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자료실(환경)

가뭄에 강한 벼 품종 개발 기반 마련(정책브리핑정책뉴스, 9.22)

담당부서
녹색기후정책관 ()
작성일
2016-09-23
조회수
488

- 농촌진흥청,'가뭄 저항성 분자마커'개발 -
 농촌진흥청(청장 정황근)은 농업용수 부족을 대비해 가뭄에 강한 벼 품종을 개발할 수 있는 '가뭄 저항성 분자 마커'를 개발해 특허출원 했다.
 연구진은 먼저 가뭄에 강한 유전자를 찾기 위해 국립식량과학원이 보유하고 있는 벼 유전자원 815종 중 가뭄에 매우 강하고 생산이 안정적인 통일형 품종 '삼강벼'를 선발했다.
 '삼강벼'는 벼가 가뭄에 가장 취약한 시기인 이앙 이후 생육초기에 가뭄이 발생하더라도 벼 분얼(새끼치기) 발달이 안정적인 특징을 갖고 있다.
 유전자 동정기술을 이용해 '삼강벼'에서 가뭄 저항성이 있는 유전자좌(QTL) 3개를 발견했으며,이를 활용해 일반 벼 품종에서 가뭄 저항성 유전자들을 확인할 수 있는 3종의 분자 마커를 개발했다.
 실험결과, 벼 생육초기에 가뭄이 발생하면 가뭄에 민감한 품종은 분얼(새끼치기)이 50% 이상 감소하지만, 3개의 유전자좌(QTL) 모두를 가진 벼 품종과 계통들은 수량 감소 비율이 15% 정도에 불과해 재배 안정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농촌진흥청은 개발한 마커를 이용해 '삼광', '새일미' 등 고품질 품종과 인공 교배를 통해 가뭄 저항성 벼 계통을 선발, 육성 중에 있다.
 농촌진흥청 논이용작물과 신동진 농업연구사는 “분자마커를 이용해 가뭄에 강한 벼 품종을 육성하면 기후변화 등으로 인한 농업용수 부족 등 가뭄에 대해 미리 대응 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전했다.
첨부파일
공공누리
OPEN 공공누리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의 자유이용허락 표시제도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자료관리담당자
  • 담당부서 각 담당부서
  • 문의처
  • 최종업데이트 2025-03-12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