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전문 기동점검단」 운영

  • 목 적 : 각계 외부 안전전문가 참여를 통한 특별 안전점검 추진으로 재난예방 및 안전한 도시환경 조성
  • 점검기간 : 연중
  • 점 검 자 : 안전정책과, 기동점검단, 군․구 관계자 등
    • ※ 안전취약 유형에 따라 토목, 건축, 기계 등 안전전문 기동점검단 운영
  • 점검대상 : 군·구 의뢰 취약시설물, 기획점검 시설물 등
    • 시기(계절)별 재난취약시설 중 특별점검이 필요한 시설물
    • 사회적 이슈화된 재난사고 관련 시설물
    • 기타 재난위험이 높은 특별관리지역 등
  • 추진체계
    • 군·구 의뢰 시
      1. 점검대상 의뢰 (군․구→안전정책과)

      2. 점검계획 수립(검토) (안전정책과)

      3. 점검계획 통보 (안전정책과→ 군·구)

      4. 현장방문 점검 (시,기동점검단,군·구)

      5. 안전 점검표 제출 (기동점검단→시,군·구)

      6. 점검결과 통보 (안전정책과→군·구)

    • 기획점검 시
      1. 점검계획 수립 (안전정책과)

      2. 현장방문 점검 (시,기동점검단,군·구)

      3. 점검결과 통보 (안전정책과→군·구)

  • 주요 점검사항
    • 구조·설비의 안전관리 실태
    • 주요 구조부의 균열, 변형, 누수, 탈락 등 손상 여부
    • 시설물 콘크리트 중성화 및 철골 구조물의 부식 여부
    • 전기 및 기계설비의 유지관리 실태 등
  • 안전전문 기동점검단 구성
    • 분 야 : 6개 안전관리 분야 (토목, 건축, 기계, 전기, 소방, 기타)
    • 역 할 : 취약분야 특별안전점검, 안전관리 자문 등
    • 구성인원 : 93명
    • 안전전문 기동점검단 구성

      구분,계,토목,건축,기계,전기,소방,기타로 구성된 표

      구 분 계 (명) 토 목 건 축 기 계 전 기 소 방 기 타
      인력풀 구 성 합 계 93 48 20 7 3 5 10
      교 수 26 8 6 6 1 5
      안전분야 전문가(기술사·건축사) 67 40 14 1 2 5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