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이야기
-
"This is a pen"… 쏟아지는 일본을 향한 조롱들
일본의 방송사 TBS가 일본어와 영어 발음을 비교한 영상을 내보낸 것이 화근이 되고 네티즌들이 한뜻 되어 일어섰다. 단순 비교 영상이 아니라, 일본이 미국보다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적은 이유가 영어보다 침이 덜 튀는 발음의 일본어 덕이라는 것이다. "This is a pen"을 말하며 휴지가 흔들리는 정도를 비교하는 실험 영상은 누가 보아도 억지에 가까웠다.일본 방송사에서 본 영상이 방영되자, 일본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서 '황당하다'라는 반응이 쏟아져 나왔다. 영어권 사람들은 물론 일본인들에게까지도 실험 영상은 비판과 조롱을 당했다. 한국이 비판받은 사실까지 밝혀져 우리나라에서도 비판을 받는 건 마찬가지였다.방영 후, 여러 사이트에서 "This is a pen" 패러디 영상이 수많이 올라왔다. 모두가 휴지에 입을 가까이 댄 후, "This is a pen"이나 "これはペンです(코레와 펜 데스)"를 과장하듯 크게 외쳤다. 사람마다 발음이나 목소리 크기가 다른 데의 차이일 뿐, 어떤 언어든 소리를 지르면 휴지가 멀리 나가기 마련이라는 조롱이다.물론 패러디에 일본인들도 많이 참여했다. 그중 한 일본인 유튜버는 패러디 영상에 "자만도 정도껏 해야지, 창피하다. 일본 언론이 저런 멍청한 영상을 만들어서…"라고 덧붙이며 직설적으로 따가운 일침을 날렸다. 그는 한국 언론에 자신의 영상이 사용되자 "감사합니다" "기쁘다"라는 말을 남기기도 하였다.내용출처: MBCNEWS, "일본어는 침 덜 튀어"…방송사 실험 영상 '뭇매' (2020.05.26/뉴스데스크/MBC)https://youtu.be/iL6FJkUJjVwたいがくしー,韓国の地上波で俺の動画が使われたhttps://youtu.be/N2dIGXLy5No20기 오은채 기자
- 작성일
- 2020-05-31
- 담당부서
-
혼돈에 빠진 미국, 역사적 대격변기 찾아오나
수십년간 세계 최강국 자리를 지켜오던 미국이 혼란에 휩싸였다.올 초에 시작한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10만명 이상이 사망했고, 경제는 악화됐다.며칠 전 경찰의 과잉 진압으로 인해 비무장 흑인이 사망한 후 전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폭력시위가 일어나고 있다.불과 몇 달 전에는 미 역사상 세번째로 하원에서 대통령 탄핵안이 가결되기도 했다.미국 워싱턴포스트는 감염병 대유행, 경제 위기, 정치적 혼란에 휩싸인 미국이 경찰에 대한 시민들의 분노까지 터져 위기에 처해있다고 진단했다.이들 사건 각각은 전례가 있지만 이러한 사건들이 동시에 일어난 것은 이번이 이례적이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일부 전문가들은 현재 미국이 2008년 금융 위기와 같은 역사적 대격변기를 맞고 있다고 분석했다.출처연합뉴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001&aid=001164466620기 박은규 기자
- 작성일
- 2020-05-30
- 담당부서
-
