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경제동향

최근 인천경제(1월)

담당부서
경제정책과 (032-440-3263)
작성일
2025-01-31
조회수
1186

최근 인천경제(1월)입니다.


Ⅰ. 지역경제

주요 수출 품목을 제외한 제조업 생산에서 하락세가 나타나고 있으며, 계절적 요인 등으로

실업률이 증가하고 건설투자 부진의 장기화로 경기 둔화 추세 지속

(기업경기) 인천의 생산 및 소비 증가세 둔화와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로 경기심리가 위축

(투 자) 기계류 중심으로 설비투자 증가세는 유지되었으나, 건설기성 감소세로 건설투자는 여전히 부진

(수 출 입) ICT 품목 성장세는 지속되나, 여타 품목 증가세 조정과 미국 통상정책 불확실성으로 수출 여건 악화

(기업금융) 대기업 대출잔액 감소 폭이 확대됐으나, 중소기업 대출잔액의 일정한 증가율로 총대출잔액 증가

(고 용) 자영업자는 오랜 감소세에서 증가세로 전환됐고, 계절적 요인 등으로 고용률과 실업률 부진


Ⅱ. 시민경제

인천소비지수 변동 폭은 크지 않으나, 대내 여건 불확실성으로 소비심리가 크게 위축되었고,

물가 상승, 부동산 시장 부진 지속 등 요인에 따라 내수시장 하방 위험 확대

(소 비) 음식·숙박업, 서비스업 지출 증가로 소비지수는 증가했으나, 대내 여건 악화로 소비자심리지수 급락

(물 가) 농축수산물과 석유류 가격이 올라 물가상승률은 높아졌으나, 물가 상승세 둔화 흐름은 지속

(가계금융) 신규대출액 감소세 지속에도, 은행권과 비은행권 주택담보대출 확대로 가계대출잔액 증가

(소상공인) 대내 여건의 불확실성 확대로 인천 소상공인 및 전통시장 체감 BSI가 큰 폭의 하락세를 기록

(부 동 산) 매매·전세의 가격지수 증가세, 수급동향 지수 감소세 지속으로 부동산 시장 위축 확대





첨부파일
(최종)최근인천경제_2025년_1월호(2025.01.24).pdf 미리보기 다운로드
(최종_부록)최근인천경제_2025년 1월호(2025.01.24).pdf 미리보기 다운로드
공공누리
OPEN 공공누리 출처표시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의 자유이용허락 표시제도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자료관리담당자
  • 담당부서 경제정책과
  • 문의처 032-440-3263
  • 최종업데이트 2025-03-12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