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CF 소개

  • 녹색기후기금(Green Climate Fund:GCF) 은 선진국들이 기금을 마련하여 개발도상국에 기후변화로 겪고 있는 피해를 줄이고 이에 적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기금을 조성하고 이를 관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 녹색 분야의 세계은행(Wold Bank)으로 이해 할 수 있으며 '제2의 세계은행(WB)' 으로 불리기도 한다.
  •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의 금융 메커니즘 운영 기관인 GCF는 세계 최대 규모의 기후변화 특화 기금으로, 지구환경기금(GEF)과 같은 기존 기후 관련 기금과 다르게 지구의 온실가스 감축 등 기후변화 대응에 재원을 집중적으로 투입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일반현황

  1. 설립배경
    1. GCF의 설립 배경으로는 ① 온실가스 배출 증가로 인한 지구 평균기온 상승과 이로 인한 해수면 상승 가속화, ② 태풍, 폭우, 폭설, 가뭄, 산불, 사막화 등 자연재해 발생 빈번, ③ 생태계 파괴, 식량과 식수 부족, 각종 질병 발생 등 문제 직면 등에 대한 국제사회 공동 대응 필요성이 제기됨
  2. 목적
    1. GCF는 위와 같은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으로 탄생하였으며, 저탄소를 달성하고 기후회복력이 있는 지속가능한 발전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개발도상국의 기후변화 적응과 온실가스 감축 지원을 목적으로 함
  3. 설립근거
    1.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의 3조 1항에 따라 기후변화에 대한 “공통의 그러나 차별화된 책임”으로 선진국이 개발도상국의 기후변화 대응을 재정적으로 지원함
  4. 설립경과 및 주요 연혁
      • 2009. 12. : 기금설립 논의 시작(UNFCCC COP 15, 코펜하겐)
      • 2010. 12. : 기금설립 합의(COP 16, 칸쿤)
      • 2011. 12. : 기금 설계방안 채택(COP 17, 더반)
      • 2012. 10. : 인천 송도를 사무국 유치 도시로 결정(제2차 GCF 이사회)
      • 2012. 12. : 사무국 유치 도시(송도) 인준(COP 18, 카타르 도하)
      • 2013. 12. : 사무국 출범(송도 G타워)
      • 2014. : 운영 원칙 및 지침 수립, 초기 자원 모집 시작
      • 2015. : 기금의 초기 투자 결정
      • 2016. : 기금의 첫 번째 정식 운영 연도
                     15억 달러 이상 규모의 35개 프로젝트 포트폴리오 개발
      • 2017. : 6억 3,300만 달러를 투입하여 19개 프로젝트 실행
      • 2018. : 기후 변화 프로젝트에 50억 달러 투입, 기금의 첫 번째 재원보충 시작
      • 2019. : 공여 국가/도시들이 첫 번째 재원보충 기간동안 총 98억달러 이상 약속
      • 2022. : 글로벌 팬데믹 이후 첫 대면회의 개최, 2차 재원보충 일정 논의

GCF 조직

  • GCF 조직은 크게 이사회(Board)와 사무국(Secretariat) 그리고 자산 관리 전문기관인 수탁자(Trustee)로 구성되어 있음
    • 이사회는 GCF 총괄 감독 및 관리, 사무국은 이사회 지원 및 GCF 운영 실무, 수탁자는 GCF 자금관리를 수행함



      1. 이사회(Board)
        • 기능 : 이사회는 GCF 거버넌스의 핵심으로서 개발도상국 지원사업 승인, GCF사무국 운영 등 기금 운영에 관한 전반적인 의사결정을 수행함
        • 구성 : 이사 24명, 대리이사 24명으로 총 48명이며, 개발도상국과 선진국 동수로 구성하고 임기는 3년임
        • 공동의장 : 의장 임기는 1년이며, 균형적 운영을 위해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에 각 1명씩으로 배분하고, 대륙별로도 돌아가면서 선출함
        • 선진국(Developed Countries) 개도국(Developing Countries)
          소그룹 이사국(12) 대리이사국(12) 소그룹 이사국(12) 대리이사국(12)
          미국 미국 미국 아태그룹(3)
          Asia-Pacific
          한국 필리핀
          일본 일본 일본 사우디 카자흐스탄
          영국 영국 영국 파키스탄 중국
          프랑스 프랑스 프랑스 중남미·카리브(3)
          Latin America
          도미니카 니카라과
          독일 독일 독일 우루과이브라질
          스웨덴 스웨덴 스웨덴 칠레코스타리카
          노르웨이,아이슬랜드,체코 노르웨이 호주 아프리카(3)
          Africa
          케냐차드
          이탈리아,오스트리아,포르투갈 오스트리아 이탈리아  말리 보츠와나
          벨기에,캐나다,폴란드 캐나다 벨기에 가나우간다
          스페인,, 뉴질랜드, 아일랜드 스페인 뉴질랜드 군소도서국(1) SIDS 키리바시몰디브
          덴마크,룩셈부르크,네덜란드 네덜란드 덴마크 최빈개도국(1) LDC 감비아 네팔
          핀란드,헝가리,스위스,모나코,
          리히텐슈타인
          핀란드스위스 동유럽(1) 조지아 공석
          ※ 제5기(‘25~’27년, 총 3년 회기) 이사진 : 한국 ‘25, ’27년 이사직 / ‘26년 대리이사직 예정

      2. 사무국(Secretariat)
        • 기능 : 사무국은 기금의 행정, 법률, 재정 관련 업무 수행 및 이사회 행정 지원을 수행함
        • 사무총장 : 마팔다 두아르테(Mafalda Duarte, 포르투갈, 임기:’23.8.~‘27.7.)
        • 소재지 : 인천광역시 연수구 아트센터대로 175, G타워
      3. 수탁기관(Trustee)
        • 기능 : GCF의 자산과 기금을 관리하고 효율적으로 운용하기 위해 지정된 금융기관으로, 이사회의 결정에 따라 GCF의 자금 관리, 재무상태 파악, 기록, 보고 등의 역할을 수행함
        • 임시 수탁기관 : 2010년 멕시코 칸쿤에서 열린 COP16에서 세계은행(World Bank)을 임시 수탁기관으로 선정하고, 2012년 4월부터 세계은행이 임시 수탁기관 역할을 수행함

GCF 조직

  • 한국은 초기 재원조성(’15.~‘18.)에 1억불, 1차 재원보충(’20.~‘23.)에 2억불을 공여하였으며, 2차 재원보충(’24.~‘27.)에 3억불 공여를 공약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