수면 위로 올라오는 '나눔의 집' 비리, 대접이 아닌 푸대접 받아오신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후원시설인 '나눔의 집'은 일본군 '위안부' 역사관을 운영하며 올바른 역사관을 정립하고, 피해자들을 위해 노인 주거복지시설인 생활관을 지원하는 등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의 안녕을 위하는 시설로 알려져 있었다.그러나 지난 19일, '나눔의 집'의 비리가 직원들의 고발로써 가시화되었다. 나눔의 집에서 오랜 기간 일해온 직원들은 그간 보아왔던, 할머니들에게 해온 행적들을 폭로하였다. 할머니들의 옷과 병원비를 지원해 주기는커녕 시설의 예산과 후원금을 남용한 것으로 밝혀졌다.현재 밝혀진 바에 의하면 나눔의 집 사무국장의 개인 자금, 유령 사원의 월급, 대한불교조계종의 노인요양사업, 소장의 개인 변호사비에 사용되는 등 외에도 끊임없이 여러 횡령과 학대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운영 초기 초대원장이 함께 일하던 간사를 성폭행 하였던 사건도 다시 가시화되는 것을 보아 나눔의 집의 논란은 당분간 끊이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나눔의 집에 후원을 해왔던 사람들은 후원금 반환소송을 준비하는 움직임이 보이고 있다.이번 사건으로 인해 네티즌들은 나눔의 집에 대한 분노와 피해자들에 대한 안타까움을 보이는 반응이다. 대부분의 SNS에서 나눔의 집의 실태가 샅샅이 파헤쳐 지기를 바라는 분위기를 띄고 있다.내용출처: 닷페이스, 나눔의 집이 수십억 후원금 아껴서 한 일https://youtu.be/zCuHGy-sCdQ중앙일보, 함민정 기자, 작년 6000명 25억 후원 '나눔의집'…후원금 반환소송 움직임http://naver.me/GHMg42Nw주간조선, 이성진 기자, [단독] '나눔의집' 초대원장 성폭행 사건도… 진상위 열고도 유야무야http://naver.me/xsvFNZnA20기 오은채 기자
- 작성일
- 2020-05-29
- 담당부서
-
실종아동의 날, 택배포장을 살펴주세요
5월 25일은 '세계 실종 아동의 날', 실종아동 모두가 무사히 돌아오기를 기원하는 날이다.지난 4월 기준 실종된 지 1년이 넘는 '장기 실종' 아동은 모두 661명, 그 중 96%의 비율을 차지하는 638명의 아동은 5년이 넘게 가족들의 품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있다.경찰청과 우정사업본부가 택배를 이용해 장기실종 아동을 찾는 것에 팔을 걷어붙였다.장기 실종 아동 28명의 실종 당시 얼굴과 함께 '나이 변환 몽타주'를 이용해 만든 현재 추정 얼굴을 택배 포장 테이프에 담은 것이다.이 테이프의 명칭은 '희망 테이프'.택배상자를 포장할 때 바로 이 희망 테이프를 사용해 택배를 주고받는 이들의 관심을 불러일으키자는 취지이다.희망 테이프에는 어떤 'QR코드' 도 들어있다.이 QR코드를 비추면 실종 아동을 예방하기 위한 지문등록 사이트로 연결된다.연결 사이트에서 지문과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혹시 모를 실종 상황에 대처할 수 있다.62만개 가량의 희망 테이프는 우체국과 택배 회사에 배포되어 약 한 달간 쓰일 예정이다.이제부터 도착하는 택배가 있다면 포장 테이프를 잘 살펴보라.20기 이연우 기자
- 작성일
- 2020-05-26
- 담당부서
-
반지하→기생층....빈곤층 비하 논란
SH(서울도시공사)는 현재 보유하고 있는 다가구•다세대 주택의 반지하층에 거주하는 주민들을 지상층으로 이주시키고, 빈 공간을 청년창업교실나 SOC 등 다양한 복지시설로 활용할 계획이라 30일 밝혔다.일조량이 부속하고 습도가 높으며 환기도 잘 안되어 누수와 결로, 곰팡이 등이 쉽게 발생해 장기간 거주하는 공간으로는 부적합한 반지하 세대를 재탄생 시키겠다는 계획이다.SH 공사가 현재 보유하고 있는 주택(1만8414가구)의 반지하는 총 671가구(3.6%)에 이르고, 사용년수도 평균 26년으로 노후화가 심하다. 