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제주 연안 사막화 현상 심각한 수준(제주신보,10.12)
- 담당부서
- 녹색기후정책관실 (032-440-8593)
- 작성일
- 2016-10-14
- 분야
- 환경
- 조회
- 3063
제주 연안 사막화 현상 심각한 수준
조사대상 9420ha 중 37%인 3495ha서 진행 중
제주 연안 해역이 갯녹음 발생으로 바다숲이 사라지는 현상인 ‘바다사막화’현상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농림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위성곤 의원(더불어민주당·서귀포시)이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바다사막화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조사대상 면적 3만4708㏊(헥타르) 중 48%에 해당하는 1만6783㏊가 바다사막화 현상이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해조류 서식 수심을 기준으로 제주와 동해, 남해 연안에 대해 이뤄진 이번 조사에서 제주의 경우 조사대상 9420㏊중 37%에 해당하는 3495㏊가 바다사막화가 진행된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제주의 경우 바다사막화가 진행된 전체 면적 중 540㏊, 5.7%의 경우 갯녹음 현상이 매우 심각한 상태인 것으로 조사됐다.
바다사막화가 발생할 경우 연간 1㏊당 어업소득의 40%가 감소하는 것으로 조사됨에 따라 연간 1㏊당 어업소득 1147만원 중 40%에 해당하는 458만9000원 상당의 피해가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관련해 위 의원은 “기후변화 등으로 바다사막화 문제는 더욱 심각해 질 것”이라면서 “어족자원 보호와 어업소득 향상을 위한 대책마련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조사대상 9420ha 중 37%인 3495ha서 진행 중
제주 연안 해역이 갯녹음 발생으로 바다숲이 사라지는 현상인 ‘바다사막화’현상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농림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위성곤 의원(더불어민주당·서귀포시)이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바다사막화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조사대상 면적 3만4708㏊(헥타르) 중 48%에 해당하는 1만6783㏊가 바다사막화 현상이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해조류 서식 수심을 기준으로 제주와 동해, 남해 연안에 대해 이뤄진 이번 조사에서 제주의 경우 조사대상 9420㏊중 37%에 해당하는 3495㏊가 바다사막화가 진행된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제주의 경우 바다사막화가 진행된 전체 면적 중 540㏊, 5.7%의 경우 갯녹음 현상이 매우 심각한 상태인 것으로 조사됐다.
바다사막화가 발생할 경우 연간 1㏊당 어업소득의 40%가 감소하는 것으로 조사됨에 따라 연간 1㏊당 어업소득 1147만원 중 40%에 해당하는 458만9000원 상당의 피해가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관련해 위 의원은 “기후변화 등으로 바다사막화 문제는 더욱 심각해 질 것”이라면서 “어족자원 보호와 어업소득 향상을 위한 대책마련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 첨부파일
-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