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인천시, 기후변화 대응 매개체 감시사업 실시
○ 인천광역시(시장 유정복)는 지구온난화 등 기후변화로 모기매개 감염병 위험이 높아짐에 따라 모기 감시사업 실시를 통해 매개체 전파질환의 유입 및 확산에 대처하고 있다고 밝혔다.
○ 시 보건환경연구원은 인하대학교와 공동으로 『기후변화 매개체 감시 거점센터』를 2015년부터 운영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올해는 기존 도심 3개소와 신규 철새도래지 3개소에서 3월부터 11월까지 매개 모기를 채집하고 지카바이러스 등 해외감염성 질환에 대한 병원체 확인을 실시하고 있다.
○ 또 해외유입 매개체의 유입가능성이 증대됨에 따라 4월부터 10월까지 인천국제공항 주변 2개소에서 매주 모기감시를 실시하며 채집된 모기로부터 뎅기열, 웨스트나일열, 황열 등에 대한 병원체 감시를 철저히 수행하고 있다.
○ 이와 함께 인천 관내 도심(부평구, 서구, 계양구) 4개 지점, 도서(중구, 강화군) 8개 지점 등 총 12개 지점에서 4월부터 10월까지 말라리아 및 일본뇌염 모기밀도조사를 매주 수행하여 얼룩날개모기류(말라리아 매개)와 작은빨간집모기(일본뇌염 매개)에 대한 발생지역 및 개체수 증감 추이를 확인할 예정이며, 이러한 조사 결과는 질병관리본부 및 시청, 군․구 보건소에 방역자료로 매주 송부되며 시청 및 연구원 홈페이지 자료실에 매달 정보가 공개된다.
○ 질병관리본부는 지난 4월 1일 부산지역에서 일본뇌염 매개모기인 ‘작은빨간집모기(Culex tritaeniorhynchus)’를 올해 첫 번째로 확인하여 전국에 일본뇌염 주의보를 발령함에 따라 야외 활동 시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 보건환경연구원 관계자는 “기후변화 대응 매개체 감시사업뿐만 아니라 인천 관내에 설치된 DMS(모기자동계측기)에서 채집된 모기 우점종에 대한 살충제 내성 유전자 분석을 인하대학교와 공동으로 추진하여 지역 맞춤형 살충제 선정의 실효성도 높일 예정”이라고 말했다. |
보도내용(공개용) |
○ 인천광역시(시장 유정복)는 지구온난화 등 기후변화로 모기매개 감염병 위험이 높아짐에 따라 모기 감시사업 실시를 통해 매개체 전파질환의 유입 및 확산에 대처하고 있다고 밝혔다.
○ 시 보건환경연구원은 인하대학교와 공동으로 『기후변화 매개체 감시 거점센터』를 2015년부터 운영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올해는 기존 도심 3개소와 신규 철새도래지 3개소에서 3월부터 11월까지 매개 모기를 채집하고 지카바이러스 등 해외감염성 질환에 대한 병원체 확인을 실시하고 있다.
○ 또 해외유입 매개체의 유입가능성이 증대됨에 따라 4월부터 10월까지 인천국제공항 주변 2개소에서 매주 모기감시를 실시하며 채집된 모기로부터 뎅기열, 웨스트나일열, 황열 등에 대한 병원체 감시를 철저히 수행하고 있다.
○ 이와 함께 인천 관내 도심(부평구, 서구, 계양구) 4개 지점, 도서(중구, 강화군) 8개 지점 등 총 12개 지점에서 4월부터 10월까지 말라리아 및 일본뇌염 모기밀도조사를 매주 수행하여 얼룩날개모기류(말라리아 매개)와 작은빨간집모기(일본뇌염 매개)에 대한 발생지역 및 개체수 증감 추이를 확인할 예정이며, 이러한 조사 결과는 질병관리본부 및 시청, 군․구 보건소에 방역자료로 매주 송부되며 시청 및 연구원 홈페이지 자료실에 매달 정보가 공개된다.
○ 질병관리본부는 지난 4월 1일 부산지역에서 일본뇌염 매개모기인 ‘작은빨간집모기(Culex tritaeniorhynchus)’를 올해 첫 번째로 확인하여 전국에 일본뇌염 주의보를 발령함에 따라 야외 활동 시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 보건환경연구원 관계자는 “기후변화 대응 매개체 감시사업뿐만 아니라 인천 관내에 설치된 DMS(모기자동계측기)에서 채집된 모기 우점종에 대한 살충제 내성 유전자 분석을 인하대학교와 공동으로 추진하여 지역 맞춤형 살충제 선정의 실효성도 높일 예정”이라고 말했다. |
-
공공누리
-
-
OPEN 공공누리 출처표시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의 자유이용허락 표시제도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