이 중 108가구는 상태가 좋지 않아 공급에 부적합하다고 판단해 공간을 폐쇄하거나 주택공급을 보류하고 있는 실정이다.SH 공사는 반지하 공간에 들어갈 복지시설들을 협의하기 위해 각 지역의 도시재생센터와 사회적기업 등과 접촉하고 있다.김세용 SH 공사 사장은 "SH 공사 소유 다가구·다세대주택의 반지하에는 더 이상 사람이 살지 않게 될 것"이라며 "앞으로 반지하층을 창업지원시설, 주민소통방과 공유주방 등 지역의 열린 공간복지시설로 가꿔 반지하를 기회가 생기는 공간으로 조성할 예정"이라고 말했다.문제는 이 새로 생길 공간의 이름이다.SH 공사는 반지하 공간을 ‘기회가 생기는 층’이라며 ‘기생층’이라 명명했지만, 2020년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수상한 봉준호 감독의 영화 ‘기생충’을 지나치게 의식한 것 아니냐는 여론과 함께 ‘반지하에 사는 빈곤층 등을 비하하는 거냐’는 비판의 여론이 나오고 있다.자료출처SH공사 "반지하에 사람 살지 않게 하겠다"…복지시설로 전환-데일리한국http://daily.hankooki.com/lpage/economy/202004/dh20200430183211148430.htm?s_ref=nv'기생층'이라니…"모멸감 느낀다
- 작성일
- 2020-04-30
- 담당부서
-
이천 물류창고 폭발....38명 사망
4월 29일 오후 1시 30분 경, 경기도 이천시에 위치한 한 물류창고 지하에서 폭발이 일어나 곧 큰 화재로 번졌다. 불길은 오후 6시 30분 경에 모두 진화되었지만,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하였다.당시 건물 안에서 일하던 사람은 총 78명으로 추산되고 있다. 현재까지 발견된 사망자는 38명으로, 이들 중 29명의 신원이 확인되었다. 희생자의 대부분은 일용직으로, 주로 2층에서 발견되었다.불이 시작된 곳으로 추정되는 지하 2층에서 극적으로 탈출한 A씨의 인터뷰에 따르면, 용접 작업을 하던 중 불꽃이 튀어 우레탄에 불이 붙어 화재가 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작업공간을 가득 메우고 있던 유증기 탓에 불꽃은 순식간에 번져 출입구를 막았고, 지하 2층에 있던 A씨와 동료 6명 중 3명은 끝내 탈출하지 못했다.화재를 키운 데에는 건물 전체가 우레탄 폼이 내장된 샌드위치 패널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는 점이 크다는 의견도 있다.제보 영상에 따르면 화재 장소로부터 100m 떨어진 주택에 불붙은 건물의 파편이 떨어지기도 하였다.정부는 오늘(30일) 1차 합동감식을 끝내고 네 개의 시공사 사무실을 압수수색해 설계도면 등 관련 서류를 통해 안전조치 위반 사항들을 조사할 예정이다.자료출처이천 화재 1차 현장감식 끝…경찰, 관련 시공사 등 4개 업체 압수수색-중앙일보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2oid=025aid=0002997327탈출 생존자 "용접 불꽃, 순식간에 번져…도망갈 길 없었다"-JTBC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2oid=437aid=0000237125CCTV 찍힌 '불붙은 파편'…100m 밖 주택까지 날아와-JTBC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2oid=437aid=0000237126South Korea fire: Dozens killed in warehouse blaze in Icheon-BBChtt
- 작성일
- 2020-04-30
- 담당부서
-
이천 물류창고 화재, 이미 예견되었던 것이다
