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적 효과

단위: 억 원/년, 명/년
경제적 효과
구분 세부 항목 경제적 효과
직접효과 GCF 인력의 지역내 소비 174
GCF 운영비 역내 지출 118

국제회의 참가자 소비

57

비즈니스 미팅 참가자 소비

13

직접효과 합계

362

간접효과

생산유발효과

540

부가가치유발효과

271

취업유발효과(명)

660


  * 자료(출처) : 녹색기후기금(GCF)의 인천 지역경제 영향 분석(인천연구원, 2024, 박찬열) / 인천연구원 인포그래픽

비경제적 효과

  • 국제기구 유치에 따른 비경제적 효과
비경제적 효과
구 분 내 용
사회문화적 효과



도시 브랜드 가치상승

⦁사무국 유치도시의 국제도시 브랜드와 이미지 제고

⦁국내외적 인지도 제고와 국제도시 정체성 구축에 기여

도시의 국제 역량 강화

⦁전문인력의 국제기구로의 진출 확대

- 취업 관심 분야의 다양화와 국제전문가가 지속적으로 양성되는 사회적 체계 마련

⦁시민들의 국제기구 취업 및 진출 기회 증가

⦁인권, 환경 등 국제적 활동영역의 확장과 국제적 역량 강화

⦁연구 및 교육연수 관련 국제기구의 입지는 산·학·연 협동에 의한 지역혁신체계 구축에 기여

지역사회의 국제화

⦁지역주민의 국제화 촉진과 세계시민의식 함양

⦁시민들의 국제기구에 대한 관심고조와 글로벌 이슈에 대한 관심 제고

⦁다국적 인재와의 교류와 다양한 국제문화가 지역사회에 융합

⦁국제 사안에 대한 지역주민의 이해와 관용

정치외교적 효과




국제사회에서의 위상과 영향력 강화

⦁국제기구는 해당 도시의 상징이자 국제적 영향력으로 작용

⦁국제적 접촉을 위한 시간적·재정적 노력의 절감과 국제적 영향력 강화

⦁국제기구와의 교류·협력을 통해 국제사회에서의 위상 강화

구제사회 참여와 다차원적 외교관계 형성

⦁국제기구를 통하여 선진국과 개도국 간의 연결고리 역할로 국제사회에서의 기여와 영향력 확대

⦁지자체의 국제적 활동 참여 기회 및 범위 확대

⦁다자 매커니즘에서의 주요 역할 수행 기반 마련

관련 분야 아젠다 및 이슈 선도

⦁국제사회에서의 아젠다를 선도하고 관련 분야 이슈 선점

⦁핵심적인 사안에 대한 발언권 강화와 지도적 역할 수행

평화 이미지 구축

⦁국제기구의 인도주의적 지원을 통한 북한의 지원 여건 마련

⦁국제기구 사무처의 유치는 평화 유지에 기여

⦁북한 관련 리스크 감소

*자료(출처): 경희대학교(2017), 김경령(2017), 산업통상자원부(2015), 서봉만(2016), 서울대학교(2008), 인천국제교류센터(2011),  장윤정(2010), 장하용(2017), 정한범(2016), 조승헌·조경두(2012). 심진범 외(2020)에서 재인용 / 인천연구원 박찬열(2024)

GCF의 파급효과를 더욱 높이기 위해서

  • 미래 전망이 높은 녹색기후 연관 산업의 집적화 를 통한 국내 기후테크의 전략적 성장기반 세계시장 진출 거점 을 조성함으로서 국가경쟁력을 확보 글로벌 녹색산업 선도 인프라 구축 시급 

        ⇒ 녹색기후복합단지(G-Blocks) 조성사업에 대한 지역 및 국가 차원의 지원 및 관심 필요


사업개요
  • (사 업 명) 녹색기후복합단지(G-Blocks) 조성
  • (사업위치) 인천 연수구 송도동 24-1,2,3,(G타워 인근)
  • (규    모) 부지면적 18,500㎡ / 연면적 112,407㎡ 
  • (사 업 비) 5,518억원
  • (사업내용) 녹색기후 클러스터 조성 : 업무공간, 국제회의장, 협력플랫폼 등
  ※ 상기 이미지는 예시(안)이며, 향후 설계 공모를 통해 확정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