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도자료

[보도자료] 인천지역 모기 지난해 대비 48.1% 증가

담당부서
(032-440-5446)
작성일
2018-11-21
조회수
285
○ 인천광역시(시장 박남춘) 보건환경연구원은 4월부터 10월까지 12개소(도심 4개소*, 도서 8개소**)에서 ′모기밀도 조사사업′을 실시한 결과, 전체 모기는 45,135마리가 채집되어 작년에 비해 48.1% 증가하였으며, 말라리아를 옮기는 얼룩날개모기류는 21,713마리가 채집(2017년 대비 126.2% 증가)되었다고 밝혔다.
* 도심 4개소: 부평구 부평동, 서구 연희동·백석동, 계양구 선주지동
** 도서 8개소: 강화군 대산리·월곳리·금월리·석모리·대룡리·숭뢰리·솔정리, 중구 운남동

○ 모기 개체수는 사상 최고의 폭염을 기록한 8월 중순까지는 작년과 비슷하였으나 폭염주의보가 해제된 이후 일평균 최고기온 하락과 강수량의 증가로 모기 생태환경이 호전되어 급증한 것으로 추정된다.
 
○ 말라리아를 매개하는 얼룩날개모기류의 원충 감염률을 조사한 결과 병원체는 발견되지 않았다.
 
○ 채집 모기수는 얼룩날개모기류>금빛숲모기>빨간집모기 순이었으며, 2017년 빨간집모기>얼룩날개모기류>금빛숲모기와 다른 양상을 보였다. 일본뇌염을 매개하는 작은빨간집모기는 915마리가 잡혀 전체 모기수의 2.0%를 차지하였다.

○ 한편, 연구원은 해외로부터 매개체의 유입 가능성이 커짐에 따라 2009년부터 공항지역 2개소(을왕산, 오성산)에서 해외유입매개체 감시사업을 실시해 오고 있으며, 올해는 2,822마리가 채집되어 지난해 대비 23.4% 증가하였다. 모기분류 결과 신종 모기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채집된 모기에서 플라비바이러스속(지카바이러스, 뎅기열, 웨스트나일열, 일본뇌염, 황열 등)은 검출되지 않았다.
 
○ 이성모 보건환경연구원장은 “지난해 실시간 모기발생정보 시스템을 120지점에 확대 운영하였고, 올해는 수도권기상청과 협업하여「인천형 도심지 모기활동지수」를 개발하여 시범운영 중에 있으며, 내년에는 실시간 모기발생정보와 모기활동지수를 보건소 방제담당자에게 제공하여 인천시민의 건강보호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첨부파일
인천지역 모기 지난해 대비 48.1% 증가.hwp 미리보기 다운로드
공공누리
OPEN 공공누리 출처표시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의 자유이용허락 표시제도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자료관리담당자
  • 담당부서 총무과
  • 문의처 032-440-5425
  • 최종업데이트 2025-03-12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