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경제동향

최근 인천경제(2024년 5월)

담당부서
경제정책과 (032-440-3264)
작성일
2024-05-23
조회수
463

최근 인천경제(2024년 5월) 입니다. 


Ⅰ. 지역경제

제조업과 수출 지표에 대해 소폭의 조정이 이루어지고 설비투자와 건설경기 등 지표의 악화로 미진한 경기 회복세를 유지

(기업경기) 전산업과 소매판매 증가세의 둔화 등 요인으로 제조업 지표의 성장세가 다소 조정됨

(투 자) 건설수주액 전년동월대비 성장의 기저효과와 설비·건설투자 등 지표의 악화로 경기 둔화 흐름 지속

(수 출 입) 주력 품목의 수출 회복세가 지속되고 올해 첫 수입액이 증가함에 따라 무역 규모가 확대

(기업금융) 은행 대출 정책 등으로 기업대출잔액이 증가, 어음부도율은 안정되었으나 연체율 상승세는 지속

(고 용) 고용률 상승, 실업률 감소 상황에서 임금근로자가 증가하여 고용 여건이 다소 안정적으로 개선


Ⅱ. 시민경제

농축수산물 등 변동성이 큰 품목의 가격 조정으로 물가 상승 폭은 다소 축소되었으나 고유가와 고금리 현상이 계속되면서 소비심리 위축 장기화 등으로 내수경기 부진 지속

(소 비) 대형소매점·대형마트 지수는 개선되었으나 소비 위축이 지속되면서 내수경기 회복세 부진

(물 가) 유가 상승세 지속에도 농축수산물 수급 개선과 수요 부진 등 요인으로 물가 상승세 소폭 둔화

(가계금융) 예금은행 주택담보대출 외 모든 가계대출이 줄어 총잔액 감소세를 유지, 연체율은 소폭 상승

(소상공인) 계절적 요인 등으로 체감 BSI는 상승, 경기침체로 인한 소비심리 위축 등에 따라 전망 BSI는 하락

(부 동 산) 매매가격 하락 폭 축소 흐름 지속, 전세가격은 반등하였으며, 매매·전세 수급동향은 횡보세를 유지


첨부파일
(최종)최근인천경제_2024년_5월호(2024.05.23).pdf 미리보기 다운로드
공공누리
OPEN 공공누리 출처표시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의 자유이용허락 표시제도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자료관리담당자
  • 담당부서 경제정책과
  • 문의처 032-440-3263
  • 최종업데이트 2025-03-12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