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인천시 시정혁신단, 시내버스 준공영제 개선 대안 토론회 개최
-- 준공영제 재정지원금 급증 현황 진단, 완전 공영제 도입 등 개선방안 논의 --
시정 자문기구인 인천시 시정혁신단(단장 김송원)은 21일 제33차 전체회의를 개최해, ‘혈세 먹는 하마’로 불리는 시내버스 준공영제의 운영체계 개선 방안 중 하나로 제기되는 ‘완전 공영제’의 도입 타당성을 따져보고, 개선 방안을 듣는 자리를 마련했다.
먼저 <버스 준공영제는 계속 시행해야 하는가?>를 주제로 대표발표에 나선 석종수 인천연구원 교통물류연구부장은 버스 준공영제 이후 버스 대당 재정지원금이 시행 전(2003년) 600만 원에서 시행 후(2020년) 9,300만 원으로 1,450% 증가했고, 버스 대당 연간 수송 인원에 대한 인건비도 시행 전(2003년) 59만 원에서 시행 후(2020년) 1,132만 원으로 1,825% 증가했다는 한국운수산업연구원 조사결과(2023)를 인용하면서 버스 운영체계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석 부장은 선진외국의 버스경영방식 변화와 운영체계 등을 소개한 뒤 인천시의 버스운영체계는 어떻게 가야 할지 진지한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역설했다.
대표 토론에 나선 윤숙진 시 버스기획팀장은 완전 공영제 전환 시 소요 재원(2027년 인수 시)으로 1조 원이 소요된다고 진단하면서 ▲업체 거부 및 과도한 인수 비용 발생 ▲지자체의 재정 부담 증가 ▲관료화 등 비효율 증가 등이 우려되기 때문에 신중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타 시도 사례로 대전시와 서울시의 시내버스 공영제 타당성 및 준공영제 혁신용역 결과를 소개하며, 모두 현재의 준공영제 운영체제가 최선의 선택이라는 결과를 얻었다고 말했다.
이에 인천시는 개선방안으로 ▲안정적인 준공영제 정착을 위한 법적 제도화 기반 ▲운송원가에 미치지 못하는 요금인상 제도화 ▲지속 가능성을 위한 관리방안 등을 제시했다.
한편, 민선 8기 시작과 함께 출범한 시정자문기구인 시정혁신단은 혁신위원들이 직접 발굴·제안한 시정혁신과제에 대해 시민이 체감하는 성과를 도출하기 위해 전문가 및 관련 기관·부서 등과 함께 ‘시정혁신과제 정책토론회’를 시리즈로 추진해 오고 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