2020년 4월 29일 이천 물류창고 공사현장에서 화재가 발생했다.이 사건으로 인해 38명이 사망하고 10명이 부상을 당하였다.하지만 이 사건은 사실 화재가 예견되어있는 상황이였다.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은 공사가 시작된 뒤 유해·위험방지계획을 확인하면서 이번 화재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되는 우레탄폼·용접 작업에서의 화재폭발 위험을 주의하라고 지적했다. 공정률이 14%였던 2019년 5월17일에는 ‘향후 용접작업 등 불꽃 비산에 의한 화재발생 주의’로 ‘조건부 적정’ 판정을 내렸다. 공정률이 60%였던 올해 1월29일에도 ‘향후 우레탄폼 판넬 작업 시 화재폭발 위험 주의’라며 ‘조건부 적정’ 판단됐다.최근인 3월16일에도 ‘향후 불티 비산 등으로 인한 화재위험 주의’로 ‘조건부 적정’ 진단됐다. 이로써 화재 경고를 3차례동안 받았던 것이지만, 화재가 발생했다는 것은 이에 대한 조취가 잘 이루어지지않았다는 것이다.이렇게 형식적인 검사가 아닌 위험을 인지하고, 꼼꼼히살펴본 다음, 위험할 경우 만약을 대비하여 미리미리 예방 조치를 취해야한다고 생각한다.한편, 유가족 앞에서 이천물류창고시공사 대표는 무릎 꿇고 사죄한 후 퇴장 도중 쓰러졌다고 한다.이것은 단상 위 5분도 되지 않은 상태였다.유가족은 사과가 아닌 대책은어찌할거냐고, 마이크도 잘 안들리는데 뭐라고 말 좀 제대로 해야하는 것 아니냐 등의 반발을 하였다.20기 기자 정유라이천 화재참사 시공사 대표, '무대책 사과' 5분만에 쓰러져 병원행 [부산일보]http://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20043015005251977'이천 물류창고 화재' 공사, '화재위험 주의' 세차례 받았다 [경향신문]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
- 작성일
- 2020-04-30
- 담당부서
-
황금연휴로 나들이객 많아져 코로나 위험 증가되...
코로나19 감염 예방을 위한 사회적 거리 두기에 대한 필요성이 강조되는 가운데 황금연휴 첫날 제주공항엔 관광객들의 입도 행렬이 줄을 이었고, 주요 해변과 관광지는 관광객들로 인산인해를 이뤘다.심지어 황금연휴의 첫날인 당일은(30일) 서울 기준 최고 기온이 23도까지 이르는 따뜻한 날씨로 종종 사람들이 마스크를 벗고 다니는 모습도 볼 수 있었다. 정부는 이번 연휴가 방역 대응이 어려운 기간이라고 보고 가급적 모임과 여행을 자제해 달라고 당부했다. 한강공원에는 시민들이 곳곳에 돗자리를 펴놓고 피크닉을 즐기고 있었다. 공원 한켠에는 '한강에서도 사회적거리(2m)는 유지되어야 합니다'라는 현수막이 걸려 있었으나 상당수 돗자리 사이 거리는 이를 무색하게 했다. 친구들과 한강공원에 놀러 나온 신윤솔(17·여)씨는 "코로나가 다시 재유행할 수 있다고 해서 웬만하면 밖에 나가는 것을 자제하려고 했는데, 오늘은 너무 놀고 싶었다"며 "밖에 나갈 때는 마스크, 손 소독제를 꼭 챙기고 친구들한테 나눠 주기도 한다"라고 말했다.병원에서 일하며 근무차 부산에서 서울로 올라왔다는 김남일(41)씨는 "이번 연휴는 하루도 안쉬고 근무를 하게 될 것"이라며 "병원에서 일하다 보니 연휴 이후가 개인적으로 많이 걱정이 된다. 접촉이 많아지면 위험해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한편 코로나19 확산은 갈수록 진정세에 접어드는 가운데, 이번 연휴 이후에도 안정적인 추세를 이어갈 수 있을지 주목된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코로나19 확진자는 전날 0시보다 4명 늘어 72일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4명은 모두 해외 유입 사례로 전국 지역에서 발생한 환자는 '0명'이다
