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미세먼지의 개념
- 담당부서
- 환경녹지국 대기보전과 (032-440-3526)
- 작성일
- 2013-10-12
- 분야
- 환경
- 조회
- 4575
정의

- 자료 : 미국 EPA Particle Pollution Report 2003
분류
먼지는 기타 가스상 오염물질과 달리 서로 다른 모양, 조성, 화학적, 물리적 특성을 갖는 입자들의 결합체이다. 먼지는 발생원으로부터 직접 배출되는 1차 미세먼지와 전구물질인 가스상 물질에 기인하여 형성되는 2차 미세먼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즉 2차 미세먼지는 대기 중 산소, 수증기 등의 물질과 가스상 오염물질인 질소산화물, 황산화물, 암모니아, VOC 등과의 반응에 의하여 형성된다. 한편 물리적인 조성은 액체, 고체, 액체가 고체를 싸고 있는 형태 등 다양하다. 일반적으로 미세먼지의 발생원에는 인위적 요인과 자연적 요인 및 기타요인이 있다고 알려져 있고 자세한 사항은 다음과 같다.
구 분 | 발생원 종류 | |
---|---|---|
인위적 요 인 |
고정발생원 | 난방, 산업, 발전 등 |
이동발생원 | 자동차 매연 및 타이어 마모, 건설기계 매연 | |
기 타 | 공사장 비산먼지, 노천소각 등 | |
자연적 요인 | 안개, 화재, 황사, 화산폭발, 토양풍식 등 | |
기타 요인 | 2차 반응에 의한 황산염, 질산염 생성 |
미세먼지의 대기환경기준
2007년 1월 1일 기준으로 개정된 국가대기환경기준을 살펴보면, PM10은 연간기준 70→50㎍/㎥으로, 24시간 기준은 150→100㎍/㎥으로 보다 엄격해진 기준으로 변경되었다. 참고로 2015년부터 PM2.5가 국가대기환경기준에 추가되었다.
항 목 | 기 준 | 측정방법 |
---|---|---|
미세먼지(PM10) | 연간평균치 - 50 ㎍/㎥ 이하 24시간평균치 - 100 ㎍/㎥ 이하 |
베타선 흡수법 (β-Ray Absorption Method) |
미세먼지(PM2.5) | 연간평균치 - 25㎍/㎥ 이하 24시간평균치 - 50㎍/㎥이하 |
중량농도법 또는 이에 준하는 자동측정법 |
- 첨부파일
-
- 이전글
- 미세먼지 경보
- 다음글
- 미세먼지의 특성 및 위해성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