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민방위 훈련 계획

  • 중점추진방향
    1. 공습대비 훈련 실시
    2. 전국·지역단위 다양한 훈련추진
    3. 민방위 대원 훈련 참여 확대
    4. 민방위 훈련 종합평가체계 구축
  • 세부 훈련계획(안)
    시기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훈련명 민방위 준비태세
    점검 훈련
    지역특화
    공습대비 훈련
    을지훈련 연계
    공습 대비 훈련
    지역특화
    재난대비 훈련
    대상 정부, 지차체 등 지자체, 학교 등 전 국민 정부, 지차체 등
    대상
    • 대원·시설 준비점검
    • 비상시 행동요령 숙지
    • 지역별 특성 고려
    • 안전취약계층 대상
    • 국민참여유도, 차량통제
    • 민방위대피소 운영
    • 안전한국훈련 연계
    • 지역별 재난유형 차별화

(1분기) 민방위 준비태세 점검 훈련

  • (시기/대상) ‘25. 3월 / 정부, 지자체, 공공기관, 학교
  • (주요내용) 공습이나 화생방 상황시 행동요령 사전교육, 기관별 민방위자원 사전 점검 및 훈련 참여 민방위 대원 준비태세 확립
중점 추진사항

  • (민방위자원·대원 준비태세 점검) 훈련 참가 지역·직장 민방위대원 임무·역할 고지 및 대피시설, 메가폰, 응급처치세트 등 민방위 장비 점검
  • (비상시 국민행동 요령 숙지) 신속한 대피를 위해 기관별로 비상시 국민행동요령 관련 영상물, 인쇄물 등을 활용 사전교육 실시

(2분기) 지역특화 공습대비 훈련

  • (시기/대상) ‘25. 5월 / 자자체(시·군·구), 학교 등
  • (주요내용) 시설 내 공습경보 발령, 지역별 특성화 훈련 및 안전취약계층 이용시설 대상 훈련시 민방위대원 실제 훈련 병행 등
중점 추진사항

  • (지역단위 특성화 훈련) 접경지역, 외국인 거주빈도 높은지역, 원자력시설 소재지 등 지역별 특성 고려한 훈련 실시
  • (안전취약계층 훈련) 안전취약계층이 이용하는 어린이집, 학교, 복지시설, 양로원 등을 대상으로 대피 훈련 실시 시 민방위대원의 현장훈련 병행실시

(3분기) 을지연습과 연계한 전 국민 공습 대비 훈련 실시

  • (시기/대상) ‘25. 8월 / 전 국민
  • (주요내용) 전국 공습경보 발령 및 주민대피, 민방위대피소 운영, 차량이동통제 등
중점 추진사항

  • (자발적 국민 참여 및 차량통제 유도) 유튜브 게시 및 리플릿, 안내문 등 다양한 홍보 매체를 활용 훈련 필요성 안내 및 참여 협조 요청
  • (민방위 대피소 운영) 화생방, 핵 공격 등 비상시 국민행동요령 교육 실시

(4분기) 안전한국훈련 연계 재난 대비 훈련

  • (시기/대상) ‘25. 10월~11월 / 정부, 지자체, 학교, 공공기관 등
  • (주요내용) 안전한국훈련 실시기관 해당 훈련과 연계, 최근 10년 특별재난 선포된 재난유형 고려 지역별 차별화된 대피 훈련 등
중점 추진사항

  • (지역별 재난유형 차별화) 특별재난 선포된 재난 유형 등을 고려 집중호우로 인한 침수위협지역, 산사태위험지역 등 지역별 특성 반영한 대피 훈련 실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