- 작성일
- 2020-04-30
- 담당부서
-
코로나19로 인해 잠적한 치과. . . 치료비 내고 치료 못받는 환자들 속출
서울 강남에 위치하여 있는 한 치과가 경영난으로 인해 3주동안 휴업한다고 공지하였다.하지만 한 달이 넘어간 지금까지도 이 치과는 여전히 문이 굳게 닫혀 있다고 한다.임플란트나 교정등 꾸준히 치료를 받아야하는 시술을 받고 있던 환자들은 마른 하늘에 날벼락인 신세였다.이로 인한 피해자는 무려 약 800명 가까이 되었고, 불만을 표출하다 못해 이는 코로나를 핑계로 계획적인 사기라면 현재 소송을 준비 중이라고 합니다.이 치과는 다른 치과에 비해 약 40퍼정도 저렴한 가격으로 환자들을 시술해준다는 광고를 하였는데, 이를 보고 혹한 사람들이 많이 몰렸다고 한다.하지만 역시 저렴한 가격인 이유가 있었다.할 수 없이 다른 치과를 간 환자들은 치아교정과 스케일링이하나도 되어 있지 않고 처음부터 다시 해야한다는 청천벽력같은 소리를 듣게 된 것이다.심지어 자신들은 무리라고 대학 병원에 가보라는 말을 들은 환자들도 있다.피해자들은 그 치과에서 의사들이 그렇게 열정적이지도 않고 매 번 의사가 바뀌어 치료가 일관되지도 않는다고 하였다.그리하여 코로나를 핑계로 병원을 그만두었다.라는 말에 힘이 쏠리게 되었는데, 차기공사에게 지불할 돈도 밀리고, 병원도 오래 전부터 내놓았기 때문에 거의 확정이라고 보고 있다.이러한 상황에도 병원 측은 여전히 연락이 닿지 않는다고 전해지고 있다.20기 기자 정유라KBS뉴스http://news.kbs.co.kr/news/view.do?ncd=4435305&ref=A
- 작성일
- 2020-04-29
- 담당부서
-
250만명 유튜버 1억 계약금 먹튀 논란
250만명 구독자를 지니고 있는 유튜브 크리에이터 및 비제이 양팡은 효녀 유튜버로써주로 가족시트콤으로 많은 사랑을 받는 유튜버이다.양팡은 부산에 위치하여있는 주상복합의 펜트하우스를 계약하였는데, 집주인이 10억 9천만원짜리 아파트를 특별히 10억 1천만원에 계약을 맺고, 도장까지 찍은 상태였다.하지만,그 당시 매수인은 양팡이지만 실제로 거래한 사람은 양팡의 부모님이었는데, 양팡의 부모님은OTP를 두고와서 당장은 입금하지 못해나중에 계약금을 입금한다고 약속했다.그러나양팡은 오히려 다른 집을 계약하여 매매했고, 집 주인은 이를 3개월 후에 알게 되었다.그래서 집 주인은 양팡에게 연락을 하였는데, 양팡은 공문을 보냈다고 한다.그 공문의 내용은 자신들은 공인중개사에게 계약취소를 한다고 말을 했고, 이를 집 주인에게 말하지 않은 공인중개사 탓이다. 그러므로 무효이다. 라는 양팡이 약간 책임을 회피하는 듯한 내용이었는데, 이를 보고집 주인은 계약금을 요구하였지만, 통상계약은 금액의 10%이기 때문에 계약을 파기하려면 1억 1천만원의 금액을 주고 계약을 파기 할 수 있지만양팡은 이를 거절했다고 한다.양팡은 이 후 해명영상을 올렸는데, 해명영상에는공인중개사가 먼저 자신의 부모님에게 가계약을 권하였고, 가계약금 500만원을 입금하지 않으면 이 계약은 무효가 된다고 이야기했다고 한다. 또한 공인중개사의 말만 믿은 것은 자신의 잘못이라고 덧붙였다.허나 집 주인이 영상을 반박하자 부모님이 멋대로 계약한 무권대리이다. 라며 자신이 말했던 것과 상반된 내용을 말해양팡의 부모님은 사문서 위조의 해당될 수 있는 입장에 처하였다. 현재 이는 소
- 작성일
- 2020-04-29
- 담당부서
- 자료관리담당자
-
- 담당부서 청소년정책과
- 문의처 032-440-2922
- 최종업데이트 2025-03-12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