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역에 관한 Q&A>
1. 홍역은 어떻게 전파되나요?
- 홍역은 호흡기 분비물 등의 비말에 의하거나 오염된 물건을 통하여 호흡기로 감염됩니다.
2. 홍역은 증상은 무엇인가요?
- 처음에는 감기처럼 콧물, 기침 같은 증상과 결막염 등이 나타나다가 고열과 함께 얼굴에서 몸통으로 퍼지는 발진이 나타나는 감염성이 높은 바이러스 질환입니다. 중이염이나 폐렴 같은 합병증이 흔히 발생하고 홍역 환자 1,000명 중 1~2명은 뇌염처럼 심각한 후유증을 앓거나 사망에 이를 수 있습니다.
3. 홍역의 치료는 어떻게 하나요?
- 특별한 치료방법은 없습니다. 대다수의 환자가 자연 치유되므로 대증요법으로 충분한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4. 홍역은 어떻게 예방하나요?
- MMR백신 2회 예방접종을 통해 홍역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 소아: 생후 12~15개월과 만 4~6세에 각각 1회 접종(총2회)
> 성인: 과거 접종기록이 없으면서 해당 감염병에 걸린 적이 없거나 항체가 확인되지 않는 1967년 이후 출생자는 적어도 1회 접종
<해외여행 시 연령, MMR 접종력에 따른 접종일정>
연령 | 과거 MMR 접종횟수 | 해외여행 대비 가속접종1) 일정 | 향후 MMR 접종일정 |
0~5개월 | 없음 | - | 권장 접종일정(생후 12~15개월, 만 4~6세)에 따라 2회 접종 |
6~11개월 | 없음 | 1회 | 생후 12개월 이후 1회 재접종이 필요하며, 2차 접종은 권장 접종일정(만4~6세)에 따라 접종 |
12개월 ~ 만 49세2) | 없음 | 최소 4주 간격으로 2회 접종 | 2차 접종을 완료한 경우 향후 추가 접종 필요하지 않음 |
1회 | 1회 접종 (이전 접종과 최소 4주 간격) |
2회 | - |
1) 가속접종: 불가피하게 표준접종일정을 지키지 못할 상황에서 신속하게 면역을 획득해야 하는 경우 적용
2) 1967년 이전에 출생한 성인의 경우 홍역에 대한 자연면역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접종 불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