
주소 |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전등사로 37-41 |
주최자 정보 | 삼랑성역사문화축제 조직위원회 |
주최자 연락처 | 032-937-0125 |
행사 시작일 | 20241005 |
행사 종료일 | 20241013 |
공연시간 | 09:00 ~ 18:00 |
행사장소 | 전등사 경내 |
이용요금 | 입장료 무료 / 주차비 소형 : 2000원 대형 : 8000원 |
행사소개 | 전등사를 둘러싼 삼랑성은 외적의 침입을 막기위해 단군의 세아들이 쌓았다는 전설이 있다. 고려때 몽골의 침략을 피해 강화도로 천도한 뒤 삼랑성 가궐에서 항몽의지를 불태우며 120일 동안 대불정오설도량을 펼친 곳이기도 하다. 또한, 조선왕조실록을 250년 동안 보관했던 곳이기도 하며, 프랑스 군을 격퇴한 병인양요의 승전지다. 뿐 만 아니라 구한말 일제에 항거하며 1주일 동안 의병전투에서 승리한 곳이기도 하다. 5,000년 간 우리역사와 끊임없이 교류하고, 우리 역사를 품은 민족자존의 현장이다. 우리의 자랑스런 역사의 자긍심을 느끼고, 널리 알리기 위해 삼랑성역사문화축제를 매년 10월 첫 주 토요일부터 개최하여 올해 24회를 맞는다. |
행사내용 | 1. 메인프로그램 : 10.5 19:00 개막식 19:00가을음악회 / 10. 6 13:00 영산대재 2. 부대프로그램 : 10.5 13:00 역사강좌 14:30 학술세미나 10. 12 봉산탈춤 10. 13 마당극 외 현대작가 전 조선군사깃발 전 불교문화속의 용 전 3. 소비자 참여 프로그램 : 체험 부스 및 지역 특산품 판매 부스, 먹거리 장터 |
- 자료관리담당자
-
- 담당부서 재외동포협력과
- 문의처 032-440-1568
- 최종업데이트 2025-0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