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이야기
-
코로나 확진자 2000만명 돌파, 코로나, 실직에 영향 컸다
지난 2일 코로나 확진자 수가 2000만명을 넘었다.우리나라 국민 5명중 2명이 확진 되었다는 것과 같다.코로나 확진자가 발생한지 2년 6개월이 지났다. 2년 6개월이 지난 지금 코로나 대유행은 저소득층, 청년, 여성의 일자리에 큰 피해를 준 것으로 나타났다.거리는 점점 일상으로 돌아가고 있지만, 아직도 코로나의 그림자를 짊어지고 지내는 사람들이 있다. 바로 코로나 사태로 실직된 사람들이다. 코로나 유행은 과연 이들의 실직에 얼마나 큰 영향을 주었을까?저소득층 실직자 10명 중 4명이 코로나 유행으로 실직된 것으로 나타났고, 중소득층은 실직자 10명 중 3명이 코로나 유행으로 실직된 것으로 나타났다.코로나 유행은 여성, 청년 중심으로 실직에 큰 영향을 주었다.청년층과 여성의 직장 유지율은 각각 4.3%포인트, 3.5%포인트 떨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남성의 직장 유지율에는 유의미한 영향이 파악되지 않았다.이렇듯 코로나 유행은 저소득층, 여성, 청년 중심으로 실직에 큰 영향을 미쳤는데, 과연 이들의 정신상태는 어떨까?서울대학교 연구팀이 최근 이들의 정신상태는 조사했는데, 결과는 10명 중 4명이 우울증이 있고, 10명 중 3명이 극단적인 선택을 고민했다고 조사되었다.또한 구직자 10명 중 8명이 실직 경험이 있다고 답했고, 실직 경험이 있는 이들 10중 3명이 코로나 사태로 인해 실직되었었다고 답했다.코로나 사태로 인해 사람들의 삶의 질은 떨어졌다. 현재의 삶에 만족하지 않는 사람은 코로나 사태 전보다 3배 가까이 증가하였다.서울대 연구팀은 정부가 거리두기와 방역 관련 부분, 일상회복 뿐만 아니라, 코로나로 일상이 무너진 취약계층을 위한 대책도 마련해야한다고 강조했다.참고
- 작성일
- 2022-08-03
- 담당부서
-
온열질환,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연일 고온의 날씨가 이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전국적으로 내린 비로 인해 더위가 주춤하고 있지만, 지난 30일만 해도 서울의 기온이 36.1도를 기록하기도 했었다. 이렇게 폭염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온열질환에는 어떤 것이 있으며, 어떻게 대처하고 예방할 수 있을까. 자료 출처. 보건복지부 블로그 https://blog.naver.com/mohw2016/222832354036 온열 질환은 열사병, 열탈진, 열경련, 열실신, 열 부종으로 나뉜다. 먼저 열사병은 체온 조절 기능의 장애로 발생하는 것으로, 40°C 이상의 고열과 현기증, 두통, 오한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열탈진은 염분과 수분 손실로 발생하는 것으로 발한, 현기증, 심한 피로와 갈증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이외에 근육경련이 일어나는 열경련, 실신과 어지럼증이 나타나는 열실신, 손이나 발 혹은 발목에 부종이 나타나는 열 부종도 있다. 만약 열사병 등 온열질환이 발생하면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온열질환이 발생하면 119에 신고하고 환자를 시원한 곳으로 옮기라고 한다. 또한, 의식이 있으면 수분(이온 음료보다는 물)을 섭취하게 하고 시원한 물수건 등을 이용해 체온을 내려야 한다. (환자가 의식이 없을 때 물을 흘려 넣는 행위를 해서는 절대 안 된다.) 이후에 증상이 나아지지 않는다면 의료기관에 내원해야 한다. 온열질환이 발생하고 응급처치를 하는 것보다 온열질환을 예방하는 것이 더 좋은 방법이다. 온열질환 예방을 위해서는 폭염 영향예보와 폭염특보 발효 여부를 사전에 확인하고 폭염특보가 발효됐다면 외출을 자제하는 것이 좋다. 만약 불가피하게 외출한다면, 해를 피하고 그늘에서 자주 휴식을 취하며, 물을 자주 마셔야 한다. (사
- 작성일
- 2022-08-02
- 담당부서
-
반가워, 저어새야!
