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자료실(환경)

인천시, 화학사고 대응을 위한 시범 모델을 개발한다.

담당부서
환경정책과 ()
작성일
2017-04-20
조회수
708
○ 인천광역시(시장 유정복)는 환경부에서 3월 23일부터 31일까지 전국 지자체를 대상으로 공모한 ‘2017년 화학사고 예방·대비·대응을 위한 지역대비 체계 구축사업’선정됐다고 밝혔다.

○ 인천시는 이번 구축사업에 서구를 시범 지역으로 하여 Governance를 통한 협력사업을 시행하고, 인천시 전체에 점진적으로 확대시행하여 화학물질 안전관리 문화 정착을 유도 하고자 민·관·산·학이 공동으로 신청하였다고 전했다.
*시민대표(인천안전생활실천시민연합), 기업대표(인천상공회의소, 인천경영자총협회,인천환경기술인협회), 학계대표(인하대학교, 연세대학교), 관계기관대표(안전보건공단 중부지역본부)

○ 서구의 경우 화학물질 취급사업장이 211개소(2016년 12월말기준)로 인천시 전체 사업장 791개소의 27%를 차지하고 있으며, 2003년도부터의 발생한 인천시 화학물질 사고 34건 중 7건으로 20.6%를 차지했다.

또한, 지리적으로 인천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4대권역으로 형성(주거·상업지역, 공업지역, 해안·매립지역, 농경·개발지역)되어 있어, 화학 사고 발생시 인접지역의 도미노 임팩트가 크게 형성 될 가능성이 있는 지역이다.

인천시는 이러한 지역특성을 고려하여 서구를 모델로 구축사업을 하고자 공모 신청했다.

○ 이번 구축사업을 통해 환경부에서는 준비단계부터 운영단계까지 전과정에서 실무를 지원할 전문가를 인천시에 파견하게 된다. 산업특성과 화학물질에 관한 관심분야 등 지역별 특성을 반영하여 지역상황에 맞는 화학사고 예방·대비·대응을 위한 지역대비체계 구축을 지원할 계획이다.

○ 구축사업에 선정된 인천시(서구)는 화학물질 안전관리 조례 제정과 조례이행을 위한 세부계획 수립, 거버넌스 구축 및 운영, 고위험지역에 대한 지역비상계획수립 등을 수행하게 된다.

○ 시 관계자는 “이번 구축사업을 통해 민·관·산·학의 Communication Channel을 마련하여 소통하고, 화학사고 대비 체계 구축을 위한 지역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화학물질 안전관리와 화학사고시 신속한 대응을 위한 지역사회의 폭 넓은 참여와 신뢰를 구축 할 수 있게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첨부파일
인천시, 화학사고 대응을 위한 모델을 개발한다.pdf 미리보기 다운로드
공공누리
OPEN 공공누리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의 자유이용허락 표시제도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자료관리담당자
  • 담당부서 각 담당부서
  • 문의처
  • 최종업데이트 2025-03-12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