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도자료

[보도자료]인천시, 일본뇌염 매개모기 첫 발견

담당부서
(032-440-5442)
작성일
2018-07-13
조회수
321

천광역시(시장 박남춘) 보건환경연구원은 관내 설치된 DMS(자동모기계측기)에서 일본뇌염 매개모기인 작은빨간집모기(Culex tritaeniorhynchus)가 올해 처음 발견되었다고 밝혔다.

 

DMS(Digital Mosquito monitoring System)란 이산화탄소를 유인제로 하여 암모기만 선택적으로 유인한 후 개체수를 자동으로 계측하는 장비로 연구원은 2017년 인천 관내 120지점에 설치하여 운영 중에 있으며 보건소 방제 관계자에게 실시간으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이 중 10개 지점에 대해 4월부터 10월까지 월 2회 채집된 모기에 대해 모기종 분류를 수행하고 있으며 79~10일 채집된 모기에서 일본뇌염 매개모기를 처음으로 확인하였다.

 

인천지역에서는 2016년도 30주차(724~30), 2017년도 28주차(711), 201828주차(79~10)에 처음으로 작은빨간집모기가 채집되어 발견시기가 빨라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보건환경연구원에서는 시와 군·구 방역담당기관에 일본뇌염 매개모기 발견 정보를 제공하고 모기방제에 대한 방역활동을 강화할 것을 당부했다.

 

일본뇌염은 잠복기가 7-14일이며 대부분 무증상 또는 발열이나 두통과 같은 가벼운 증상이나, 감염자의 250명 중 약 1명 정도가 심한 증상을 보이며 급성 뇌염, 수막염 등에 이환될 수 있는 감염병이다.

 

질병관리본부는 지난 43일 부산지역에서 일본뇌염 매개모기를 첫 번째로 확인됨에 따라 전국에 일본뇌염 주의보를 내렸으며, 76일 전남지역에서 모기의 하루평균 개체수 중 일본뇌염 매개모기가 500마리 이상이면서 전체 50% 이상 분류돼 전국에 일본뇌염 경보를 발령한 상황이다.

 

보건환경연구원 관계자는 관내 일본뇌염 모기가 첫 발견됨에 따라 야외활동 시 밝은 색의 긴 바지와 긴 소매의 옷을 입어 피부노출을 최소화하고, 노출된 피부나 옷·신발상단·양말 등에 모기 기피제를 사용하며, 가정 내에서는 방충망 또는 모기장을 사용하는 등 모기회피 및 방제요령을 준수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첨부파일
보도자료(20180713).hwp 미리보기 다운로드
공공누리
OPEN 공공누리 출처표시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의 자유이용허락 표시제도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자료관리담당자
  • 담당부서 총무과
  • 문의처 032-440-5425
  • 최종업데이트 2025-03-12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