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적 효과
구분 | 세부 항목 | 경제적 효과 |
---|---|---|
직접효과 | GCF 인력의 지역내 소비 | 174 |
GCF 운영비 역내 지출 | 118 | |
국제회의 참가자 소비 | 57 | |
비즈니스 미팅 참가자 소비 | 13 | |
직접효과 합계 | 362 | |
간접효과 | 생산유발효과 | 540 |
부가가치유발효과 | 271 | |
취업유발효과(명) | 660 |

비경제적 효과
- 국제기구 유치에 따른 비경제적 효과
구 분 | 내 용 | |
---|---|---|
사회문화적 효과 | 도시 브랜드 가치상승 | ⦁사무국 유치도시의 국제도시 브랜드와 이미지 제고 ⦁국내외적 인지도 제고와 국제도시 정체성 구축에 기여 |
도시의 국제 역량 강화 | ⦁전문인력의 국제기구로의 진출 확대 - 취업 관심 분야의 다양화와 국제전문가가 지속적으로 양성되는 사회적 체계 마련 ⦁시민들의 국제기구 취업 및 진출 기회 증가 ⦁인권, 환경 등 국제적 활동영역의 확장과 국제적 역량 강화 ⦁연구 및 교육연수 관련 국제기구의 입지는 산·학·연 협동에 의한 지역혁신체계 구축에 기여 | |
지역사회의 국제화 | ⦁지역주민의 국제화 촉진과 세계시민의식 함양 ⦁시민들의 국제기구에 대한 관심고조와 글로벌 이슈에 대한 관심 제고 ⦁다국적 인재와의 교류와 다양한 국제문화가 지역사회에 융합 ⦁국제 사안에 대한 지역주민의 이해와 관용 | |
정치외교적 효과 | 국제사회에서의 위상과 영향력 강화 | ⦁국제기구는 해당 도시의 상징이자 국제적 영향력으로 작용 ⦁국제적 접촉을 위한 시간적·재정적 노력의 절감과 국제적 영향력 강화 ⦁국제기구와의 교류·협력을 통해 국제사회에서의 위상 강화 |
구제사회 참여와 다차원적 외교관계 형성 | ⦁국제기구를 통하여 선진국과 개도국 간의 연결고리 역할로 국제사회에서의 기여와 영향력 확대 ⦁지자체의 국제적 활동 참여 기회 및 범위 확대 ⦁다자 매커니즘에서의 주요 역할 수행 기반 마련 | |
관련 분야 아젠다 및 이슈 선도 | ⦁국제사회에서의 아젠다를 선도하고 관련 분야 이슈 선점 ⦁핵심적인 사안에 대한 발언권 강화와 지도적 역할 수행 | |
평화 이미지 구축 | ⦁국제기구의 인도주의적 지원을 통한 북한의 지원 여건 마련 ⦁국제기구 사무처의 유치는 평화 유지에 기여 ⦁북한 관련 리스크 감소 |
GCF의 파급효과를 더욱 높이기 위해서
- 미래 전망이 높은 녹색기후 연관 산업의 집적화 를 통한 국내 기후테크의 전략적 성장기반 및 세계시장 진출 거점 을 조성함으로서 국가경쟁력을 확보 와 글로벌 녹색산업 선도 인프라 구축 시급
⇒ 녹색기후복합단지(G-Blocks) 조성사업에 대한 지역 및 국가 차원의 지원 및 관심 필요
사업개요
- (사 업 명) 녹색기후복합단지(G-Blocks) 조성
- (사업위치) 인천 연수구 송도동 24-1,2,3,(G타워 인근)
- (규 모) 부지면적 18,500㎡ / 연면적 112,407㎡
- (사 업 비) 5,518억원
- (사업내용) 녹색기후 클러스터 조성 : 업무공간, 국제회의장, 협력플랫폼 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