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도자료

[보도자료] 인천시, 'IoT 기반 모기 감시'로 시민 건강 사수

담당부서
감염병진단과 (032-440-5442)
작성일
2017-12-17
조회수
551

○ 인천시가 전국 최초로 사물인터넷 기반 모기 감시 시스템을 구축해 말라리아, 일본뇌염 등 모기 매개 감염병으로부터 시민 건강을 지킨다.
 
○ 인천광역시(시장 유정복) 보건환경연구원은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이하 IoT) 장비를 활용한 자동 모기 계측기를 기존 10 지점에서 120 지점으로 확대해 모기 매개 감염병에 대한 대비·대응체계를 강화한다고 밝혔다.
 
○ 최근 지구온난화와 국제교류 활성화로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뎅기열과 같은 모기 매개 감염병이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특히 인천은 인천국제공항, 인천국제항이 위치해 해외유입 모기로 인한 감염병 위험도가 높아 촘촘한 대응 시스템이 필요하다.
 
○ 이에 인천시는 ‘IoT 기반 모기 감시 시스템’을 전국 최초로 기획, 행정안전부의 ‘지방자치단체 맞춤형 안전관리사업 지원 사업 공모’에 선정돼 특별교부세 5억 2천만원을 지원받아 사업을 수행하게 됐다.
 
○ 보건환경연구원은 모기 전문가 자문회의, 보건소 방제 실무자 회의, 현장 답사 등을 통해 120 지점을 선정했다.
 
먼저 3회의 자문회의를 거쳐 ▲통상적인 모기 감시 ▲국제공항과 국제항구 주변을 대상으로 하는 해외유입 모기 감시 ▲말라리아 발생지를 대상으로 하는 말라리아 매개 모기 감시의 세 권역으로 감시 지점을 나눴다. 구체적인 지점은 시 보건정책과, 군·구 보건소 등과 함께 관계기관 회의를 거쳐 현장 답사 후 최종 120 지점을 선정해 자동화 감시장비를 설치했다.
 
○ 인천 전역 120 지점의 모기 발생 정보는 인천시의 ‘스마트 GIS 플랫폼’을 통해 시민들에게 실시간 공개된다. 또 모기방제의 최일선 기관인 보건소에 실시간으로 정보를 제공해 방제 현장에서 신속대응이 가능하게 할 예정이다.
 
○ 이번 사업은 타지역 방역기관에서 벤치마킹하기도 했으며, 중국 천진시 질병통제예방센터에서도 큰 관심을 보이는 등 안전관리의 모범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 이성모 보건환경연구원장은 “감염병은 대응, 복구보다 예방이 더 중요하다”며, “전국 최초로 구축한 인천만의 4차 산업혁명 기반 자동화 모기 감시 시스템은 인천 전역의 모기 발생 현황을 실시간으로 시민들에게 알려드리고, 신속한 방제를 가능하게 해 모기 매개 감염병으로부터 시민의 건강을 지키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첨부파일
10.(1217) 인천시, 'IoT 기반 모기 감시'로 시민 건강 사수.hwp 미리보기 다운로드
공공누리
OPEN 공공누리 출처표시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의 자유이용허락 표시제도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자료관리담당자
  • 담당부서 총무과
  • 문의처 032-440-5425
  • 최종업데이트 2025-03-12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