Normal 0 0 2 false false false EN-US KO X-NONE 혹시 여러분은 저어새에 대해서 알고 있나요? 넓적한 부리로 물을 저으며 먹이를 잡아 저어새라고 이름 붙여진 이 새는 지구상에 3,900여 마리밖에 남아있지 않은 멸종위기 종이자, 우리나라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새입니다. 그리고 우리나라 황해안 작은 섬에서 전 세계 저어새의 90% 이상이 번식기가 되면 알을 낳고 새끼를 키웁니다. 새끼가 다 성장하면 번식지 인근의 갯벌, 강 하구, 간척지 등에서 생활을 하다가 겨울이 오면 대만, 일본, 홍콩, 중국 등 따뜻한 남쪽으로 떠납니다. 그리고 봄이 오면 다시 약 3,000km 이상을 날아 한국으로 돌아오는 반가운 철새입니다. 인천에서 저어새에 대한 본격적인 관심이 시작된 것은 2009년 부터입니다. 먼바다의 무인도에서만 번식을 하던 저어새가 2009년부터 인천 송도 남동유수지 내의 작은 섬에서 번식하기 시작한 것입니다. 원래 그 섬은 저어새의 서식지나 다른 새들의 터전을 위해서가 아닌 홍수를 막기 위해 수위 측정용으로 만들어진 인공 섬이었습니다. 흔히 저어새 섬으로 알려진 돌섬도 이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현재는 2009년에 날아온 저어새 4쌍을 시작으로 여름마다 저어새가 찾아오는 저어새들의 고향이 되었습니다. 저어새가 원래부터 반갑게 여름을 맞이해 주었던 것은 아닙니다. 한국 전쟁 후 70년대까지만해도 저어새는 300여 개체도 되지 않았습니다. 경제 논리를우선시하는 각종 개발 사업과 삶의 질을 중요시 하는 우리의 인간 활동이 그 원인입니다. 이러한 인간활동은 우리에게 만족감을 주는 대가로 저어새를 비롯한 많은 생명들을 앗아가고 있습니다. 갯벌 매립으로인한 먹이 터 감소, 홍수, 알 채취, 낚시줄에
- 작성일
- 2022-07-31
- 담당부서
-
슬럼프가 왔는가
슬럼프의 정의는운동 경기 따위에서, 자기 실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고 저조한 상태가 길게 계속되는 일이라고 나와있다.현재 이 슬럼프의 뜻은 스포츠 이외에도 넓은 범위에서 쓰이고 있으며, 지금 상태가 부단한 노력을 해도 발전하지 못하고,계속 그 자리에 머물러 있는 것 같은 상태를 말한다.슬럼프라는 게 나쁘게 느껴질수도 있겠지만, 슬럼프의 정의에서도 알수있듯이 부단한 노력을 해도 발전하지 못하는 것이 슬럼프이다.즉, 노력을 해야 오는 것이 슬럼프란 것이다. 그러니 슬럼프를 부정적으로 받아들이지 않았으면 좋겠다.슬럼프의 정의도, 그리고 슬럼프가 부정적이라는 것이 아니라는 것도 아는데 그럼 슬럼프를 극복하는 상태가 무엇일까?슬럼프가 오면 그저 만사가 귀찮다. 그래서 규칙적인 생활을 하는것이 슬럼프 극복에 도움이 된다.그리고 잠시 쉬어가는 것도 괜찮으니 하루에 30분은 꼭 자신만의 휴식시간을 만들어 쉬어가는 것도 도움이 된다.슬럼프 극복은 단시간에 빠르게 하면 오히려 악영향을 끼칠 수 있기 때문에 하루하루 천천히 극복해 나가야 한다.마지막으로 위로글귀를 쓰면서 마무리해본다."당신은 무언가를 이뤘던 사람이다.""또 실패를 했는가? 괜찮다 또 더 나은 실패를 해라.""우리가 이룬 것 만큼 이루지 못한 것도 자랑스럽다."
- 작성일
- 2022-07-31
- 담당부서
-
계속되는 K-??? 인기, 그 이유는 무엇일까?
긴 과거는 아니지만 전부터 현재까지 그리고 예측하지 못하는 그 미래까지 한국 문화의 인기는 계속 되고, 계속 될 것이다.한국이 만든 영화, 드라마가 전 세계에 퍼져 생각지 못했던 인기를 얻었던 것이 한두번이 아니다.한국의 노래도 마찬가지다. BTS의 노래가 빌보드 차트에 1위를 계속 기록하고, 여러 아이돌 그룹들이 유튜브에서 뮤직비디오로 조회수를 몇억뷰를 기록한다.이렇듯, 한국의 문화는 더더욱 가늠할 수 없이 세계적으로 나아가고 있는 중인데, 한국 문화가 인기있는 그 이유는 무엇일까? 또 한국 문화가 세계로 나아간 역사는 어떨까?2000대 이전에는 몇몇 한국 드라마들이 엄청나게 성공을해서 일본정도로 진출을 했었다. 그래서 그때는 한류스타라고 하면 일본정도로 진출을 한 스타들을 말한다. (ex. 보아)그리고 2000대에는 한국 아이돌들이 아시아 전체로 진출을 했었다. 그래서 그때는 한류스타라고 하면 아시아 전체를 진출해야 한류스타라고 이야기 했었다.2010년대부터는 싸이와 방탄소년단과 같은 유명 아이돌이 데뷔하면서 세계로 진출했었다. 그래서 이때부터 전세계를 진출해야 한류스타라고 이야기한다.2020년대부터는 한국 드라마나 영화 아이돌과 같은 다양한 영역의 문화들이 넷플릭스 같은 글로벌 프로그램을 통해서 전 세계로 진출했다.자 그럼 한국문화의 인기 이유는 무엇일까?첫번째로는 여러 나라 사람들이 봐도 공감할 사회 문제들을 집약적으로 다뤘던 것이 큰 성공 요인인 것 같다.두번째로는 '인물' '감정' '극 중의 이야기 전개'들에 집중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실제로 오징어 게임과 비슷한 결의 다른 영화들은 얼마나 사람이 잔인하게 죽고, 복잡한 이야기 전개에
- 작성일
- 2022-07-31
- 담당부서
-
떠오르는 핫플레이스 '우영우 팽나무'... 천연기념물 지정 검토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7, 8화에 걸쳐 방영된 '소덕동 이야기'에 등장하는 팽나무가 천연기념물이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원래 창원시 보호수로 지정되었던 이 나무는 수령이 500년 정도 되는 나무로 높이 16m, 둘레 6.8m 정도가 되는 팽나무 중에서도 크고 오래된 나무에 속한다. 드라마 방영 이후 문화재청은 29일 오후 경남 창원시 북부리에 있는 팽나무의 실제 문화재적 가치를 판단하기 위해 천연기념문 지정조사를 실시했다고 밝혔다. 현장 조사에는 문화재위원회 전체 위원장과 천연기념물분과 위원장을 겸하고 있는 전영우 국민대 명예교수 등 문화재 위원 3명이 참여했다. 팽나무에 대한 관심이 증가한 것은 긍정적인 일이나 드라마 방영 이후 생긴 안좋은 점 또한 존재한다. 조용했던 마을이 팽나무를 보기 위한 관광객들로 붐비기 시작하며 몰려드는 인파를 맞을 준비가 제대로 되지 않아 팽나무가 훼손되고 쓰레기 문제가 급증한 것으로 보인다. 단순히 주차난, 쓰레기 투기뿐만 아니라 한꺼번에 많은 사람들이 찾아와 땅을 밟게 되면 나무의 생육에도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것이 우려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문화재청은 "나무를 보호하면서 마을 주민에게도 피해가 가지 않고, 관람객들도 나무의 경관을 감상할 수 있도록 창원시와 협의해 보존 대책을 세우고 있다"고 밝혔다.이번 팽나무 천연기념물 지정 검토 사건은 드라마와 같은 미디어가 가져오는 긍정적인 효과를 보여준 것 같아 좋았다. 드라마에서 나왔던 것처럼 창원시 팽나무가 꼭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한다.
- 작성일
- 2022-07-30
- 담당부서
-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오염수 방류 결정... 과연 괜찮은가
통영 앞바다에서 어선 120여척이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반대 해상 시위에 나섰다. 일본이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에서 발생하는 오염수 130만톤을 바다로 방출하기로 결정함에 따라 벌어진 일이다. 일본은 왜 이런 결정을 내렸고, 오염수가 바다에 방류되었을 때 생기는 문제점은 무엇일까? 일본의 후쿠시마 오염수 배출 결정과 그 배경은 이러하다.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에 130만톤의 오염수가 누적되고 더 이상 저장할 공간이 없어지자 일본 원자력규제위원회가 바다로의 후쿠시마 오염수 방출을 결정했다. 일본 정부와 도쿄 전력은 ALPS 처리 과정을 통해 Cs-134, Cs-137 등 방사성 동위원소는 걸러내고, 삼중수소 등 일부 방사선 핵종이 포함된 오염수는 안전 기준 이하로 희석시켜 2051년까지 약 30년에 걸쳐 방류하겠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이러한 일본의 결정에는 많은 위험이 뒤따른다. 방사능 오염수의 삼중수소는 사람의 몸에 흡수되면 유전자 변형, 암 유발, 생식 능력 저하 등 인체에 치명적인 부작용을 낳을 수 있다. 또한 후쿠시마 오염수는 핵연료봉이 녹아내려 60가지가 넘는 방사능 물질이 뒤섞여 있고, 이 가운데 방사성 세슘은 삼중수소의 722배, 방사성 스트론튬은 1556배가 넘는 방사선을 내뿜는데 일본은 이에 관해서도 60여 가지의 방사능 물질을 적절하게 처리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일본의 오염수 방류는 우리나라에도 큰 위험이 된다. 숀 버니 그린피스 원자력 전문가는 일본이 바다에 오염수를 방출할 시 한국이 가장 위험하다라고 말한 바 있으며, 그린피스 또한 "후쿠시마에 보관중인 방사능 오염수 방출, 1년만에 동해바다는 죽음의 방사능 바다된다."라고 발표했다. 2012년에 발표된 후쿠시마
- 작성일
- 2022-07-30
- 담당부서
-
약은 이곳에 버려주세요
약 보관·폐기는 이렇게 하세요! [약즐시 S3.. : 네이버블로그 (naver.com)
- 작성일
- 2022-07-29
- 담당부서
-
국제 호랑이의 날
국제 호랑이의 날 (naver.com)
- 작성일
- 2022-07-29
- 담당부서
-
금개구리를 소개합니다
- 작성일
- 2022-07-28
- 담당부서
- 자료관리담당자
-
- 담당부서 청소년정책과
- 문의처 032-440-2922
- 최종업데이트 2025-03-12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